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aging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2초

Increased α2-6 sialylation of endometrial cell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 Choi, Hee-Jin;Chung, Tae-Wook;Choi, Hee-Jung;Han, Jung Ho;Choi, Jung-Hye;Kim, Cheorl-Ho;Ha, Ki-Tae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2호
    • /
    • pp.9.1-9.12
    • /
    • 2018
  • Endometri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implants of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ine cavity an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infertility. Focal adhesion of endometrial tissue to the peritoneum is an indication of incipient endometriosi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various cytokines that are known to be involved in the pathology of endometriosis on endometrial cell adhesion. Among the investigated cytokine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increased adhesion of endometrial cells to the mesothelium through induction of ${\alpha}2-6$ sialyla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beta}$-galactoside ${\alpha}2-6$ sialyltransferase (ST6Gal) 1 and ST6Gal2 were increased through activation of $TGF-{\beta}RI/SMAD2/3$ signaling in endometrial cells. In addition, we discovered that terminal sialic acid glycan epitopes of endometrial cells engage with sialic acid-binding immunoglobulin-like lectin-9 expressed on mesothelial cell surfaces. Interestingly, in an in vivo mouse endometriosis model, inhibition of endogenous sialic acid binding by a $NeuAc{\alpha}2-6Gal{\beta}1$-4GlcNAc injection diminished $TGF-{\beta}1$-induced formation of endometriosis le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creased sialylation of endometrial cells by $TGF-{\beta}1$ promotes the attachment of endometrium to the peritoneum, encouraging endometriosis outbreaks.

고문헌 보존처리의 클리닝 방법에 따른 인공열화지 물성 변화 - 침적 습식클리닝을 중심으로 - (The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aging Paper in the Cleaning Process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Historical Paper Documents - Focusing on Immersion Wet Cleaning -)

  • 정선화;조안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228-237
    • /
    • 2013
  • 지류문화재는 유기질이라는 재질의 특성상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손상인자(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위적 원인)에 의해 유물의 보존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그 손상 정도에 따라 적절한 보존처리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중 유물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습식클리닝 처리가 지류문화재를 구성하는 주 원료인 한지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공시재료로 인공열화지를 사용하였고 습식클리닝(침적식)을 적용하여 처리 전 후의 색차와, 내절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습식클리닝(침적식)에 의한 색도의 변화와 내절강도는 30분 침적을 2회 반복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때가 클리닝의 효율과 재질의 안정성이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Nrf2-mediated activation of HO-1 is required in the blocking effect of compound K, a ginseng saponin metabolite, against oxidative stress damage in ARPE-19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Cheol Park;Hee-Jae Cha;Kyoung-Seob Song;Heui-Soo Kim;EunJin Bang;Hyesook Lee;Cheng-Yun Jin;Gi-Young Kim;Yung Hyun Cho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311-318
    • /
    • 2023
  • Background: The beneficial effects of compound K (CK) on different chronic diseases have been shown to be at least related to antioxidant action. Nevertheless, since its antioxidant activity in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 cells is still unknown,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CK alleviates oxidative stress-stimulated damage in RPE ARPE-19 cells. Methods: The cytoprotective consequence of CK in hydrogen peroxide (H2O2)-treated cells was evaluated by cell viability, DNA damage, and apoptosis assays. Fluorescence analysis and immunoblotting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action of CK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Results: H2O2-promoted cytotoxicity, oxidative stress, DNA damage, mitochondrial impairment, and apoptosi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CK in ARPE-19 cells. Furthermore,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phosphorylation level and its shuttling to the nucleus were increased, which was correlated with upregulated activation of heme oxygenase-1 (HO-1). However, zinc protoporphyrin, a blocker of HO-1, significantly abrogated the preventive action of CK in H2O2-treated ARPE-19 cell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ctivation of Nrf2/HO-1 signaling by CK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cuing ARPE-19 cells from oxidative cellular damage.

기계학습 기반 근감소증 예측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Data Preprocessing for Predicting Sarcopenia Based on Machine Learning)

  • 최윤;윤유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37-744
    • /
    • 2023
  • 근감소증은 노인들 사이에서 점점 더 흔하게 발생하고 있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질병이다. 근감소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노화, 식습관, 운동 부족등이 주요한 원인들 중 하나이다. 근감소증은 원인이 다양한 만큼 예방 및 치료에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요인이 다양한 만큼 사람이 근감소증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렵다. 여기서 기계학습을 이용해 근감소증 예측의 정확도와 편의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생활습관과 생체 데이터의 양은 방대한 만큼, 전처리 없이 데이터를 쓰기에는 시간복잡도와 정확성 측면에서 부적절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감소증과 그 원인에 대한 최신 문헌을 검토하고, 그에 맞게 기계학습 기만 근감소증 예측에 활용할 데이터를 전처리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경상도 전통 마른 오징어 식해로부터 젖산균의 분리, 동정 및 숙성과정 중 유기산의 변화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Changes of Organic Acid during Aging of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이희덕;최희진;김성;성태수;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67-172
    • /
    • 2001
  • 경상도 동해안 연안에서 향토식품으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마른오징어를 주원료로 한 식해를 제조하여 젖산균을 분리 동정하고 숙성 과정 중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로부터 성장이 우수하고 산생성력이 강한 3 균주는 Lactobacillus brevis SH-1, Lactobacillus plantarum SH-2 및 Leuconostoc mensenteroides SH-3로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식해의 발효기간별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차 증가하다가 10일을 전후하여 차차 감소하였고 숙성 6일째 총균수 및 젖산균수는 각각 $3.7{\times}10^9$$8.2{\times}10^8\;CFU/g$이였다. 식해의 비휘발성 유기산은 숙성과정 중 젖산을 포함하여 7 종류를 동정하였으며 구연산,주석산 및 젖산의 함량은 숙성과정 중 차차 증가하였고 특히 젖산의 증가는 다른 유기산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초산 및 주석산의 함량 변화는 숙성과정 7일 이후에 차차 증가하였다.

  • PDF

Glutaminase첨가에 의한 장류 발효물의 숙성 중 L-Glutamic acid 함량 변화 (Effect of Glutaminase on the Production of L-Glutamic Acid in Soybean Fermentation Products during Aging)

  • 김남대;김현진;장덕규;안병권;주현규;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29-33
    • /
    • 2000
  • 장류 품질개선의 일환으로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발효물에 glutaminase첨가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숙성기간에 따른 L-glutamic acid와 아미노태질소(AN) 함량을 분석하였다. 효소첨가구의 발효초기에 대한 발효 45일 째의 glutamic acid의 함량 증가는 고추장이 671.8%, 간장 298.1% 및 된장 193.4% 순으로 높았다 무첨가구에 대한 발효 45일째의 glutamic acid의 함량 증가는 고추장이 363.1%, 된장 159.2%, 간장 35.7% 순으로 높아 고추장 발효물에 대한 glutaminase 첨가 호과가 가장 높아 3배 이상 되었다 또한 glutaminase 첨가시 아미노태질소 함량의 발효초기에 대한 증가효과는 45일 째에 고추장이 216.0%, 간장 120.8% 및 된장 84.5% 순으로 높았고, 무첨가구와 비교하였을 경우 발호 45일에 된장이 40.3%, 고추장 35.7%, 간장 8.4% 순으로 증가하였다. glutaminase첨가 제품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하여 맛과 향, 기호도에서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된장 koji 및 그 혼합에 따른 된장 숙성 과정중의 화학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in fermented Doenjang depend on Doenjang koji and its mixture)

  • 주현규;김동현;오균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351-360
    • /
    • 1992
  • 개량식과 재래식 된장의 기호와 향기의 단점을 제거하구 장점을 보완 유지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당화력이 우수한 Aspergillus oryzae koji, Rh. delemar koji 및 재래메주의 배합을 달리하여 된장을 담그고, 된장 koji의 효소활성변화, 된장 숙성과정 중의 화학성분 변화 및 향기성분 분석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여 적정 배합비율과 숙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alpha},\;{\beta}-Amylase$ 활성도는 Asp. oryzae koji가 각각 312, $235\;{\mu}g/ml$이고 Rh. delemar koji는 각각 16, 38 mg/ml이었다. 총 질소는 숙성과정 중 처음과 거의 같은 양이 유지되었고, 아미노테 질소함량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D구), Asp. oryzae koji Doenjang(A구) 그리고 Asp. oryzae koji+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숙성 40일에 각각 460, 444, 426gm%로 가장 많았고 Rh. delemar koji의 단용된장은 196mg%로 적었다. 총당은 숙성과정중 모두 점차 감소하였고, 환원당 함량도 숙성 20일까지는 증가하였다가 숙성 30일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알콜함량은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인 Rh. delemar koji Doenjang(G구) 시험구가 3.42%로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citrate, malate, lactate, succinate acetate가 검출되었으며, 그중 Rh. delemar koji 단용된장에서 acetic 함량(171.6mg/g)이 가장 높았다. 향기 성분은 8종의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그중 주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4-pyran-4one-3hydroxy-2methyl, 1-octen-3-ol로 전체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숙성 40일된 된장의 맛, 향, 색에 대한 관능검사 성적은 Asp. oryzae+Rh. delemar koji Doenjang(A구)와 Asp. oryzae koji Doenjang(B구) 시험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중 Asp. orzae+Rh. delemar koji Doenjang(C구) 시험구가 양호하였다.

  • PDF

여주의 amyloid beta 유도 알츠하이머질환 동물 모델에서 인지능력 개선 효과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in amyloid beta-induced Alzheimer's disease mouse model)

  • 신승미;김지현;조은주;김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9-307
    • /
    • 2021
  • 뇌 내 amyloid beta (Aβ) 축적으로 인한 신경독성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하여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AD)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활성분획물인 butanol (BuOH) 분획물의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인지능 개선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T-미로 실험 및 물체인지실험을 통해서 여주 BuOH 분획물 100 및 200 mg/kg/day 농도 투여군은 AD를 유도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새로운 경로와 물체를 탐색하는 비율이 감소되어 공간인지 및 물체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중미로실험을 통해 학습·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여주 BuOH 분획물 투여군은 훈련을 반복할수록 숨겨진 도피대를 찾아가는 시간이 감소함을 통해 학습·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여주 BuOH 분획물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 산화 함량 및 nitric oxide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여주 BuOH 분획물을 처리한 군은 Aβ25-35를 주입한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뇌, 간, 신장 조직에서 지질과산화 함량 및 NO 생성량이 감소되어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주 BuOH 분획물이 Aβ25-35 유도 AD 동물모델에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을 통해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여주는 AD 예방 및 개선용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외여과공정을 이용한 사과주의 품질개선 (Ultrafiltr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Apple Wine)

  • 정재호;목철균;임상빈;박영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01-206
    • /
    • 2003
  • 사과 착즙액을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사과주의 발효패턴을 관찰하였으며 숙성과정 및 한외여과에 따른 미생물학적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과 착즙액을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2224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14일간 발효시킨 후 $15^{\circ}C$에서 14주간 숙성시킨 결과 발효기간 중 총세균과 효모는 각각 $1.4{\times}10^3$ CFU/ml, $4.3{\times}10^4$ CFU/ml에서 $2.8{\times}10^6$ CFU/ml, $1.2{\times}10^7$ CFU/ml로 증가하였다. 숙성과정을 거친 후에는 총세균수는 $10{\times}10^5$ CFU/ml로, 효모수는 $1.2{\times}10^4$ CFU/ml로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중 당도는 $20.0^{\circ}Brix$에서 $8.5^{\circ}Brix$로, 환원당은 9.66%에서 6.44%로 감소한 반면, 알코올 함량은 7.0%로, 산도는 0.19%에서 0.24%로 증가하였다. 14주 동안 숙성하였을 때 pH, 산도, 당도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환원당과 고형물 함량은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11.8%까지 증가하였다. 사과주를 $0.45\;{\mu}m$ nitrocellulose 미세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재질과 공경이 서로 다른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한 결과 Biomax 100k 막의 초기 $flux(121.2\;liter/m^2/h)$와 평균 flux가 사용한 한외여과막 중에서 가장 높았다. 한외여과에 의해 사과주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탁도와 고형물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그 이외의 이화학적 특성은 변화하지 않았다. 사과주를 $15^{\circ}C$에서 6주간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기간동안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화학적 특성도 변화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