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 type

검색결과 2,066건 처리시간 0.027초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beta}-Amylase$ Gene from Paenibacillus sp. and Its Express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Jeong, Tae-Hee;Kim, Hee-Ok;Park, Jeong-Nam;Lee, Hye-Jin;Shin, Dong-Jun;Lee, Hwang-Hee Blaise;Chun, Soon-Bai;Bai,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65-71
    • /
    • 2001
  • A gene from Paenibacillus sp. KCTC 8848P encoding ${\beta}-amylas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Paenibacillus ${\beta}-amylase$ gene cosisted of a 2,409-bp open reading frame without a translational stop codon, encoding a protein of 803 amino acids. The presumed ribosime-binding site, GGAGG, was located 10 bp upstream from the TTG initiation cod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beta}-amylase$ gene had a 95% similarity to the ${\beta}-amylase$ of Bacillus firmus. The ${\beta}-amylase$ gene was introduced into wild-type strain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a linearized yeast integrating vector containing a geneticin resistance gene and its product was secreted into the culture medium.

  • PDF

Asialofetuin에 대한 Aspergillus oryzae, bovine liver Saccharomyces fragilis 유래 $\beta$-galactosidase의 반응 조건 (The Reaction Conditions of $\beta$-Galactosidases from Aspergillus oryzae, Bovine Liver, and Saccharomyces fragilis to Asialofetuin)

  • 윤재경;이영재;구본웅;윤상영;유창수;김하영
    • 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7-203
    • /
    • 2000
  • The enzymatic properties of $\beta$-galactosidases from Aspergillus oryzae, bovine liver and Saccharomyces pragilis have been studied using enzyme-linked lectin assay based on the RC $A_{120}$ and BS-II lectins which specifically bind to terminal galactose and GlcNAc residue, respectively. Asialofetuin, a monomeric glycoprotein with approximately 48 kDa in molecular weight, was used as a substrate. This glycoprotein contains three N-linked triantennary complex type carbohydrate chains with each of which terminating in Ga1$\beta$P1 longrightarrow4G1cNAc (74%). Their optimal pHs were 3.5 and 6.5 (A. oryzae), and 3.5~5.5 (bovine liver and S. fragilis) at 37$^{\circ}C$ during 24 hrs, and the effective concentrations were 0.9, 2.9, and 1.7 mg/ml, respectively The enzyme from A oryzae requires 100 mM N $a^{+}$ or $K^{+}$, while the enzyme from bovine liver requires $Ba^{2+}$ for activity. However all of the three $\beta$-galactosidases were inactivated by SDS and C $u^{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ydrolysis of glycoprotein such as asialofetuin depends on the reaction conditions of $\beta$-galactosidases and some metal ions. ions.

  • PDF

Kinetic Study on Michael-type Reactions of 1-Phenyl-2-propyn-1-one with Alicyclic Secondary Amines: Effect of Medium on Reactivity and Mechanism

  • Hwang, So-Jeong;Park, Youn-Min;Um, Ik-Hw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10호
    • /
    • pp.1911-1914
    • /
    • 2008
  • Second-order rate constants (kN) have been measured for Michael-type addition reactions of a series of alicyclic secondary amines to 1-phenyl-2-propyn-1-one (2) in MeCN at 25.0 ${\pm}$ 0.1 ${^{\circ}C}$. All the amines studied are less reactive in MeCN than in $H_2O$ although they are more basic in the aprotic solvent by 7-9 p$K_a$ units. The Bronsted-type plot is linear with $\beta_{nuc}$ = 0.40,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reported previously for the corresponding reactions in $H_2O$ ($\beta_{nuc}$ = 0.27). Product analysis has shown that only E-isomer is produced. Kinetic isotope effect is absent for the reactions of 2 with morpholine and deuterated morpholine (i.e., $k^H/k^D$ = 1.0). Thus, the reaction has been concluded to proceed through a stepwise mechanism, in which proton transfer occurs after the rate-determining step. The reaction has been suggested to proceed through a tighter transition state in MeCN than in H2O on the basis of the larger $\beta_{nuc}$ in the aprotic solvent. The nature of the transition state has been proposed to be responsible for the decreased reactivity in the aprotic solvent.

일반계와 통일계 쌀 전분과 분획의 몇가지 구조적 성질 비교 (Comparision of Som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aponica and Tongil Rice Starches and their Fractions)

  • 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7-192
    • /
    • 1992
  • 일반계와 통일계 쌀 전분에 대한 구조적 성질을 조사하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쌀 성분의 호화온도 범위는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넓었고 쌀 전분의 최대 흡수파장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높았다. 고유점도는 전분,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모두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낮았다. ${\beta}$-아밀라아제 분해 한도는 전분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 길이와 바깥 사슬 길이는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짧았으나 안쪽 사슬 길이는 차이가 없었다. 열수 가용성 전분과 아밀로오스 함량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높았다. 또한 열수 가용성 전분을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는 품종마다 독특한 용출모양을 보였다.

  • PDF

화학(化學)펄프 제조(製造)에 미생물(微生物)의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 (On Possible Application of Microorganism for Chemical Pulping)

  • 이선호;윤병호;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43-152
    • /
    • 1997
  • 백색부후균인 Fomes pini (Thore) Lloyd에 의해 처리된 chip을 anthraquinone(AQ)을 첨가하여 화학 펄프화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미처리재의 것과 비교하였다. 균처리함에 의해 카파값 20에서의 H factor는 소다와 크라프트 증해에서 각각 17%와 15%가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목재를 백색부후균으로 처리함으로 인해 탈리그닌이 용이해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페놀성 ${\beta}$-O-4 화합물인 veratrylglycerol-${\beta}$-guaiacyl ether(I)와 페놀성 ${\beta}$-O-4 화합물인 syringylglycerol-${\beta}$-syringyl ether(III)에 백색부후균을 작용시키면 반응생성물로서 각각 ${\alpha}$-guaiacoxy-${\beta}$-hydroxypropioveratrone(II)과 ${\alpha}$-syringyloxy-${\beta}$-hydroxypropiosyringone(IV)이 생성됨이 밝혀졌다. 따라서 목재에 균처리를 함으로서 카르보닐기가 리그닌의 측쇄 ${\alpha}$ 위에 도입되어 그로 인해 탈리그닌이 용이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보리의 도정 및 제분분획을 이용한 ${\beta}-Glucan$의 강화 (${\beta}-Glucan$ Enrichment from Pearled Barley and Milled Barley Fractions)

  • 이영택;석호문;조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88-894
    • /
    • 1997
  • 보리로부터 도정처리한 정맥 및 제분에 의한 분획별 ${\beta}-glucan$ 함량을 분석하여 ${\beta}-glucan$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쌀보리가 겉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을 강화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찰성 쌀보리인 수원-291이 메성인 무등쌀보리보다 ${\beta}-glucan$ 함량이 높았다. 보리 ${\beta}-glucan$의 용해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평균 약 67%가 수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쌀보리는 도정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1.2배까지 높아졌으며 쌀보리를 ${\beta}-glucan$이 가장 높은 상태인 정맥수율 $70{\sim}75%$로 도정하여 분쇄하고 $100{\sim}325-mesh$ 체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체질함에 의해 ${\beta}-glucan$ 함량이 22%까지 포함된 획분을 얻어 원맥 ${\beta}-glucan$ 함량의 3배 이상으로 강화하였다. 한편 보리를 $B{\ddot{u}}hler$ test mill을 사용하여 제분해 본 결과 보리가루의 ${\beta}-glucan$ 함량은 원맥에 비해 낮아진 반면 bran과 shorts에서는 원맥보다 높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Shorts와 bran은 다시 분쇄 후 체질함으로써 원맥의 2.4배까지 ${\beta}-glucan$이 강화된 획분을 얻을 수 있었다. 체질에 의해서 입자크기에 따라 분획된 보리가루 획분들은 총 ${\beta}-glucan$$40{\sim}81%$가 수용성이며 정맥으로부터 얻은 획분에 비해 $B{\ddot{u}}hler$ mill stream의 bran 및 shorts로부터 얻은 획분에서 용해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

Hemicellulose계열 올리고당 탐색 및 탄소원 대체에 의한 장내세균 생육활성용 신규 MRS배지의 조제 (Screening of Hemicellulose Oligosaccharides and Preparation of the Recipe for Modified MRS Medium by the Replacement of Carbon Source)

  • 이희정;박귀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72-276
    • /
    • 2008
  • 정제효소에 의해 locust bean gum galactoman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4와 6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3}(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triose)$로, D.P. 6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4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5}(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pentaose)$로 유추하고 있다. B. longum, B. bifidum,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4와 6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4와 6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galact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10배의, D.P. 4을 처리한 경우에도 7.6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6.6배, D.P 4에서 4.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animalis에 있어서는 D.P. 6의 경우 3.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6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4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MRS 배지의 제품화와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탄소원 대체소재는 Bacillus sp. 유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 인 ${Gal^3}{M_4}$가 가장 유리한 소재로 결정되어 신규 배지의 scale-up 공정을 구축중에 있다.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 정제 및 Konjac Glucomannan 가수분해 올리고당의 중합도별 Bifidobacterium spp.에 대한 증식활성 (Purification of Xylogone sphaerospora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by Konjac Glucomannan Hydrolysates)

  • 이희정;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59-163
    • /
    • 2008
  •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Xylogone sphaerospora 유래 ${\beta}$-mannanase의 정제를 수행하여 비활성 8.44 units/ml, 정제배율 56.27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분자량은 42kDa으로 결정되었다. 정제효소에 의해 konjac glucomanna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합도 3과 4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3과 4의 예상되는 구조는 본 연구실에서 확보하고 있는 standard glucomannooligosaccharides에 의한 TLC에서 나타나는 Rf value 상으로 1차적으로 확인하고, Aspergillus niger 5-16 유래 정제 ${\beta}$-mannanase를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가수분해 pattern을 TLC로 해석한 결과 D.P. 3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G-M)로,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3번째에 1분자의 gluc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M-M-G-M)로 예상하고 있다. B. longumm, B. bifidum, B. infantis,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3과4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 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3과 4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4 gluc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3.9배의, D.P. 3을 처리한 경우에도 2.7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reve의 경우에서도 D.P 4에서 2.47배, D.P 3에서 2.0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bifidum에 있어서는 D.P. 4의 경우 2.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4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3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셰일 압축강도의 고유이방성에 관한 연구 (Inherent Strength Anisotropy of the Shale in Daegu Region)

  • 이영휘;김희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7호
    • /
    • pp.45-51
    • /
    • 2008
  • 강도이방성 암석의 파괴규준에 관한 연구를 위해 대구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beddding-plane을 지닌 즉, 고유 이방성 암석인 셰일(shale)을 대상으로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과정에 있어 구속압력은 5, 10, 20, 30, 40MPa으로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료의 파괴를 위한 전단속도는 대상시료가 5~15분안에 파괴가 일어나도록, 0.1%/min을 적용하였다. beddding-plane을 포함한 고유 이방성 암석에 대한 시험결과는 최대주응력축과 beddding-plane사이의 각도에 따라 전형적인 shoulder-type으로 나타났으며, 구속압력이 증가할수록 이방성 효과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불연속면의 각도에 따른 암석의 강도 변화는 무결암 상태와 유사한 조건인 ${\beta}=0^{\circ}$$90^{\circ}$에서 최대의 압축강도를 보였고, 최소의 강도를 갖는 ${\beta}$ 값은 대략 $30^{\circ}$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Hoek & Brown 파괴규준은 암석의 강도이방성을 나타내는데 모든 ${\beta}$ 값의 범위에서 실측치와 잘 부합되는 결과를 주었으나 Jaeger의 파괴규준은 ${\beta}=15^{\circ}{\sim}45^{\circ}$ 범위에서만 실측치에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Dammarane-type Triterpenoid Saponins from the Root of Panax ginseng

  • Lee, Dong Gu;Lee, Jaemin;Yang, Sanghoon;Kim, Kyung-Tack;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111-121
    • /
    • 2015
  • The root of Panax ginseng, is a Korea traditional medicine, which is used in both raw and processed forms due to their different pharmacological activities. As part of a continued chemical investigation of ginseng,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root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semi-preparativ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ric,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Dammarane-type triterpenoid saponins were isolated from Panax ginseng root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and semi-preparativ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gypenoside-V (1), ginsenosides-Rb1 (2), -Rb2 (3), -Rb3 (4), -Rc (5), and -Rd (6)],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20(S)-notoginsenoside-R2 (7), notoginsenoside-Rt (8), 20(S)-O-glucoginsenoside-Rf (9), 6-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20-O-$\beta$-D-glucopyranosyl-$3\beta$,$12\beta$, 20(S)-dihydroxy-dammar-25-en-24-one (10), majoroside-F6 (11), pseudoginsenoside-Rt3 (12), ginsenosides-Re (13), -Re5 (14), -Rf (15), -Rg1 (16), -Rg2 (17), and -Rh1 (18), and vinaginsenoside-R15 (19)], and oleanene ginsenosides [calenduloside-B (20) and ginsenoside-Ro (21)]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spectroscopic analysis. The configuration of the sugar linkages in each saponin was established on the basic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data. Among them, compounds 1, 8, 10, 11, 12, 19, and 20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P. ginseng r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