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Vision Therapy

양안시이상 교정의 일상사례

  • Received : 2007.03.11
  • Published : 2007.04.26

Abstract

Eye examination was performed for diagnosis accommodative and binocular dysfunction. The prevalence rates were similar to other studies, therefore patients required not just the correction of the refractive error but a specific treatment for each diagnosed problems. Two symptomatic(diplopia, asthenopia, and intermittent blur) patients diagnosed as a convergence insufficiency was given full correction with visual training for 4weeks. They had a one or mixed binocular problems include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Following 4 weeks later, visual training was effective to Improve convergence and suggest that continuous observation is necessary.

조절이상과 양안시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안시 이상 발생 빈도는 다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는데, 환자들은 비정시의 교정 뿐 아니라 진단된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몇 가지 처방이 필요하였다. 그 중 복시와 안정피로, 간헐적 흐림 동의 증상을 가진 폭주부족으로 판단된 두 명의 환자에 대해 완전교정 처방과 함께 4주 동안의 시기능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폭주부족, 조절부족 등 하나, 또는 혼합형 양안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4주 후 결과에서 실시한 시기능 훈련은 폭주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보였으며,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