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ly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9초

한식당 이용고객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삼겹살 전문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f Evaluation for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 The Case of Pork-belly Specialty Restaurant-)

  • 조용범;박종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38-547
    • /
    • 2005
  • Customer needs in food service industry is not only demanding high quality product(food), but also high quality service. Therefore, how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based on customers expectation, and how to design the service systems by food service industry or restaurants are important task. This study is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it aims analyzes factors influences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based on the perception of pork-belly specialty restaurants customers. It is expec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concerning level of satisfaction in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frequency of eating out relatively to the purpose of eating out, and research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service quality of food service industry after visiting the restaurant. Based on such results, solutions that can cope with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are suggested. Selec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samples, and purpose of eating out, which are limits of this study, needs to be studi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fter diversifying and segmentation.

A Study on the Epiderm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of Spotty Belly, Devil Stinger, Stone Fish, Cubed Snailfish, and Japanese Bluefish

  • Jeong, Gil-Na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85-91
    • /
    • 2008
  • Structure and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in the epidermis of five teleostean species, i. e., spotty belly, Agrammus agrammus, devil stinger, Inimicus japonicus, stone fish, Erosa erosa, cubed snailfish, Liparis tessellatus, and Japanese bluefish, Scombrops boops were investigated. The epidermis of five species studied is composed of three layers: superficial, middle, and basal layer. The superficial layer is comprised of rather flattened cells. Mucous cells, the type commonly found in fishes are completely lacking in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stone fish, and cubed snailfish.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and stone fish have multicellular glands which do not have mucosubstances. The skin surface of them is covered with mucous layer. The superficial cells in the epidermis of devil stinger, stone fish, and cubed snailfish are mucus-secreting cells. The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the mucosubstances vary in species and body regions. The mucous layer on the skin surface and superficial epidermal cells of devil stinger contain a mixture of neutral and acidic(sulfated and nonsulfated) mucosubstances. In stone fish, the mucous layer has acidic(sulfated and non-sulfated) mucin and the superficial epidermal cells contain neutral mucin. In cubed snailfish, the type of epidermal mucosubstances is identified as a mixture of neutral and acidic(non-sulfated) mucin. The mucous cells of the epidermis in spotty belly and Japanese bluefish contain neutral mucin.

합곡(合谷)(L14)의 자침(刺鍼)과 자석외첩(磁石外貼)이 천추(天樞)(S25) 부분(部分) 영역(領域)의 온도변화(溫度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비교(比較) (Comparison study of effects of magnetic therapy at Hap-Kok(LI4 ) on the thermal change of Chun-Choo(ST25) in man)

  • 백태호;박령준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39
    • /
    • 2001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 of a needle with the magnet on body. We took the skin temperature of the belly with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while we sticked needle and apply magnets on L14. We made experiments on 40 healthy male volunteers for one month. We classified control group not acupuncture or magnet adhering(CON). acupuncture group on left and right L14(LA). and the permanent magnet group adhering to left and right(LM). And LM is divided into S-polar permanent magnet group(LMS) and N-polar permanent magnet group adhering to left and right L14(LMN). When we observed that temperature changed with time, the skin temperature of th belly in CON descended significantly but LM, LMS and LMN is not changed significantly. As mentioned above. we observed that the needles on L14 affected the change of temperature on the belly, and conjectured that the appliance of magnets had the same results. If the mechanism depends on the meridian of body and energy. we suppose that the appliance of magnets and needles has same effects.

소형 저속 풍동에서 NASA 표준 연구 모형의 모형지지부 효과 연구 (Study on Model Support Interference of the Scaled NASA Common Research Model in Small Low Speed Wind Tunnel)

  • 김남균;조철영;고성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64
    • /
    • 2020
  • 29.7% 축소 NASA 표준 연구 모형에 대하여 소형 저속 풍동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풍동시험 모형은 NASA Langley 연구소와 AIAA 항력추정 워크숍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다. 풍동의 능력 한계 등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놀즈수인 0.3 × 106 에서 정적 힘과 모멘트를 측정하였다. 세 가지 타입(핀 스팅, 블레이드 스팅, 벨리 스팅) 모형지지부에 대하여 피칭모멘트를 비교하였다. 보정된 벨리 스팅과 핀 스팅에 의한 피칭모멘트 보정량은 비슷하였으며 블레이드 스팅에 의한 피칭모멘트 값이 가장 적었다.

Morphologic change of rectosigmoid colon using belly board and distended bladder protocol

  • Cho, Yeona;Chang, Jee Suk;Kim, Mi Sun;Lee, Jaehwan;Byun, Hwakyung;Kim, Nalee;Park, Sang Joon;Keum, Ki Chnag;Koom, Woong Sub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134-14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morphologic change of the rectosigmoid colon using a belly board in prone position and distended bladder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e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xcluding the proximal margin of anastomosis from the radiation field by straightening the rectosigmoid colon.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who received preoperative radiotherapy between 2006 and 2009 underwent simulation in a prone position (group A).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to 19 patients treated using a belly board in prone position and a distended bladder protocol (group B). Rectosigmoid colon in the pelvic cavity was delineated on planning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A total dose of 45 Gy was planned for the whole pelvic field with superior margin of the sacral promontory. The volume and redundancy of rectosigmoid colon was assessed. Results: Patients in group B had straighter rectosigmoid colons than those in group A (no redundancy; group A vs. group B, 10% vs. 42%; p = 0.03). The volume of rectosigmoid colon in the radiation field was significantly larger in group A (56.7 vs. 49.1 mL; p = 0.009). In dose volume histogram analysis, the mean irradiated volume was lower in patients in group B (V45 27.2 vs. 18.2 mL; p = 0.004). I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in-field volume of rectosigmoid col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bladder volume (R = 0.86, p = 0.003). Conclusion: Use of a belly board and distended bladder protocol could contribute to exclusion of the proximal margin of anastomosis from the radiation field.

'보건소 비만클리닉 시범사업'으로 실시한 Belly Dance와 영양교육이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lly Danc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Obese Women in a Study, 'Obesity Clinic Projects at Community Healthcenter')

  • 김경도;송영옥;백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417-1422
    • /
    • 2011
  • 본 연구는 비만중년여성 34명을 대상으로 벨리댄스와 영양교육 실시가 신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벨리댄스와 영양교육을 12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과 후의 신체조성, 혈청지질, 인슐린 저항성, leptin 및 adiponectin 호르몬, 그리고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벨리댄스 프로그램은 1회 1시간씩 주3회 실시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60~85% HRmax로 실시하였다. 영양교육프로그램은 영양 교육과 개별 상담으로 나누어 총 4회 실하였다. 신체조성중 체중 5.53%, 체지방률 9.51%, BMI 5.61%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골격근량은 0.81% 증가하였다. 혈청지질의 변화는 TG 13.50%, TC 9.51%, LDL-C 10.4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DL-C는 3.24% 증가하였다. 인슐린 농도는 19.76% HOMA-IR 지수는 18.22% 유의적으로 감소였다. Leptin 호르몬의 분비는 32.3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diponectin 농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총 유리기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혈중 총 항산화능의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비만클리닉 프로그램은 비만중년 여성의 체지방률을 낮추어 혈청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치료 환자의 자세 및 Device에 따른 RPM 신호 분석을 통한 호흡 안정성의 통계적 고찰 (Statistical Study on Respiratory Stability Through RPM Signal Analysis according to Patient Position Under Radiation Therapy and Device)

  • 박명환;서정민;최병기;신은혁;송기원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90
    • /
    • 2011
  • 목 적: 일정한 호흡주기의 유지가 필요한 방사선치료에서 치료 자세와 device의 사용에 따른 호흡주기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경향과 device의 유용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피험자 11명을 대상으로 바로 누운 자세와 엎드린 자세에서 각 20분씩 호흡주기를 유지한 호흡신호를 획득 및 분석하였다. 엎드린 자세에서 호흡주기의 유지가 양호하지 못한 7명에게 belly board를 사용한 후 호흡신호를 획득하여 device의 사용전후의 호흡변화와 안정성을 분석하였다(통계 분석에는 PASW 18.0을 이용). 결 과: 피험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자세에 따른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은 바로 누운 자세 54.5%, 엎드린 자세 36.4%로 나타났다. Belly board를 사용한 7명 중 4명은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이 유의하게 양호한 변화를 보였으며, 허리치수에 따라 바로 누운 자세에서 처음 10분간의 호흡주기유지에는 유의한 차이(P=0.022, Fisher's Exact Test)를 보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호흡의 안정성은 7명(63%)이 엎드린 자세보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보다 안정적이었다. 결 론: 흉부 및 복부 심지어 골반의 방사선치료에서도 호흡에 의한 환자의 움직임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와 같이 호흡신호의 통계적 분석과 이의 적용을 통해 호흡유지에 최적의 자세, belly board와 같은 device 사용여부를 결정하면 호흡주기의 유지 및 호흡의 안정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가 등지방두께,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등급 및 도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reasing Market Weight of Finishing Pigs on Backfat Thickness, Incidence of the 'Caky-fatty' Belly, Carcass Grade, and Carcass Quality Traits)

  • 박만종;박병철;하덕민;김진보;장경순;이도현;김관태;진상근;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195-202
    • /
    • 2013
  • 본 연구는 돼지 출하체중 증가가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등급 및 도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목적을 위해 85~150 kg 체중 범위의(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교잡종 거세돼지와 암퇘지 각각 250두를 도살하여 그 도체를 분석하였다. 거세돼지와 암퇘지의 등지방두께(y; mm)는 각각 다음과 같이 생체중(x; kg)에 선형으로 회귀하였다: y = 0.1827x + 3.4825 ($r^2$ = 0.4671) 및 y = 0.2015x-0.6972 ($r^2$ = 0.4736). 삼겹살의 제 11~12 늑골부 5 cm 폭의 등쪽 반절편의 지방조직 중량비가 55%를 초과하는 경우를 떡지방의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떡지방 삼겹살은 거세돼지에서 10건 발생하였으나 소매상에서 떡지방 삼겹살로 판정된 경우는 없었다. 과중량으로 인해 도체등급이 강등된 도체는 총 101건(20.2%)에 달하였다. $1^+A$ 등급 도체는 다른 모든 등급 도체보다 근내지방도가 높았으나, 근내지방도와 도체 결함 특성을 제외하면 도체등급간 가시적인 품질 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도체 품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크기만 클 뿐 정상적인 도체에 대해서는 평가절하는 현행 도체등급 판정 기준은 개정되어야 좋을 것이다. 또한 돼지 출하체중을 증가시킬 때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