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medical ethic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5초

융합 계열간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과 자아존중감간 상관연구 (Correlation Study of Characteristics of Bio-medical Ethics and Self-este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 박소연;박경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255-26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특성과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 간에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을 포함한 대학생 651명으로 생명윤리의식과 자존감에 대해 2015년 5월 2주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존감은 생명의료윤리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이 높은 대학생이 생명의료윤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의 생명의료윤리 인식을 비교한 결과 생명공학을 제외한 안락사, 뇌사 등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related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 박미라;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37-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학과 11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두 그룹간에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하위 영역 중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 교육에 참여한 후 인공수정, 안락사, 장기이식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생명의료윤리 교육과정에 죽음,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 관련 다양한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여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보아 추후 반복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od death cognition, self esteem,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 박효진;양현주;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71-7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가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2.87±0.2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t=-2.9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은 좋은 죽음 인식(r=.27, p=.001), 자아존중감(r=.36,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를,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r=-.27, p<.001)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 인식(β=.26, p<.001), 자아존중감(β=.29, p<.001),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β=-.30, p<.001), 종교(β=.20, p=.004)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8.7%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인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 김근면;성경숙;김은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92-299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 life-sustaining treatment by measuring thei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resulti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assess the level of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fter the nursing students signed a consent form they were asses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5, 2016, and analyzed using SPSS 23.0 WIM Program.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edical ethics, mortality ethics.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e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students with easy access to continuous education to help them establish an acceptable view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생명의료윤리와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장기기증 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iomedical Ethic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nd Brain-Death Organ Donation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 주세진;강균영;박정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01-407
    • /
    • 2020
  •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1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7명에게는 생명윤리의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관한 지식이 실험군과 대조군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F=35.21,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교육과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위생계열 학생과 비 치위생계열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Consciouess of Biomedical Ethics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윤성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70-4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바람직한 윤리가치관을 확립하여 치위생계열 학생을 양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치위생계열 대학생 97명, 비치위생계열 학생10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치위생계열학생과 비치위생계열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SPSS/win 17.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Scfeffe 검정,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치위생계열 학생의 윤리의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2.87점이었고 비치위생계열 학생의 평균 점수는 2.82점 이었다. 치위생 및 비 치위생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차이를 볼 때 치위생계열 학생은 태아진단, 신생아생명권, 태아의 생명권, 뇌사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고 반면 장기의식에 대한 인식은 낮게 조사되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치위생 계열 학생은 윤리적 가치관과 생명의료윤리 가치관 확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비치위생계열 학생은 종교와 생명의료윤리 인지정도가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의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계열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들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와의 관계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of Hospital Nurses)

  • 김옥현;안성아;오수미;공정현;최혜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78-86
    • /
    • 2019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의 영향관계에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 J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병원 간호사 15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을 하였다.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도덕적 민감성은 평균 4.70점(7점 만점), 도덕적 고뇌는 62.80점(336점 만점), 생명의료윤리의식은 2.21점(4점 만점)이었고, 도덕적 고뇌는 도덕적 민감성과 생명의료 윤리의식과 정적 상관관계, 도덕적 민감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 간에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이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고뇌의 관계를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 향상 및 도덕적 고뇌 감소를 위해 도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능력을 향상시키는 생명의료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생명의료 윤리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Dental Hygien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 Biomedical Ethics Problem)

  • 김윤정;최정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33-439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biomedical ethics problem percep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285 in dental hygiene students from September 3th to 21th of 2007. For statistical analyses of collected data, the descriptive analyses and chi-square were adopted. This collected data showed that bribery as the most common ethical problem. Other frequently mentioned problems are unkindness of patient and treatment equality. They agreed to artificial abortion in 79.1%, human clo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rade. Biomedical ethics problem except euthanasia and human clo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resident area. Also, brain dea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religion.

  • PDF

의료계열 대학생들의 생명 윤리 의식 (Bioethical Percep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 안혜영;조병선;최숙희;최원;고유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8-10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for educating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sense of ethics values Method: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a total of 140 nursing students and 124 medical students were selected. The tool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by using SPSS/WIN 12.0 version. Result: When the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brain death (t=-3.26, p=.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ligion (F=3.05, p=.018), and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F=3.34, p=.00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ubjects' ethical values such as satisfaction level of a nurse/doctor (F=7.39, p=.000) occupation, the experience of A Patient's Bill of Rights (F=2.97, p=.020), the intention to attend biomedical ethics (F=5.61, p=.000), an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eth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F=7.92, p=.000). Conclusion: An effort should be made to overcom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biomedical ethic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Moreover, when investigating the course of an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sense of biomedical ethics, an alternative plan that could promote ethical values must be considered so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can promote bioethical perception.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생명의료윤리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 이경임;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7-86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examines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n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four colleges located in City B, South Kore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ubject and a total of 262 copies of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using SPSS/WIN 22.0 program.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capture the effect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Results :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280, p<.001),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581, p<.001), and betwee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r=.290, p<.001). General satisfaction (β=.227, p=.001),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β=.248, p=.000) among major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prediction power for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followed by right to life of fetus (β=.190, p=.000) among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motivation for admission (β=.137, p=.006). These predictors explained 36.9 % of the variable of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result, repeated studies are required that can confirm divers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Operation of curriculum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increase th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and foster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re requir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