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ocular abnormaliti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시기능 교정의 임상사례 (Case Study of Vision Therapy)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1
    • /
    • 2006
  • 양안시 이상의 문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굴절 검사와 양안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절과 양안시에 문제가 있는 대상자들은 굴절 이상 교정 외에도 다른 추가적인 처방이 필요하였다. 그 중 폭주 과다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2명의 대상자를 정하여 완전 교정된 안경, 또는 근방에서(+)ADD를 처방하고 4주 동안 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다. 4주 후 근업시 환자들의 불편감은 많이 해소되었으며, 타각적 검사 값들도 개선되었다. 임상에서 광학적 교정과 함께 시기능 훈련을 양안시 이상의 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향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양안시 이상치료에 시도해도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양안시이상 교정의 일상사례 (Case Study of Vision Therapy)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7-93
    • /
    • 2007
  • 조절이상과 양안시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안시 이상 발생 빈도는 다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는데, 환자들은 비정시의 교정 뿐 아니라 진단된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몇 가지 처방이 필요하였다. 그 중 복시와 안정피로, 간헐적 흐림 동의 증상을 가진 폭주부족으로 판단된 두 명의 환자에 대해 완전교정 처방과 함께 4주 동안의 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폭주부족, 조절부족 등 하나, 또는 혼합형 양안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4주 후 결과에서 실시한 시기능 훈련은 폭주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보였으며,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양안에 발생한 동양안충증 1예 (A Case of Human Thelaziasis Occurred in Both Eyes)

  • 민홍기;전규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133-136
    • /
    • 1988
  • 양안에 발생한 동양안충증 1예를 발견하고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 증례는 농업에 종사해 온 23세 청년으로서 Thelagia callipaeda에 의한 양안침범의 첫 예에 해당되며, 국내에 있어서 전라북도 지역에서의 첫 보고례인 동시에, 6마리의 다수기생례이어서 특기할 만하다 하겠다.

  • PDF

Congenital Anomalies of Lower Lacrimal Puncta and Nasolacrimal Duct Atresia in a Labrador Retriever Dog

  • Park, Eun-Jin;Kang, Seon-Mi;Park, Sang-Wan;Kwak, Ji-Yoon;Lim, Jae-Gook;Nam, Taek-Jin;Jeong, Seo-Woo;Seo, Kangm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8-230
    • /
    • 2016
  • An 1-year-old, spayed, female Labrador Retriever was presented for bilateral epiphora. A complete ophthalmic examination was conducted, including Schirmer tear test, rebound tonometry, fluorescein staining, slit lamp biomicroscopy, and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y. To determine the patency of the nasolacrimal duct system, a nasolacrimal flush and dacryocystorhinography were also performed. Although the nasolacrimal flush showed patency in the upper and lower lacrimal puncta in both eyes (OU), the lower lacrimal puncta were not found in the original palpebral conjunctiva, but on medial canthal skin with very small opening. Moreover, the nasolacrimal ducts in OU were not patent with flushing. Bilateral nasolacrimal duct atresia was confirmed by dacryocystorhinography. No other abnormalities of the eyes were found on complete ophthalmic examinations. Bilateral congenital anomalies of the lower lacrimal puncta and nasolacrimal duct atresia were diagnosed in this d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