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hazard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2초

조미김의 HAC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연구 (A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Seasoned Laver)

  • 김강열;윤성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8-27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to the production of seasoned laver products. The hazard analysis examined microbial evaluations and developed a HACCP management plan through the heating process.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ree companies and performed the analysis thrice. During this study, general bacteria along with other food poisoning bacteria such a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coil,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studied at varying temperatures from 100 to $300^{\circ}C$. Results: The presence of general bacteria was detected in raw laver in the samples analyzed from all the three companies, and the number ranged from $10^5-10^7$.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samples from only two of the three companies analyzed. However,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coil, O157:H7,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all negative. General bacteria was reduced to $10^5$ after being subjected to temperatures of $100-250^{\circ}C$, but heating to over $270^{\circ}C$ reduced the number to below $10^3$, and the other microbes such as Bacillus cereus were not detec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heating process ($270-280^{\circ}C$) along with RPM of 100-1200 were identified as CCP to reduce biological hazards.

골절 방지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낙상 시뮬레이션과 충격 흡수 시스템에 관한 연구 (Fall Simulation and Impact Absorption system for Development of Fracture Prevention System)

  • 김성현;김동욱;김남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38-448
    • /
    • 2010
  •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have been increasing as our society progresses toward an aging society. As their activities are increased, the occurrence of falls that could lead to fractures are increased. Falls are serious health hazards to the elderly and we need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falls including the progress of falls and the impact area in various fall directions. Many of the traditional methods of falls research dealt with voluntary falls by younger subject since older subject can easily get fracture from voluntary falls. So, it has been difficult to get exact data about falls of the elderly. Here, we tri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of major joints using three dimensional motion capture system during falls experiments using a moving mattress that can safely induce unexpected falls. Healthy younger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actual falls experiment and the moving mattress was actuated by a pneumatic system. The kinematic parameters such as velocities of major segments were imported to a computer simulation environment and falls to hard surfaces were simulated in a computational environment using a realistic human model of aged persons. The simulation was able to give approximations to contact forces which can occur during actual falls. And we designed impact absorption system to reduce the impact during falls. We can adapt this system to fracture prevention system that we are going to study.

떡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Korea Rice-cak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92-5799
    • /
    • 2013
  • 본 연구는 떡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떡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2년 9월 12일~201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소재에 있는 K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떡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 농산물(맵쌀, 찹쌀, 팥 등),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세척, 불림, 분쇄, 체선별, 혼합, 시루작업, 증자,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와 제품의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과자류의 굽기공정에 미생물학적 한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Microbiological Limitation Standards Setting of Baking Processing by Confectionery)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22-5429
    • /
    • 2015
  • 본 연구는 과자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연구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과자류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 도구와 작업자는, 2014년 9월 1일~2015년 1월 15일까지 충남 계룡시 소재에 있는 L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과자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원료 농산물(쌀가루, 계란, 밀가루),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배합, 성형, 가열(굽기), 냉각, 금속검출, 내포장, 외포장 및 출하공정으로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 일반세균수는 계란에서 $6.2{\times}10^3CFU/g$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굽기공정 이후의 미생물검사 결과는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장 전체에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의 위생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춧가루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Red Pepper Powder)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02-2608
    • /
    • 2015
  • 본 연구는 고춧가루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4년 1월 10일~2014년 6월 13일까지 충주시 동량면 소재에 있는 용금농산에서 수행하였다. 고춧가루 제품의 모든 공정 단계들을 파악하여 공정흐름도를 작성하였고 미생물학적 위해를 제어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공정에서 살균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자외선 등 $20W{\times}12EA$, 살균 시간은 $63{\pm}3$초를 한계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자외선살균 후에는 위해 미생물 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 검사 결과 주기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uthanethiol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유해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azards Buthanethiol)

  • 김현영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17
    • /
    • 2013
  • Butanethiol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황화메틸 등과 함께 유해성이 높으며 대표적인 악취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노출 농도별 생체에 미치는 영향 등 유해성 평가 자료가 매우 부족하여 실험동물을 이용 흡입독성 연구를 통하여 유해농도와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연구하였다. Butanethiol은 무색 투명액체로, 인화점 $-23^{\circ}C$로 화재위험성이 강한물질로 끓는점 $84-85^{\circ}C$, 증기압($25^{\circ}C$) 80.71 mmHg, 어는점 $-140.14^{\circ}C$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험동물인 SD rats와 전신흡입노출 챔버를 이용 반수치사농도를 시험한 결과 $LC_{50}$은 2,500 ppm (9.22mg/L)이상으로 이는 고용부 고시 제2012-14호[11]의 유해물질 분류기준 급성독성물질 구분 4 (10${\leq}20$ mg/L) 이상의 물질에 해당되었다. 또한 0, 25, 100, 400 ppm, 일일 6시간, 주 5일, 13주 반복 노출한 결과에서는 25 및 400 ppm군에서 체중의 유의성(p<0.01., 0.001) 있는 저하를 포함 4사료섭취량 변화, 안 자극, 수컷군의 운동성변화, 혈액 및 혈액생화학적 병변이 있었으며, 장기중량에서도 수컷의 경우 25, 100, 400 ppm군과 암컷의 400 ppm군에서 신장, 간장, 흉선, 폐장 등에서 유의성 (p<0.05) 있는 변화가 있어 무유해영향농도 (NOAEL)는 암 수 모두 25 ppm (0.092 mg/L) 이하로 평가되었다.

축산 농가 HACCP 심사 분석과 개선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nimal Farm HACCP Evaluation)

  • 남인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1-112
    • /
    • 2017
  • 본 연구는 안전한 축산물의 생산에 기반이 되는 농가 HACCP 제도 도입에 있어서 일부 문제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는 HACCP 인증(재인증) 부적합농가 수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3년간 HACCP 심사 결과에 따른 지적비율을 축종별로 분석하고 상위 10% 이상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평가항목을 도출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5개 HACCP 관리 분야 평가항목 중 지적비율이 높은 평가항목으로는 소, 돼지 농가에서 4번(가축사육 공정도 및 농장평면도), 10번(중요관리점 모니터링), 12번(HACCP 검증), 14번(HACCP 교육) 그리고 닭농가에서는 10번(중요관리점 모니터링), 12번(HACCP 검증), 14번(HACCP 교육)으로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농가 HACCP 평가기준의 대폭 축소 및 단순화, 연 1회 의무 교육 시 해당 분야 집중 교육과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모니터링, 검증 등과 같은 어려운 HACCP 용어를 각각 안전관리기준, 감시, 확인 등으로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사용하여 국내 축산농가의 현실에 눈높이를 맞추어 개정되어야 많은 축산농가에서 가축사육단계 HACCP 제도를 부담 없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농법에 따른 국내산 배추의 위해미생물 및 중금속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00-506
    • /
    • 2017
  • 본 연구는 자가제조퇴비를 사용하는 유기농가와 관행농가로 구분하여 생산되는 배추와 토양의 위생지표세균(Aerobic plate count, coliform count, yeast & mold)과 식중독발병 가능성이 있는 유해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Environmental listeria, Bacillus cereus)의 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양과 식물체 모두 식품에서 위해균 허용한계치인 5.0 Log CFU/g 이하로 검출되었다. 또한 토양에서 위해균 검출량과 식물체 표면의 위해균 검출량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토양과 식물의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검출되지 않거나 허용한계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The Type of Payment and Working Conditions

  • Rhee, Kyung Yong;Kim, Young Sun;Cho, Yoon H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4호
    • /
    • pp.289-294
    • /
    • 2015
  • Background: The type of pay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has an effect on the health of employees, as a basic working condition. In the conventional research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nly the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and ergonomic factors are treated as the main hazardous factors. Managerial factors and basic working conditions such as working hours and the type of payment are neglected.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type of payment and the exposure to the various hazardous factors as an heuristic study. Methods: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in 2011 was used for this study. Among the total sample of 50,032 economically active persons, 34,788 employees were considered for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types of payment such as basic fixed salary and wage, piece rate, and extra payment for bad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and exposure to hazardous factors like vibration, noise, temperature, chemical contact, and working at very high speed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type of payment on working hours exposed to hazard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employees with a basic fixed salary was 94.5%, the proportion with piece rates was 38.6%, and the proportion who received extra payment for hazardous working conditions was 11.7%. Conclusion: The piece rate wa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working with tight deadlines and stressful jobs.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because KWCS was a cross-sectional survey.

Assessment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 (MQAT)

  • Gharibi, Vahid;Cousins, Rosanna;Mokarami, Hamidreza;Jahangiri, Mehdi;Keshavarz, Mohammad A.;Shirmohammadi-Bahadoran, Mohammad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364-371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masks can provide healthcare workers with protection from biological hazards when they have good performa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specifications of a mask and its efficacy;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ols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Methods: A mixed-methods design was used to develop a qualitative assessment tool for medical face masks (MFM) and particle filtering half masks (PFHM). The development of domains and items was undertaken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opinions of an expert panel, and a review of text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The second phase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ools. Finally, the validated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MQAT) were used to assess six samples from 10 brands of the two types of masks. Results: MQAT-MFM and MQAT-PHFM shared 42 items across seven domains: "cleanliness," "design,"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mask layers," "mask strap," "materials and construction," and "nose clip." MQAT-MFM included one additional item. MQAT-PHFM included another nine items associated with an eighth "Practical Performance" domain, and the valve version had another additional "Exhalation Valve" domain and six items. The evaluation indicated 80% compliance for MFM and 71% compliance for PFHM.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and "Lay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east compliance in both types of masks and should be checked carefully for defining mask quality. Conclusion: MQAT can be used for immediate screening and initial assessment of MFM and PHFM through appearance, simple tools, and visual insp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