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components

검색결과 1,445건 처리시간 0.029초

황칠수액 분비 우수개체 선발 및 방향성 정유성분 조사 (Selection of the high yield capacity of Hwangchil lacquer and identification of aromatic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 안준철;김민영;김옥태;김광수;김성호;김세현;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6-131
    • /
    • 2002
  • 황칠수액 분비량을 개체 및 서식지별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차이가 있다면 이를 토대로 서식환경 및 우수개체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황칠수액 분비량을 기준으로 우수개체를 선발하고 선발 개체군을 중심으로 주요 방향성 정유성분의 동정 및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칠나무 수액은 서식지별, 수령 및 개체별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분비량을 기준으로 우수개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개체에서의 주요 정유성분에서${\beta}-elemene,\;germacrene-D,\;{\beta}-selinene,\;{\alpha}-selinene,\;{\gamma}-cardinene,\;{\delta}-cadinene$ 등이 었으며, 그 중에서도 germacrene D가 주요 구성성분임이 확인되었다. 선발개체의 주요 정유성분의 구성비율은 서식지별 및 각 개체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가미귀비탕 탕액과 시판제제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Marker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miguibi-tang(Jiaweiguipi-tang) Decoction and Commercial Extract Granules)

  • 김정옥;백가연;이화동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33-340
    • /
    • 2018
  • Gamiguibi-tang (GGBT) i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generally used to treat anemia, insomnia, anxiety, and nervousness. GGBT is being commercially produced in the form of extract granule and the quality control methods are specified in the Korean Herbal Pharmacopeia (KHP). However, there is no method to simultaneously analyze compound preparations. In this study, a HPLC method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in GGBT. And the contents of marker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GGBT extract granules (GGBT-2 and GGBT-3)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GGBT decoction (GGBT-1). We confirmed the robustness of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by monitoring the contents of the commercial GGBT products and carrying out validation. The marker components of GGBT were geniposide ($8.03{\sim}12.70{\mu}g/mL$), paeoniflorin ($2.79{\sim}4.25{\mu}g/mL$) and glycyrrhizic acid ($5.06{\sim}6.30{\mu}g/mL$).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47.34~63.17% and 21.52~33.61% in the GGBT products concentration of $1,000{\mu}g/mL$, respectively. The GGBT products significantly decreased NO, iNOS and COX-2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GGBT-2 had higher contents of marker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than GGBT-1 and GGBT-3. The research suggest that be used in developing quality control method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herbal medicines.

재래식 찹쌀고추장 및 보리고추장의 적정 숙성기간 설정을 위한 연구 (Studies on Establishment of Optimal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 정진웅;김종훈;박종현;유진영;구영조;정건섭;권동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27-133
    • /
    • 1996
  • 재래식 찹쌀고추장 및 보리고추장의 산업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고추장인 찹쌀고추장과 보리고추장을 순창 및 괴산에서 각각 제조하였다. 180일동안 숙성시키면서 숙성 중의 이화학적 성분조사와 아울러 관능검사 등의 고추장의 품질 특성을 규명하여 재래식 고추장의 적정 숙성기간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숙성 180일동안 찹쌀고추장과 보리고추장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관능적 품위에서는 찹쌀고추장이 보리고추장보다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찹쌀고추장 및 보리고추장의 이화학적 성분과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두 고추장의 적정 숙성기간은 150일로 나타났다.

  • PDF

소청룡탕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Marker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ocheongryong-tang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 백가연;김세진;김종범;이정현;문성옥;이화동
    • 생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9-361
    • /
    • 2018
  • Socheongryong-tang (SCRT) was one of the major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ildly used in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 SCRT is being commercially produced in the form of mix extracts powder and soft dry extract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in the Korean Herbal Pharmacopeia (KHP).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marker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SCRT mix extract powder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CRT decoction. To analyze the marker components of SCRT, nine marker from eight herbal preparations were chosen. And the metho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array detector method was established for the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validation was accomplished by linearity, precision test, and recovery test. The contents of nine marker components in this extract was ascertained by ratio. The biologic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effect of SCRT on anti-oxidation and pro-inflammation mediated by LPS-stimulation. We confirmed that both of SCRT mix extrct powder and decoction have the similar contents 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and inhibited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NO),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the expression of iNOS, COX-2, $IL-1{\beta}$, IL-6, $TNF-{\a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RT mix extract powder and decoction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추출방법에 의한 아니스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 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이재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44-147
    • /
    • 1997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몇가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headspace(purge & trap)법,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법, steam distillation법, 용매추출법 등으로 분리된 휘발성 성분의 조성차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사용된 방법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휘발성 성분 분석시료로는 Anise(Pimpinella anisum L.)씨앗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된 휘발성분중 GC/MSD를 이용하여 43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Headspace (purge & trap)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2-butanol, pentanal, 3-hexen-1-ol 등과 같은 alcohol류 및 aldehyde류 성분들을 주요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매추출에서는 비점이 높은 성분들인 myristic acid, oleic acid 등의 acid류 성분들과 ethyl hexadecanoate, ethyl octadecanoate 등과 같은 ester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과 steam distillation법에서 추출된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며 terpene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Anise의 주성분인 anethole은 SDE법, headspace(purge & trap)법으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 PDF

재래식 메주와 개량식 메주로 제조한 된장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Meju and improved Meju)

  • 지원대;이은주;김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48-253
    • /
    • 1992
  • 재래식 메주와 개량식 메주로 각각 담아 숙성시킨 된장의 향기성분을 연속 수증기증류 추출장치로 추출하여 상압에서 농축한 후, preparative GC로 GC-관능검사를 하고 GC/MC 분석과 Kovats retention index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재래식 메주로 담은 된장의 향기성분으로는 alcohol류 11종, aldehyde류 4종, pyrazine류 2종, acid류 4종, furan류 3종, phenol류 3종, ester류 3종, hydrocarbon류 3종, ketone류 1종, 기타 성분 5종 등 39가지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개량식 메주로 담은 된장의 향기성분으로는 alcohol류 4종, aldehyde류 2종, pyrazine류 2종, acid류 2종, furan류 1종, ester류 2종, hydrocarbon류 1종, ketone류 2종, 함황 화합물 1종, 기타 성분 4종 등 21가지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한편, 재래식 메주로 담은 된장과 개량식 메주로 담은 된장에서 함께 동정된 향기성분으로는 3-methyl-1-butanol, 4-methyl-3-heptanol, trimethyl-pyrazine, 1-octen-3-ol, 2-furancarboxaldehyde, tetramethyl-pyrazine, benzaldehyde, 3-methyl-butanoic acid, naphthalene, 2-ethyl-3-methyl-oxetane 등 10가지 성분이었다.

  • PDF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 활성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 박성익;손호용;이창일;황희영;박승우;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분획물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90.8%, 야관문 91.2%로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분석 결과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6.1%로 가장 높았고 야관문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95.6%로 가장 높았다. FRAP assay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360.1 mg TE/g, 야관문 239.2 mg TE/g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이 어성초 13.2%, 야관문 35.2%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56.3%, 야관문은 water 층에서 93.6%로 가장 높았다. 어성초와 야관문에서 확인한 개별성분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페놀산 개별 성분의 활성은 caffeic aicd가 93.4%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개별 성분의 활성은 quercetin이 96.3%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Fermented with the Same Meju

  • Seo, Jae-Soon;Chang, Ho-Geun;Ji, Won-Dae;Lee, Eun-Ju;MYEONG-RAK-CHOI;HAENG-JA-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78-285
    • /
    • 1996
  • We identified volatil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which had been manufactured with the same traditional Meju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ll of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SDE) apparatus.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whole volatile components were separated into fractions. The volatile components of the whole and of each fraction were identified by GC-mass and Kovat's retention index. Sixty two and eighty six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respectively. Many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differ from those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It was confirmed that many aroma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ese fermented soy sauce (Shoyu) and soybean paste (Mis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