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as-correcti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7초

비편향 회귀분석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본류 부유사량 산정방법의 신뢰도 향상 (Improvement of Suspended Solid Loads Estimation in Nakdong River Using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 한수희;강두기;신현석;유재정;김상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1-259
    • /
    • 2007
  • In this study three log-transformed linear regression models are compared with the focus of bias correction problem. The models are the traditional simple linear regression estimator (SL), the quasi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QMLE) and the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MVUE). Using such models, suspended solid loads can be estimated using the discharge - suspended solid data set that has been measured by NIER Nakdong River Water Environment Laboratory. As a result, SL shows negative bias for most values of the measured discharge range. QMLE is nearly unbiased for moderate values of the measured discharge range, but shows increasingly positive bias for either large or small value of the measured discharge range. MVUE is unbiased. It is also analyzed how the estimated regression coefficient and exponent are distributed along Nakdong river main stream.

Examination History and Abnormal Thyroid and Breast Lesions According to Residential Distance from Nuclear Power Plants

  • Lim, Young-K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4호
    • /
    • pp.402-408
    • /
    • 2016
  • Background: Ascertainment bias are common in epidemiologic studie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 cancer risk and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because many thyroid cancers are diagnosed by chance through health examination. We surveyed the ultra sonography (USG) examination history and conducted thyroid and breast USG in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2,421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Information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diagnostic examination history, was collected by interview using questionnaires. USG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sence of thyroid nodules and breast lesion.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ir respective villages from a nuclear power plant. The proportions of USG examination history and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and breast lesion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and Discussion: Examination histories of thyroid USG were 23.1%, 13.7%, and 10.5% in men and 31.3%, 26.7%, 18.3% in women in the short, intermediate, and long distance groups,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inverse associations between thyroid USG history and the distance from nuclear power plants (P for trend = 0.001 for men and 0.017 for women).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distance of villages from nuclear power plants and prevalence of thyroid nodule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re may be an ascertainment bias in population-based studies examining the harmful effects of NPPs examination and resear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ascertainment bias resulted from differential health examination. Correction for ascertainment bias, active follow-up and examination for all study population to remove differential health examination is needed.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Flood Simulation using Vflo and Radar Rainfall Adjustment Data by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 노희성;강나래;김병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3-254
    • /
    • 2012
  • 최근 강우의 공간분포와 이동 및 발달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레이더강우 자료의 활용이 수문학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레이더 강우자료는 지상강우자료와 비교하여 자료의 신뢰성 확보가 되지 않아 실제 자료의 운용 및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문해석 분야에서는 레이더 강우를 활용하기 위해 레이더강우를 지상강우와 합성하여 보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FB(Mean-Field Bias)보정기법과 SOA(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보정기법을 이용해 2010년 8월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시공간 분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격자형 레이더 강우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집중형 수문모형보다 유역내의 공간적인 유량변동을 보다 상세하게 고려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분포형모형(Vflo)을 국내 유역(낙동강권역 : 감천유역($1005km^2$))에 적용하여, 모의유출량과 관측유출량의 비교를 통해 레이더강우자료의 활용성 및 보정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보정방법에 의한 첨두유량 오차는 20% 내외, 모델효율은 60~8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OA방법을 통해 보정된 격자형 레이더 강우자료는 유출모형의 입력 자료로서 수문학적 활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pex/Poseidon위성 고도계 자료에 대한 신호처리 및 한반도 주변해역에 대한 그 적용 (Signal Treatement for Topex/Poseidon Satellite Altimetric Data and Its Application near the Korean Seas)

  • 윤홍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31
    • /
    • 1999
  • Topex/Poseidon위성의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양 및 대기적 보정인자들의 특성과 평균 해수면 및 그 변화를 각각 알아 보았다. 이때 사용한 고도계 자료는 1992년 9월부터 1994년 8월(총 70개의 싸이클)까지의 자료를 사용했다. 또한 동시에 고도계 자료의 추출 및 신호 처리를 통한 최종의 해양신호(해수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대기적 보정인자들로서 건조 및 습윤 대류층, 이온층 그리고 해면기압의 변화 범위의 폭은 수cm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기적 편차의 변화 범위의 폭은 약 10cm로서 앞선 세 보정인자들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해양적 보정인자들의 변화 범위의 폭을 보면, 해양조(궤적 127에서는 3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60cm)는 탄성조(궤적 127에서는 5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와 하중조(궤적 127에서는 1.8cm 그리고 궤적 214에서는 1cm)에 비해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해양에서 해수면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인자는 해양조 그리고 전자기적 편차의 순이라는 것을 잘 알 수 있다. 최종 해양신호인 해수면의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특성을 보면, 황해에서의 평균 해수면은 동해 및 서해에 비해서 높았다. 그리고 이때 약 100cm의 평균 해수면 값과 함께 -60cm에서 210cm의 변화 범위를 보였다. 한반도 주변해안의 평균 해수면은 황해 및 동지나해에서 변화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해의 용암포의 경우는 RMS가 5.689cm인데, 이것은 이 지역의 국부적인 지형의 특성과 조류의 영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산악기상정보 융합 기반 재분석 기온 데이터의 추정 및 검증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Reanalysis Air Temperature based on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 민성현;윤석희;원명수;천정화;장근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44-255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의 ASOS 및 AWS와 AMOS 관측 값을 사용하여 1km 고해상도의 산악기상 격자 값을 추정하고 평가하였다. 해발고도 200m이상을 산악지역으로 정의하고 ASOS, AWS, AMOS 기상관측소를 산악기상이 반영된 기상데이터와 산악기상이 반영되지 않는 기상데이터로 나누었다. 2013년에서 2020년까지 산악기상 데이터를 적용하고 편의보정기법(bias correction method)방법을 통하여 산악기상 적용에 따른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적용하여 보정계수 및 산악기상 데이터가 반영된 고해상도 산악기상기온 격자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추정된 산악기상기온 격자데이터는 검증지점의 기상 기온 실측 값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산악기상 데이터 반영 및 보정계수가 반영된 산악기상 고해상도 격자 기온은 산악기상이 반영되지 않는 격자기온보다 RMSE가 34%(평균기온), 50%(최저기온), 31%(최고기온)가 감소하였다. 이는 산악기상 정보기반과 산악기상 보정계수를 적용이 국내 산악기상고해상도 격자 생성에 있어서 정확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1km 고해상도의 기온 격자데이터는 추후 기후변화에 대한 산림생태계 변화 및 산림재해 모델의 검증을 위한 데이터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Unbiasedness or Statistical Efficiency: Comparison between One-stage Tobit of MLE and Two-step Tobit of OLS

  • Park, Su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4권2호
    • /
    • pp.77-87
    • /
    • 2003
  • This paper tried to construct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odels on the basis of economic theory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 of statistical efficiency and unbiasedness including the sample selection bias correcting problem. Comparative analytical tool were one stage Tobit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Heckman's two-step Tobit of Ordinary Least Squa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equacy of model for the analysis on demand and choice, we believe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explanatory variables between the first selection model and the second linear probability model. Since the Lambda, the self- selectivity correction factor, in the Type II Tob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is no self-selectivity in the Type II Tobit model, indicating that Type I Tobit model would give us better explanation in the demand for and choice which is less complicated statistical method rather than type II model.

Short-Channel EIGFET의 Threshold 전압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reshold Voltage Model for Short-channel EIGFET)

  • 박광민;김홍배;곽계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drain 전압과 substrate bias에 종속적인 관계를 갖는 short-channel enhancement-mode IGFET의 threshold전압에 대한 보다 개선된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최근에 발표된 몇몇 모델들에 비해. short-channel effect에 의한 correction factor를 정확히 해석함으로써 오차를 충분히 줄일 수 있었으며, 본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한 이론값은 약 1μm 정도의 채널 길이를 갖는 device에 대해서도 실험값과 잘 일치한다.

  • PDF

오프셋 보정 기술을 이용한 비냉각형 적외선 센서용 신호검출 회로 설계 (Design of Readout IC for Uncooled Infrared Bolometer Sensor using Bias Offset Correction Technique)

  • 박상원;황상준;홍승우;정은식;성만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6
    • /
    • pp.23-25
    • /
    • 2005
  • Infrared bolometer sensor's variation is detected by voltage drop between reference resistor and bolometer resistor in this architecture.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this architecture is that these resistors value has a process variation. So common-mode level could be different from expectation in room temperature. Different common-mode level could lead to wrong output at the end of readout circuit. We suggest useful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Difference correction using capacitor has reduced CM level difference to 86% for 1 $M\Omega$. bolometer and reference resistor's 10% variation.

  • PDF

원격탐사자료의 放射값 補正 (Radiometric Corrections of Digital Remote Sensing Data)

  • 정성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29
    • /
    • 1994
  • 원격탐사자료의 픽셀값 변이 중 (위성에 의하여) 주사되는 물체 또는 전경등의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닌 기타 변이에 대해서는 핏셀의 방사값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핏셀값 변이의 원 인에 대해서는 감지방치의 성능차이 및 작동불량, 또는 대기에 의한 간섭효과등을 들 수 있다. 감 지장치들의 성능차에 의하여(원치 않는) 줄이 그어진 화상자료를, 그리고 작동불량으로 값이 零 (영)인 픽셀들을 얻게 되며, 또한 빛의 산란에 기인하는 대기의 편기등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 한 변이들에 대하여는 그 방사값을 보정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방사값 보정법으로 일부 주요원 칙에 대하여 예제와 함께 고찰하였다.

Performance Expectation of Single Station PPP-RTK using Dual-frequency GPS Measurement in Korea

  • Ong, Junho;Park, Sul Gee;Park, Sang Hyun;Park, Chansik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0권3호
    • /
    • pp.159-168
    • /
    • 2021
  • Precise Point Positioning-Real Time Kinematic (PPP-RTK) is an improved PPP method that provides the user receiver with satellite code and phase bias corr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atellite orbit and clock, thus enabling single-receiver ambiguity resolution. Single station PPP-RTK concept is special case of PPP-RTK in that corrections are computed, instead of a network, by only one single GNSS receiv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perimentally verify the positioning accuracy performance of single baseline RTK level by a user who utilizes correction for a single station PPP-RTK using dual frequencies. As an experimental resul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95% accuracy was 2.2 cm, 4.4 cm, respectively, which verify the same performance as the single baseline RT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