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floccula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초

Achromobacter sp. YJ-66가 생산하는 생물응집제의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flocculant Produced by Achromobacter sp. YJ-66.)

  • 우정숙;정준영;도대홍;조재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33-238
    • /
    • 2000
  • To develop biodegradable and safe flocculant, Achromobacter sp. HY-66 were isolated from soil. The purified flocculant was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in an approximate molar ratio of 1:24. Molecular weight was approximately 9$\times$105 dalton by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Element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carbon, hydrogen and oxygen were 37.72%, 5.37% and 56.89%,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O-H stretching, C-H streching, carboxy ester and C-H bending were confirmed by IR absorption spectrum analysis. We suggest that a bioflocculant produced from Achromobacter sp. YJ-66 is new and different from other bioflocculants.

  • PDF

Lactobacillus jensenii YW-33이 생산하는 다당류성 생물응집제 및 생산조건

  • 서호찬;최양문;조홍연;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8-334
    • /
    • 1997
  • A bioflocculant producing bacterium for wastewater treatment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jensenii. The bioflocculant was supposed as a polysaccharide. Lactobacillus jensenii YW-33 produced the flocculant with highest activity in the medium composed of 2% sucrose, 0.05% tryptone, 0.5% yeast extract, 0.01% K$_{2}$HPO$_{4}$, 0.01% KH$_{2}$PO$_{4}$, 0.01% NaCl, 0.005% MnSO$_{4}$, 5H$_{2}$O and 0.2% Tween 80. The optimal culture pH and temperature were 7.0 and 25$\circ$C, respectively. In the time course of production with jar fermentor, the productivity of the flocculant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ell growth and the cultivation time for maximum production was 24 hrs, showing flocculating activity of 1,130 units per ml.

  • PDF

Bioflocculant and Anticorrosive Activities of the Biopolymer Produced by Lysinibacillus macroides

  • Kartik Andharia;Prateek Shilpkar;Mayur Sha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5-431
    • /
    • 2023
  • The biopolymer produced by Lysinibacillus macroides can be useful as an emulsifying agent, flocculating agent, anti-oxidative agent, and anti-corrosive agent. The present work focused on the functional activities of this biopolymer such as bioflocculant and anti-corro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r the biopolymer as a bioflocculating agent reveal that the biopolymer gave 72.3% flocculating activity against activated carbon at a concentration of 5 mg/l. In the optimization study, the highest bioflocculant activity was obtained in the presence of CaCl2 mineral at 15% biopolymer concentration, 7.0 pH, and 40℃ temperature. The biopolymer was also studied for its anti-corrosive nature and observed that it was able to prevent corrosion of steel paper clips in a 6% CaCl2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0.5% after 7 days.

응집제 생산균주의 분리 및 배양특성 (Isolation of Bioflocculant-Producing Microorganism and Its Culture Characteristics)

  • 이태호;이순호;권기석;이재동;이문호;오희목;윤병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90-795
    • /
    • 1995
  • 응집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토양시료로 부터 분리하여 그 중 응집활성이 높은 1 균주를 선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조사한 결과, Arcuadendrop sp.으도 동정되었으며 본 균주를 Arcuadendron sp. TS-49로 명명하였다. 응집제 생산 최적배지는 3% glucose, 0.2% yeast extract, 0.1% $NH_4Cl$, 0.05% $MnSO_4$, 0.01% $MgSO_4$ (pH 7.0)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온도 및 배양 pH는 $30^{\circ}C$, pH 7.0일 때가 최적이었다. 최적 배양조건하에서 4~5일간 배양시 응집제 생산량이 최대에 도달하였으며 배양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응집활성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생분해성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따. 이때의 응집제 생산량은 screening 배지에 비해 거의 10배 정도로 향상되었으며, 각종 microorganism과 suspended solid에 대한 응집작용을 검토한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공시물질에 응집활성을 나타내었다.응집제의 조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종 정성 test를 행한 결과, 당과 단백질이 검출되어 일종의 glycoprotein 임이 확인되었다.

  • PDF

미세조류 분리/회수를 위한 세포외 고분자물질 생물 응집제 활용 (Application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s)-bioflocculant for recovery of microalgae)

  • 최오경;;김종락;맹승규;김극태;이재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69
    • /
    • 2021
  • Microalgae are primary producers of aquatic ecosystems, securing biodiversity and health of the ecosystem and contributing to reduc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rough carbon dioxide fixation. Also, they are useful biomass that can be used as biological resources for producing valuable industrial products. However, harvesting process, which is the separation of microalgal biomass from mixed liquor, is an important bottleneck in use of valorization of microalgae as a bioresource accounting for 20 to 30% of the total production co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sewage sludge-derived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 as bioflucculant for harvesting microalgae. We compared the floccul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using EPSs extracted from sewage sludge by three methods. The flocculation efficiency of microalgae is closely related to the carbohydrate and protein concentrations of EPS. Heat-extracted EPS contains the highest carbohydrate and protein concentrations and can be a best-suited bioflocculant for microalgae recovery with 87.2% flocculation efficiency. Injection of bioflocculant improved the flocculation efficiency of all three different algal strains, Chlorella Vulgaris, Chlamydomonas Asymmetrica, Scenedesmus sp., however the improvement was more significant when it was used for flocculation of Chlamydomonas Asymmetrica with flagella.

Bacillus sp. A56을 이용한 응집제 생산 (Bioflocculant production from Bacillus sp. A56)

  • 서현효;이문호;김희식;박찬선;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6-493
    • /
    • 1993
  • A gram(+) bacteria that produced microbial flocculant was isolated from soil and classified as a Bacillus species and named as Bacillus sp. A56. The culture conditions of the strain for fluocculant production were studied in a shake flask.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flcculant production were 30C and 6.5, respectively. The optimized medium has gollowing composition: glucose 20g/l, NH4NO3 0.5g/l, K2HPO4 1.0g/l, KH2PO4 0.8g/l, MgSO4.7H2O 0.2g/l, MnSO4.4-6H2O 0.3g/l, CaCO3 0.5g/l, yeast extract 0.3g/l, tryptone 0.3g/l in tap water.

  • PDF

$Lactobacillus$ $jensenii$ YW-33이 생산하는 생물응집제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flocculant Producing from $Lactobacillus$ $jensenii$ YW-33)

  • 서호찬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05-311
    • /
    • 2011
  • $Lactobacillus$ $jensenii$ YW-33이 생산하는 생물응집제의 활성본체를 규명하고자 응집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그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생물응집제의 활성 본체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 자체와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을 비교한 결과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이 86%로 높은 응집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pronase 처리와 periodate 산화를 행한 결과 pronase로 처리한 시료는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던 반면 periodate로 산화시킨 시료는 응집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다당에 기인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균체가 제거된 상등액을 감압, 농축하여 EtOH 60~80%의 농도로 분획한 결과 LJ-80을 얻었다. 분리된 LJ-80을 DEAE-Toyopearl 650C chromatography, Sepharose CL-6B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최종 정제된 LJ-80-II-1을 분리하였으며 HPLC 분석에 의해 순도를 확인했다. 정제된 LJ-80-II-1의 분자량은 약 800,000 이상이며 총당이 98.4%, 단백질이 0.6%으로 mannose : galactose : glucose가 1.61 : 0.25 : 1.00의 molecule ratio을 가지고 있었다.

Aeromonas hydrophila KH-54가 분비하는 유기폐수처리용 생물응집제 생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Bioflocculant Production Conditions for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with Aeromonas hydrophila KH-54)

  • 서호찬;이정석;윤주환;이윤석;조홍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65-470
    • /
    • 1998
  • 미생물이 생산하는 유기폐수처리용 생물응집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보관균주 및 자연계로부터 100 units/ml 이상의 응집활성을 나타내는 응집제 생산균주를 1차로 분리하고 돈분폐수에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인 KH-54를 최종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는 Aeromonas hydrophila로 동정되었으며 응집제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2.0% mannitol, 0.05% ammonium chloride, 0.02% $KH_2PO_4$, 0.01% $MgSO_4{\cdot}7H_2O$, 0.05% yeast extract 조성의 배지와 초기 pH 7.0, 배양온도 $25^{\circ}C$ 및 교반속도 150 rpm 의 환경인자들이었다. 상기의 조건으로 4일 배양하였을 때 770 units/ml의 응집활성과 81%의 높은 nephelometer turbidity unit(NTU)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응집물질은 돈분폐수 이외 두부공업폐수 92%, 제당폐수 78%, 주정공업폐수 68% 및 항생물질 발효공업폐수 36%의 NTU 제거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 PDF

Bacillus subtilis PUL-A로부터 생산된 Biopolymer 응집제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Biopolymer Flocculant Produced from Bacillus subtilis PUL-A)

  • 류미진;장은경;이삼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09
    • /
    • 2007
  • 비지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ls PUL-A 균주를 이용한 비지발효물로부터의 biopolymer flocculant 생산은 glutamate 함량이 5% 첨가한 후 $42^{\circ}C$에서 24시간동안 발효하는 경우에 PGA 생산량은 52.2g/kg으로 최대를 나타내었다. 부분 정제된 biopolymer flocculant의 PGA의 함량은 87%이었으며, 분자량은 $1.3{\times}10^6$ dalton 이상을 나타내었다. PGA의 pH 변화에 따른 점조도는 pH 6을 기준으로 산성 쪽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분자량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Bioflocculant의 유동특성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단속도가 증가되어 전형적인 의가소성 흐름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항복력도 증가하였다. Bioflocculant 용액의 점조도 값은 pH가 높을수록 열에 상당히 안정하였으나 열처리온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pH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Kaolin clay suspension을 이용한 응집활성에서 bioflocculant의 농도가 15 mg/L 일 때 최대 응집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응집활성은 $Ca^{2+}$을 첨가할 때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며 최적 농도는 4.5mM로 나타났다. 그러나 3가 양이 온인 $Fe^{3+}$을 첨가할 경우는 응집활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응집활성은 pH 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60{\sim}100^{\circ}C$에서 열처리함에 따라 응집활성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저분자량의 PGA보다는 native 고분자량의 PGA가 응집활성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grobacterium sp. KF-67에 의한 미생물 응집제 생산 (Production of Bioflocculant by Agrobacterium sp. KF-67)

  • 정준영;김교창;도대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95-301
    • /
    • 1997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120 여종의 집락 중 응집제를 생산하는 집락을 선발하고 가장 응집력이 우수한 K-67 균주를 최종 선발하여 Agrobacterium sp. KF-67로 동정하고 실험균주로 사용하였다. 응집제 생산시 최적 배지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응집활성을 kaolin과 활성탄 현탁액에서 응딥활성을 측정하였다. 최적 배지성분과 농도는 탄소원과 무기질소원은 glucose와 NH4NO3 각각 2%와 0.1%, 유기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 각 0.01%, 무기염으로 CaCO3을 0.04%를 첨가하였을 때 응집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배지 중 0.03% NaCl 첨가로 약 19%의 응집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Agrobacterium sp.에 의한 응집제 생산시 최적배지의 성분 조성과 함량은 2% glucose, 0.1% NH4NO3, 0.01% yeast extract, 0.01% peptone, 0.04% CaCO3, 0.03% NaCl이었고, 이때 기초배지에 비해 약 76.1%의 응집활성력이 증가하여 응집제 생산에 효과적인 배지성분 조건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