• 제목/요약/키워드: bis (2-ethylhexyl)phthalat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생체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 phthalate의 동시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 phthalate in Biological Sample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95-102
    • /
    • 2001
  • 쇠고기 돼지고기 속에 포함된 nonylphenol, octylphenol, bis(2-ethyltexyl) phthalate의 동시 정량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밀폐된 배양시험관에서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이소헥산으로 바꾸고 aminopropyl 칼럼(2g)을 이용하여 분리한 후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다중점보정을 위한 nonylphenol(NP), octylphenol(OP), bis(2-ethylhexyl) phthalate(BEHP)의 회수율에서 NP, OP는 $0.125-12.5{\mu}g/g$, BEHP는 $0.0125-12.5{\mu}g/g$ 범위에서 좋은 회수율을 보였다. 확립된 방법을 전주시와 전주시 근교 마트와 정육점에서 구입한 16점의 쇠고기 돼지고기 시료에 적용하였다. Nonylphenol은 4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bis(2-ethlhexyl) phthalate는 전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그 농도범위는 $0.06-0.24{\mu}g/g$$0.36-2.35{\mu}g/g$ 이었다. Octylphenol은 어떠한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이 방법은 매우 적은량의 생체 시료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였다.

  • PDF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어류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phehalate의 동시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Bis(2-ethylhexyl)phthalate in Fish Samples Using Two Internal Standard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44-252
    • /
    • 2001
  • 어류근육속에 포함된 nonylphenol(NP), octylphenol(OP), bis(2-ethylhexyl)phtalate(BEHP)의 동시 정량방법을 1-phenyldecanol(PD)과 bis(2-ethylbutyl)phthalate(BEBP)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phenyldecanol은 nonyphenol과 octylphenol을 정량하고, bis(2-ethylbutyl)phthalate는 bis(2-ethylhexyl)phthalate를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NP와 OP의 경우 $0.2{\sim}20{\mu}g/g$ 농도범위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BEHP는 $0.4{\sim}40{\mu}g/g$ 농도범위에서 102%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시료를 밀폐된 배양시험관에서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이소-헥산으로 바꾸고 aminopropyl 칼럼(2g)을 이용하여 분리한후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방법을 11점의 한국시료와 3점의 영국시료에 적용하였다. Nonylphenol은 2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BEHP는 9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그 농도범위는 각각 $0.02{\sim}0.06{\mu}g/g$$0.18{\sim}2.03{\mu}g/g$이었다. 그러나 영국어류시료에서는 단 1점의 시료에서 BEHP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는 $2.99{\mu}g/g$이었다. 이 방법에 의해서 octylphenol은 어떠한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이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분석대상물질에 각각의 특성과 유사한 내부표준물질의 사용으로 매우 적은량의 생체 시료에서 보다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였다.

  • PDF

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가 생산하는 새로운 항생물질 II. 물질의 항균활성과 황성물질의 분리.정제 및 구조결종 (New Antibiotics Produced by 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 II.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Isolation, Purific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the Active Compound)

  • 김시관;김상석;김근수;정영륜;김창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5-241
    • /
    • 1991
  • 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로 동정된 strain 88-GT-161 균주는, 그람양성세균 및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각각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hthalate 유도체 및 염기성 마크로라이드의 새로운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활성물질들의 분리. 정제과정에서 in vitro 및 in vivo(포트 시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phtahalate 유도체 항생물질은 IR, NMR, 질량분석 스펙트럼 조사를 통하여 bis(2-ethylexyl) phthalate(dioctyl phthalate)로 동정하였다. Dioctyl phthalate가 Streptomyces sp.에 의하여 생산되며 생합성된 이 화합물이 항균활성을 가진다는 사실이 보고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 PDF

Bis(2-ethylhexyl) phthalate가 in vitro에서 식물 토양병원성 세균 Pectobacterium carotovorum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2-ethylhexyl) phthalate(DEHP) on plant soil-borne pathogenic bacterium Pectobacterium carotovorum in vitro)

  • 김유리;김상태;상미경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398-404
    • /
    • 2022
  • 본 연구는 플라스틱 가소제인 DEHP가 식물 병원균 중 하나인 P. carotovorum SCC1 균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가 균주 생장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개체군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세포막 투과성, ATPase 활성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TCA cycle 에서 DEHP 첨가에 따라 Succinyl-CoA synthase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병원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pectate lyase 유전자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반면, pectinase 유전자는 상대적으로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DEHP는 P. carotovorum SCC1의 개체군 변화나 대사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병원성 관련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실제 식물 재배 조건에서 DEHP가 존재할 때 P. carotovorum의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상에서 용액으로 부터 카드뮴 추출과 잔유물 측정 (Cadmium Extraction from Solutions by Solid-Phase and its Trace Determination)

  • Ashrafi, F.;Attaran, A.M.;Kermani, N. Memar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33-139
    • /
    • 2008
  • 고상추출 매질로 bis-(2-ethylhexyl)phthalate를 포함하는 polyvinyl chloride막을 사용하여 카드뮴의 잔유양 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민감하고 선택적인 분광광도법을 연구하였다. Bis-(2-ethylhexyl)phthalate는 가소제로 사용되 었다. 수용액에서 Cd(II)은 색을 가진 Cd(II) - I- - MG 착체(여기서 MG는 malachite green이다). 형으로 있는 막에 의해 트랩되었고, 카드뮴 착체는 막에 농축되었다. 그린색의 막의 흡수는 분광광도법을 사용하여 629 nm에서 측정되었 다. 카드뮴 농도는 Cd(II) 농도와 25분 동안 착색후 막의 흡수 사이에 관계로 나타내는 검정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검정곡선은 시험용액에서 10-760 μgL-1 cadmium 범위에서 선형이었다. 3Sbl criterion의 검출한계는 1.8199 μgL-1 상 대 표준편차(RSD)는 4% (n=5).보다 적다. 제안된 방법은 Tadjan강(Sari-Iran), 에 있는 카드뮴의 잔량을 성공적으로 측 정하였다. 28.7 μgL-1의 평균 값을 얻었다.

낙동강 수질중 유기물질과 독성 (Organic Compounds in the Nak Dong River and Its Toxicity)

  • 류병호;심종환;최진택;조현철;정종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rganic compounds and its toxicity by Ames test and chromosomal aberration in the water of the Nak Dong River. Six sampling sites such as Goryung, Hagueun, Maelie, Duksan, Haedong and Myungiang were selected for these pur15oses. 200 l water samples were absorbed on XAD-2 resin columns (2.5X30cm), eluted with organic solvents mixture of acetone: cyclohexane and then dried under vacuum condition. The extracts from the XAD-2 resin was injected into GC/MS and 184 organ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aldehydes, aromatic compounds, ketones, phenols, hydrocarbons, alcohols, carboxylic acids, alkanes and some unknowns. The US EPA priority pollutants such as naphth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other pollutants, 1,2-diethyl benz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and cyclohexanol were detected in these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pollutants such as 1,2-diethyl benzene, nephthal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cyclohexanol were ranged into 1.228 $\mu$g/l, 298 $\mu$g/l, 30.191 $\mu$g/l, 1.147 $\mu$g/l and 2.839 $\mu$g/l, respectively. The mutagenic activity of XAD-2 extracts were tested o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A 100, TA 1535 and TA 1537 and then exhibited strong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Amon them, bis(2-ethylhexyl)phtalate and 1,2-diethyl benzene showed the most strongest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On the other hands, chromosomal aberration of XAD-2 extracts in the human blood cells were not occurred by the sampling water at Goryung, Hagueun, Maelie and Duksan, Chromosomal aberration were also not occurred by the each concentration of 0.05, 0.1 amd 0.3 mg/l of each 1,2-diethyl benzol, bis(2-ethylhexyl)phthalate, naphthalene, phenol, cyclohexanol and benzothiazol test solution.

  • PDF

디스크형 고상 추출법과 GC/MS를 이용한 공장폐수 중 반휘발성유기화합물질 분석 (Determination of hazardous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ustrial wastewater using disk-type solid-phase extraction and GC-MS)

  • 이인정;임태효;허성남;남수경;이재관;천세억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36-241
    • /
    • 2012
  • 낙동강 수계는 중 상류 지역에 대규모 공단이 입지하고 있어 그동안 phenol, 1,4-dioxane, perchlorate 등 유해물질에 의한 수질오염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유출 가능성이 있는 미규제 유해물질 중 반휘발성유기화합물질(semi-volatile organic compoumsds, SVOCs) 10종(dichlorvos, toluene-2,4-diisocyanate, 4,4'-methylenedianiline, 4,4'-methylenebis(2-chloroaniline), diethyl phthalate, di-n-butyl phthalate, butyl benzyl phthaltate, bis(2-ethylhexyl)adipate, benzophenone, 4,4'-bisphenol A)에 대하여 디스크형 고상 추출법과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정확도 75.6~110.5%, 정밀도 4.6~12.7%, 회수율 72.4~127.9%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하 폐수처리장 및 폐수배출업소 등 공장폐수 시료를 분석한 결과 bis (2-ethylhexyl)adipate, benzophenone, 4,4'-bisphenol A 등 3개 물질이 검출되었다.

고체상 추출법을 이용한 Phthalate Esters의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 Esters in Water by SPE(Solid-Phase-Extraction))

  • 홍성희;한개희;이찬형;이순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86
    • /
    • 2003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ew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 esters(diethylphthalate, di-n-butylphthalate, butylbenzylphthalate, bis(2-ethylhexyl)phthalate), one of the endocrine disruptors, which were performed by GC/MS-SIM(selected ion monitoring). The phthalate esters were extracted from water samples using solid-phase extraction on $C_{18}$ columns. It investigated that the extraction recovery rate of phthalate esters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olvent volume. The optimal solvent was dichloromethane and proper volume of dichloromethane for recovery of phthalate esters was 4 mL. There were good linearities(above $R^2$=0.9975) in the range 0.01~0.50mg/L, and the detection limits were below 0.01~0.03$\mu\textrm{g}$/L. The recovery rates, RSD and MDLs for phthalate esters were 80~114%, 5.0~8.1% and 0.03~0.11$\mu\textrm{g}$/L, respectively. This method shows a good precision of phthalate esters.

한강지류 하천 주변 토양의 Phthalate ester 오염 분석 (Analysis of Soil Contamination by Phthalate Ester around Tributaries to the Han River)

  • 안승현;이종훈;홍연표;김민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97-100
    • /
    • 2002
  • Phthalate ester는 플라스틱의 물리적 성질, 특히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제품에 첨가하는 가소제이며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한강지류 하천 주변 토양의 phthalate esters의 오염 정도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상 오염 지역인 안양천과 서호천, 그리고 예상 청정 지역인 가평천과 남한강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시료 모두에서 bis(2-ethylhexyl) phthalate(DEHP)가 일정 수준 검출되었다. 그 오염 수준은 안양천 주변 토양이 113ppb로 가장 높았으며, 서호천 주변 토양이 64 pub,그리고 가평천과 남한강 주변 토양이 약 50 ppb이었다. 따라서 한강 지류 하천 토양의 DEHP오염은 국내 하천 저질의 DEHP오염 수준이 최고 2.04 ppm임을 감안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Risk assessment of endocrine disruptors in cosmetics

  • Lee, Jeong-Pyo;Choi, Sang-Sook;Son, Kyung-Hun;Yang, Seong-Jun;Kim, Shin-Ok;Paek, Ock-Jin;Cho, Hyeon-Seo;Kim, Young-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403.3-404
    • /
    • 2002
  • Dimethyl phthalate(DMP). diethyl phthalate(DEP), di-n-butyl phthalate (DBP). butyl benzyl phthalate(BBP). bis(2-ethylhexyl)phthalate(DEHP) and di-n-octyl phthalate(DOP) in lotions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and benzyl benzoate was used as the intermal standard. The separation of the six phthalates and internal standard was optimized, and the optimal analytic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column. DB-1701 (I.D. 0.25mm): mobile phase. helium: oven temperature 20$0^{\circ}C$ (10 min) ${\rightarrow}10^{\circ}C$/min ${\rightarrow}260^{\circ}C$/min(30min), injector temperature 23$0^{\circ}C$, detector temperature 28$0^{\circ}C$.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