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yp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발생 현황과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Herbicide Resistant Weeds in Rice Field of Korea)

  • 박태선;이인용;성기영;조현숙;박홍규;고재권;강위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33
    • /
    • 2011
  • 2010년까지 국내 논에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 SU)계 제초제들에 대한저항성잡초로 확인된 잡초들 1998년도에 충남서산 간척지 논에서 물옥잠이 확인이후 일년생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등 7초종, 다년생 올미, 새섬매자기 등 다년생 잡초 3초종이 발생하여 총 10초종이다. 그리고 2009년 ACCase 및 ALS 저해제들에 대한 저항성 피가 담수직파 논의 서 남부지역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초기에는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저항성잡초들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알방동사니 등은 하나의 논 필지에 하나의 초종들이 발생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하나의 필지에 다수의 초종들이 동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08년도에 전국 861필지의 논에서 채취한 토양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의 저항성 비율은 각각 42% 및 23%로 나타났다. 저항성잡초들의 생체중을 50% 억제한 농도($GR_{50}$)는 저항성 계통이 감수성 계통에 비해 수 십배에서 수 천배 높게 나타났다. ACCase 및 ALS 저해 제초제들인 cyhalofopbutyl, pyriminobac-methyl, penoxsulam 저항성 강피에 대한 저항성 계통의 $GR_{50}$은 감수성 계통에 비해 각각 14, 8, 11배나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의 다발생과 확산의 원인은 크게 잡초측면과 제초제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잡초측면에서는 종자생산량과 발아율이 높은 잡초들 즉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이 저항성잡초로 변화한다. 그리고 제초제 측면은 저항성잡초 유발의 원인인 선택성이 탁월하고 약효지속성이 매우 긴 SU계 제초제들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SU계 제초제들의 생산 품목들과 처리 논 면적의 비율은 각각 69%와 96%이다. 그리고 2003년까지 처리면적으로 본 선호도 10위까지 제초제들은 대부분 SU계 제초제들이 혼합된 "일발처리제"들이다. 직파재배 논에서 ACCase 및 ALS들이 혼합된 제초제들의 연용은 제초제 저항성 피를 유발하였고, 이는 피에 효과적인 SU계 제초제들인 pyrazosulfuron-ethyl 및 imazosulfuron과 무관하지 않다. SU계 제초제들에 대한 물옥잠의 저항성 계통의 $I_{50}$은 감수성 계통에 비해서 14배에서 76배 높았는데, 이는 제초제의 흡수 및 이행에 의한 차이보다는 ALS 유전자의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ALS 유전자 아미노산 197번째 proline이 serine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제초제 저항성잡초 방제로 benzobicyclone, bromobutide 등은 광엽 및 방동사니과 잡초들을 동시에 방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ACCase 및 ALS 저항성 피의 방제는 mefenacet, fentrazamide, cafenstrole로 2엽기까지 방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앞으로 국내 논에서 제초제 저항성잡초 및 관리에 대해서는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현재까지 제초제 저항성 유발 약제들인 ALS 및 ACCase 저해제들의 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은 계속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더욱 빠른 속도로 확산할 것이다. 둘째, 미국, 유럽, 호주 등 선진국들과 같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연구기관과 인력이 부족하다.

해남지역에 있어서 벼멸구의 비래기 기상과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limatic Conditions for Immigration Period and Bionomical Characters of the Brown Planthopper in Hae Nam Area)

  • 김상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98-305
    • /
    • 1989
  • 벼멸구 상습피해지역인 해남의 벼멸구 비내시기 비내시기기상 특성 및 비내 벼멸구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비내시기는 6 월 하순 ~ 7월 하순, 집중비내시기는 7월 하순~중순경으로 전남 내륙지역보다 15~30 일 빨랐으며, 집중비내기의 기상은 온도 $20{\;}~{\;}25^{\circ}C$, 습도 86 ~ 95 %, 남서풍, 풍속 1.0~2.9 m/sec였다. (2) 비내량은 지형에 따라 차이를 해안에 인접한 산의 뒤쪽 들에서 많았고 생태형 구성비는 생태형 I은 감소하는 반면에 생태형II와 III의 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비내 벼멸구의 란.약충 및 성충기간은 명명 9 ~ 12 일, 13 ~ 16 일, 12 ~ 36일이었고 부화율과 우화율은 80% 이상으로 발생기의 기상조건에 따라 차이가 뚜렷하였다. 성충의 수명은 ♀이 ♂보다 장혈형이 단혈형이 보다 더 길었으나 산화수는 단혈형이 더 많은 차이를 보였다. (4) 벼멸구의 수치적 활동범위는 수면상 16cm 이내이고 주간에는 위로 야간에는 수면가까이 이동하는 경시적 일주성을 나타냈으며 Hopping에 의한 이동거리는 반경 20cm 이내이었다.

  • PDF

최근 5년 동안 국내에서 분리된 Shigella sonnei의 항균제 내성 유형과 내성유전자형 분석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and Resistance genes assay of Shigella sonnei Isolated in Korea for Five Years)

  • 허완;이상조;권기석;장종옥;이중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1-39
    • /
    • 2007
  • 2000-2004년 국내에서 분리된 S. sonnei 135주를 선별하여 16종의 항균제 내성 유형, $bla_{TEM}$, suulII, tetA, strA등의 내성유전자형을 PCR등의 방법으로 항생제내성 표현형과 유전자형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균주들의 생화학적 성상은 전형적 인 이질성 세균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biotyping에서는 g type이 58.5%(79주), a type이 40.0%(54주), e type이 1.5%(2주)로 나타났다. 항균제 16종의 항균제 내성 패턴은 AN, CIP, C, GM등의 약제에는 감수성을 보였으나, SXT 약제에는95.6% (129주), TE 약제에는 93.3% (126주), SM에는 90.4% (122주)등의 순으로 내성을 나타내었다. 두 가지 이상 약제 내성균이 97.8% (132주), 그 중에서 R28 (AM, SAM, TE, TIC, SXT, K, SM, AmC : 8제 약제 내성) 형이 31.1% (42주)를 차지하였으며, 33가지 형태의 다양한 내성 패턴을 나타내었다. $bla_{TEM}$, sulII, tetA 및 strA등의 내성유전자 분포에서는 Disk diffusion법에서 내성을 보인 경우에는 모두 각각의 유전자 증폭산물이 검출되었다.

누대도태에 의한 벼멸구의 품종적응성의 변화 (Changes in the Fitness of Brown Planthopper, Nilapawata lugens Stal (Homoptera: Delphacidae) to Several Resistant Rice Varieties after Multi-generational Selection)

  • 송유한;황인철;김진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3-121
    • /
    • 2002
  • 벼멸구를 저항성 품종에서 도태시켰을 때 새로운 생태형으로 발전되는 속도와 벼멸구의 생태형과 벼의 품종저항성 간에 유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감수성품종(동진벼)으로 사육하던 벼멸구를 Bph1 gene을 가진 저항성품종(청청벼)으로 각각 3세대 및 6세대 도태시킨 후, 같은 Bph1 gene을 가진 4개 품종(Mudgo, IR26, IR64, 청청벼)과, 다른 bph2 gene을 가진 2개 품종(밀양63호 및 가야벼)및 저항성이 없는 2개 품종(동진벼, TN-1)을 공시하여 각 계통의 벼멸구의 산란 및 섭식선호성, 수명, 발육기간, 사충율, 산란수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수성 벼멸구(생태형-1)를 저항성 Bph1 유전자를 갖인 청청벼에서 3세대(청청3세대계)및 6세대(청청6세대계)로 도태시켰을 때, 사육세대가 많아질수록 청청벼에서의 성충의 수명은 길어지고, 산란수는 많아지며, 또한 약충의 우화율이 높아지고, 약충기간이 짧아지는 등 빠르게 저항성을 극복하였다. 청청3세대계 및 6세대계 벼멸구는 청청벼와 같은 Bph1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다른 품종들(Mudgo, IR26, IR64)에 대해서도 도태세대수가 많아지면서 선호성이 점점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성충의 수명과 산란수에 있어서도 청청3세대계, 청청6세대계 등으로 도태세대가 많아질수록 같은 저항성 Bph1유전자를 가진 Mudgo, IR26, IR64등에서 수명이 길어지고 산란수도 많아졌다. 벼멸구의 약충기간은 품종과 벼멸구 도태계통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약충기간 중 사망률은 도태가 진행되면서 역시 Bph1저항성 gene의 4개 품종 모두에서 낮아졌고, 죽은 개체의 수명도 길어졌다. 밀양 63호(bph2 gene)와 가야벼(Bph1+bph2 gene) 등 2개 품종에서는 벼멸구의 3개 계통 모두 우화하지 못했다.

한국 서산 간척지 논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새섬매자기 발생 (Identification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Scirpus planiculmis in Reclaimed Paddy Fields, Korea)

  • 박태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2-337
    • /
    • 2004
  •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새성매자기가 한국의 서산 간척지 논에서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가 발생한 논은 담수직파 양식으로 벼를 재배하여 왔으며, 1990년부터 13년 동안 연속적으로 sulfonylurea계 혼합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다. 온실 조건에서 서산과 무안에서 채취한 새섬 매자기 구경을 이식 후 10일에 azimsulfuron, bensulfuron-methyl, cinosulfuron, ethoxysulfuron, imazosulfuron 그리고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무안의 새섬매자기는 각 제초제 추천량에서 방제가 되었으나 서산의 새섬매자기는 추천량의 5배량에서도 20-40% 생존되었다. 생체중 50%를 억제하는 각 제초제의 농도 $(GR_{50})$는 두 지역에서 채취한 새섬매자기 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서산의 매자기에 대한 6 종류의 $GR_{50}$은 무안의 새섬매자기 대한 $GR_{50}$ 값 보다 $47\sim100$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안과 서산의 새섬매자기에서 추출한 acetolactate synthase(ALS)에 대한 pyrazosulfuron-ethyl의 50% 억제 농도$(I_{50})$각각 0.8 nM과 409 nM로 나타나, 서산의 새섬매자기가 무안의 새섬매자기 보다 511배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식 넙치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The 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d from Diseased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심두생;정승희;박형숙;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36
    • /
    • 1994
  • 최근 7월부터 9월사이 고수온기에 경남일대의 육상수조식 넙치양식장에서 8균주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분리하여 이들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리균주는 BHIA, HIA, Staphylococcus No. 110 및 ETGP에서 잘 발육하였으며, 식염농도 2.0~3.0%, $30^{\circ}C$ 전후 그리고 pH는 7.0 전후에서 발육상태가 좋았다. 또한 DNase, coagulase에는 전 균주가 음성이었으며, 용혈성은 FSJ-2균주만이 약한 음성을 나타내었고, ureas 양성, novobiocin 저항성에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의 분해능에서 전 균주는 가스를 생산하지 않았고 혐기적 조건하에서 포도당과 maltose를 분해하였으며 mannitol은 FSJ-19균주만이 약하게 분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 균주가 음성이었다. 호기적 조건하에서 전 균주는 포도당, fructose, galactose, sucrose, maltose 및 dextrin을 분해하였다. 분리균주의 임상적인 주요 특성에서 8개의 균주는 4가지의 다른 biotype code를 나타내었으며, 약제 감수성 그룹에서도 4가지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기재된 S. epidermidis의 coagulase, urease, DNase, $\beta$-galactosidase, novobiocin 저항성 및 포도당의 혐기적 분해성과 잘 일치하였고, 또한 Mickelsen et al.(1985)이 기재한 biotype과 약재 감수성 패턴이 잘 일치하여 본 분리균을 S. epidermidis로 동정하였다.

  • PDF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세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Group LS-1 Isolated from Suyeong Bay)

  • 성희경;이원재;김용호;함건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39-346
    • /
    • 1992
  • 수영만에서 분리된 Bacillus cereus group LS-1 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성상 및 지방산 조성 분석을 통하여 세균학적인 특성을 밝혔다. B. cereus group LS-1 은 면양혈구배지에서 비용혈성의 점조성 집략과 convex 하고 가장자리가 규칙적인 둥근형태로 운동성이 없고 glucose, maltose, sucrose 와 gelatin 을 이용하고 trehalose 와 salicin 을 분해하지 않으며 6.5% NaCl 에서 자라지 않는 Gram 양성의 중심성 아포형성간균으로 표준균주 B. cereus group 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에서 chain 의 길이가 $C_{12}$ 에서 $C_{17}$로 iso $C_{15}$와 iso $C_{13}$의 branched chain 이 우점하는 B. cereus group 의 전형적인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nC^{15}$가 검출되지 않는 B.mycoides GC subgroup B 로 0.312 의 similarity index(SI) 를 지칭하여 다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API system (API 50 CHB & API 20E) 의 ATB computer profile 에서 "Doubful Profile" 99.7% 의 B. firmus 로 나타내어 큰차이를 나타내었다. 67 개의 biochemical character 로 B. mycoids S-12 는 각각 42%, 42% 59% 와 52% 의 similarity matrix 를 나타내었다. B. cereus group 간의 아주 낮은 similarity 를 나타내어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key test 와 지방산 조성등을 종합하여 볼때 B. ceresu group 중의 B. mycoides 로 새로운 biotype 인 것으로 사료되며 지방산 조성 분석으로 동정함이 훨씬 용이하였다.

  • PDF

제주도내 축우 부루셀라병 발생상황 조사 (Studies on incidence of Bovine Brucellosis in Cheju-Do)

  • 김우택;이완수;김공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4-109
    • /
    • 1991
  • Til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bovine brucellsis in Cheju-do during the period from 1985 to 199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total 239,238 cattles tested. 1180(0.49%) were positive by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during the period from 1985 to 1990. 2. The major causes of incidence on brucellosis was grazing with carriers and repeated incidence in a herd. 3. The 13 Brucella abortus biotype 1 isolated from 10(50%) of 20 cattles slaughtered on brucellosis in 1990.

  • PDF

인삼근부병을 일으키는 Pseudomonas fluorescens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seudomonas fluorescens causing Root Rot of Ginseng)

  • 이민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3-156
    • /
    • 1975
  • A rott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decayed root of ginseng (Panax ginseng Meyer), cultured purely, and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by reinoculation test. The strain causing ginseng root rot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fluoresens biotype II. The strain was somewhat different from P.marginalis and P.talaasii, considering the number of flagella, pathotype and ability of indole production. The strain did not exhibit pathogenicity to other plants tested, such as red kidney bean(Phasolus vulgaris L.), soy bean (Glycine max Merr.), cucumber (Cucumis sativus L.)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cowpea bean (Vigna sinensis Savi.).

  • PDF

수용성 적색 색소를 생산하는 Serratia marcescens US50-3 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erratia marcescens strain US50-3 Producing Water-Soluble Red Pigment)

  • 양인영;황순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77-780
    • /
    • 1995
  • A strain US50-3 producing water-soluble red pigment was isolated from the pond separating oil from water near the oil storage tanks. The strain US50-3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Serratia marcescens considering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G+C contents. It showed a little difference comparing to the Type strain and was considered to be another biotype str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