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s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23초

시중에 유통되는 콩의 종류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 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동환;윤원중;김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1
    • /
    • 2011
  • 콩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조지방은 백태 17.60${\pm}$0.14%, 조단백질은 서목태 42.38${\pm}$0.15%로 가장 높고, 조회분의 경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작두콩 64.07${\pm}$0.97, a값 강낭콩 15.64${\pm}$0.48, b값 백태 22.92${\pm}$0.09로 각각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중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서목태가 각각 13.92 mg/g, 20.52 mg/g, 2.61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sucrose는 서리태가 54.23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유기산 중 oxa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는 각각 서목태가 23.26 mg/100 g, 18.24 mg/100g, 23.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citric acid의 경우 청태가 7.2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콩의 종류에 따라 각각 함유 성분에 차이가 있었다.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2.68~6.18 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 서리태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무기질은 K, M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o, Cu, Zn은 미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콩의 품종에 따른 차이와 동일한 품종일지라도 재배 및 환경 요인, 건조 방법, 건조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카카오 빈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uded Rice Flour with Various Cacao (Theobroma cacao L.) Bean Content)

  • 박주연;김영호;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27-1335
    • /
    • 2017
  • 본 실험은 카카오 빈의 함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쌀가루와 압출성형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공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 속도 200 rpm, 사출구온도 $130^{\circ}C$로 조절하였다. 팽화율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밀도와 비길이, 겉보기 탄성계수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파괴력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 공정 후 모두 증가하였다. 카카오 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무처리구(RAW)에서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압출성형 공정 후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차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을 한 모든 실험군과 RAW의 roasted 카카오빈(RC) 첨가군에서 저온최고점도(CPV)를 나타내어 낮은 온도에서도 점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non-roasted 카카오 빈(NRC) 첨가군이 RC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압출성형한 NRC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카오 빈 첨가가 쌀 카카오의 팽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카카오 빈의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과 압출성형에 의해 감소하였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스팅을 하지 않고 압출성형 하였을 때 증가하였다.

적두 및 흑두의 부위별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Different Parts of Red and Black Adzuki Beans)

  • 이란숙;최은지;김창희;성정민;김영붕;금준석;박종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50-1156
    • /
    • 2015
  • 적두 및 흑두를 대상으로 백립중, 색도 등 물리적 특성과 종피 및 종피 제거 전과 후의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적두 및 흑두의 백립중은 각각 19.62 g 및 18.58 g으로 적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팥 표면의 종피 색은 적두에서는 L 값 31.97, a 값 9.75, b 값 3.54 그리고 흑두에서는 L 값 31.12, a 값 0.32, b 값 0.95를 나타냈다. 총 poly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적두 종피에서 33.9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proanthocyanidin 함량 또한 적두 종피에서 30.70 mg CC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흑두 종피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일 방법으로 측정 시 종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두의 종피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ABTS로 측정 시 가장 높은 활성 값을 보였다. 팥 각 부위별 항산화 성분과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원료 팥 및 종피에서 총 polyphenolic compounds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두 및 흑두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대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팥 제품 개발 시 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류의 Quick Cooking방법 개발과 이것이 제품 품질에 미치는 영향 (Improved Cooking Methods for Dry Bean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Cooked Products)

  • 이영춘;신동빈;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7-313
    • /
    • 1983
  • 건조 두류의 시료로 선정한 대두와 동부의 cooking time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두와 동부를 몇가지 선정된 soaking 및 cooking 방법으로 처리하여 cooking time을 비교하고, 이런 처리가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oaking방법중 대두를 3%SBC 용액에, 동부를 $0.5{\sim}1%SBC$ 용액에 침지한 후 $95{\sim}100^{\circ}C$의 물에서 cooking했을 때 cooking time은 각각 40 분과 10분이였다 이는 control에 비하여 80%의 cooking time 단축에 해당한다. 2. 대두의 cooking방법중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하는 것이 cooking time 단축에 가장 효과적 이었고 (15분), 동부의 cooking시간은 1%SBC 용액에서 6분, $121^{\circ}C$ steam에서 5분이었다. 3. 최적 텍스쳐에 도달한 각 시료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121^{\circ}C$에서 steam cooking 한 젓이 제일 좋았고, 염용액에서 침지한 시료는 control과 대등했으며, 염용액에서 cooking 한 것은 control 보다 좋지 않았다. 4.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류를 단 시간에 cooking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두는 가압 steam cooking $(121^{\circ}C)$ 또는 3%SBC 용액에서 침지하는 것이 효과적 이었으며, 동부의 경우 $0.5{\sim}1%SBC$ 용액에 침지 또는 가압 steam cooking$(121^{\circ}C)$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PDF

JAVABeans Component 구조를 갖는 음성인식 시스템에서의 Voice Web Browsing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oice Web Browsing in JAVA Beans Component Architectur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pplication System.)

  • 장준식;윤재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73-27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G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VUI 중심의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기 위한 음성 인식 항공 정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기존의 ASP(Active Server Page)로써 구현한 윈도우 서버 기반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Web 관련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연구가 최근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ASP의 웹과의 제한성으로 인해 시스템의 속도면, 이식성 등에서 제약을 가져왔다. 이와 같은 제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성 정보 및 동적 VoiceXML을 구현하는 자바 빈즈(JAVA Beans) 컴포넌트 구조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Remote An(Abstract Windows Toolkit)기술을 이용하여 GUI 및 VUI에서의 음성 및 그래픽 정보를 동시에 전달 가능하게 하는 Voice 웹 브라우징에 대해서 연구하여 보았다.

  • PDF

EFFECT OF HEAT TREATMENT ON NUTRITIONAL VALUE OF WINGED BEAN (Psophocarpus tetragonolobus) AS COMPARED TO SOYBEAN 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EATED WINGED BEAN

  • Mutia, R.;Uchi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19-26
    • /
    • 1993
  • The effect heat treatment (autoclave) on nutritional value of winged bean as compared to soybean has been investigated. The winged bean and soybean were obtained from local cultivar grown in Indonesia. The beans were autoclaved at $120^{\circ}C$ for 15, 30, 45, 60 or 90 minutes, respectively before being ground for chemical analysis. Trypsin inhibitors of winged bean and soybean decreased (p < 0.05) along with decreasing of urease activity as heating time increased from 0 to 90 minutes. Heat treatment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protein solubility in 0.2% potassium hydroxide of winged bean as well as soybean.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p < 0.05) improved by heating treatment (15 to 60 min of autoclaving), however, excessive heating (90 min of autoclaving) decreased the digestibility of winged beans. Excessive heating had adverse effect on lysine, cystine and methionine contents of winged be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utoclaving at $120^{\circ}C$ within 45 minutes should be adequate to remove protease inhibitors and could improve protein digestibility of winged beans.

자동제어식 파종조절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 이용국;이대원;오영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9권2호
    • /
    • pp.91-98
    • /
    • 1994
  • Planting,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are important processes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farm products in Korea because those require the high labor intensity during limitted period. Recently, many researches of using automatic control with a microcomputer are carried in the agricultural field, but are not much spread to the seeder development. Automatic sowing technology would be much attractive if there was a way to assure that each seed was count accurately in the seed metering device. Thus, an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be controlled by microcomputer. This device could be improved in not only counting the number of seeds in but also sowing seeds between row spacings. Automatic seed metering device consisted of conveyor belt and temporary storage device. Performance of seed metering device depends on the apparatus including sensor, stepping motor and DC-solenoid.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ed metering device involving seed hopper, sorter and temporary storage device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2. A seed counting system with six photo electric sensors, designed and built for this project, was adequate for tranferring and counting seeds accurately. 3. Operating algorithm for stepping motor and photo electric DC-solenoid was developed. The Seed metering device proved to be a smooth and accurate operating device using the algorithm. 4. The performance of second prototype metering device was examined with five kinds of seeds ; mung beans, red beans, white beans, black beans and corn to transfer and count the seeds. The error ratio of seed metering was less than 3.5%.

  • PDF

Grading of Fermented and Dried Cocoa Beans Using Fungal Contamination, Ergosterol Index and Ochratoxin a Production

  • Aroyeun, S.O.;Adegoke, G.O.;Varga, J.;Teren, J.
    • Myco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15-217
    • /
    • 2009
  • Sixty four samples of cocoa beans replicated in quadruplicates were collected from five warehouses from southwest Nigeria and examined for fungal loads, ergosterol and eohratoxin A The levels of all the variables obtained were further used as indices for cocoa grading into food quality, FoQ (erg < 5 mg/kg; OTA < $1{\mu}g$/kg), feed quality, FeQ (erg = $5{\sim}10\;mg$/kg; OTA in the range of $1.1{\sim}3.11{\mu}g$/kg), Screen for mycotoxin, SFM (erg = $10{\sim}20\;mg$/kg; OTA from $3.12{\mu}g$/kg and above) with fuel quality, FuQ having erg > 20 mg/kg and OTA > $6.12{\mu}g$/kg. Using these ergosterol indices, 18.75% of the cocoa beans examined was classified with the FoQ, 18.75% with the FuQ while 31.25% was classified with both the FeQ and the SFM, respectively. In conclusion, ergosterol can be used as a rapid index to grade fermented, dried cocoa beans meant for export.

EJB기반 XML 상품 카탈로그의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a XML Product Catalog based on the EJB)

  • 김경래;하상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4호
    • /
    • pp.697-702
    • /
    • 2002
  • 인터넷 중심의 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B2C나 B2B간에 상품 정보의 교환이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는 상품정보를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XML기반 통합 상품 표현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모델은 상품을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데이터의 중복성을 회피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Java의 컴포넌트 기술인 Java Bean과 Enterprise Java Beans)를 사용하여 제안된 상품 표현 모델을 구현하였고, 실제 웹 상의 상품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중복성 제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다.

Metabolic Features of Coffee Beans Depending on Planted Areas

  • Choi, Won Seok;In, Yong Woo;Kim, Hyun Hwi;Hyun, Ja-shil;Park, Sung Jea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4-49
    • /
    • 2017
  • Coffee is one of the top selling products in the world. There are various coffee bean species around the world. Among them, Coffea Arabica is the most popular speci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metabolites of coffee beans so far. This study demonstrates effects of the planted regions on the metabolite concentrations of coffee beans. The metabolites of coffee beans can be affected by growing area even although same species are grown. Accordingly, we studied coffee bean metabolites extracted from the same species in different regions (The brand names, Kona from Hawaii, Mocha Matari from Yemen, and Blue Mountain from Jamaica) by using mixed solvent of methanol: water: chloroform. A comparative analysis by NMR spectroscopy was performed and the statistical techniques were us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As a result, we found that chlorogenic acid, caffeine, citrate, and sucrose mainly contributed to the separation of the three groups. When compared with Kona and Blue Mountain, concentrations of chlorogenic acid, caffeine, and sucrose in Mocha Matari were observed to be relatively down-regulate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two other groups, concentration of citrate in Kona was observed to be up-regu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