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cc model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7초

DEA를 이용한 국내 화물자동차 운송업의 상대적 효율성분석 (Relative Efficiency of Korea Trucking Transport Business Using DEA Model)

  • 장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28-341
    • /
    • 2010
  •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은 국가의 물류 기본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물류대란과 같은 국가적인 화물운송체계의 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효율성을 DEA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을 분석하였으며, 비효율적인 기업이 개선시켜야하는 투사값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효율성을 위한 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총 30개 화물자동차운송업들의 CCR-I, BCC-I 효율성과 규모수익성(RTS)을 평가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화물자동차운송기업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CCR-I효율성이 1인 업체는 7개 기업, BCC-I효율성이 1인 업체는 15개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규모수익성은 IRS가 16개의 기업, DRS가 5개 기업, CRS가 9개 기업으로 분석되었다.

DEA와 Super-SBM을 이용한 국내 방위산업체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Defense Industry Company Using DEA and Super-SBM)

  • 백지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30-139
    • /
    • 2020
  •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 유지를 위한 기간산업이자 첨단기술이 집약된 미래지향 산업으로써, 방위산업의 연구개발은 무척 중요하다. 우리 정부의 자주국방에 기반을 둔 과감한 정책으로, 국내 방위산업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하지만 전문화 및 계열화 제도의 폐지에 따른 경쟁체제의 도입은 국내 방위산업체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EA와 Super-SBM을 이용하여 국내 방위산업체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방위산업진흥회의 '2019 방산업체 경영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국내 방위산업체의 연구원수 및 투자액을 투입변수로, 매출액을 산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위산업체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규모수익불변(CRS)을 가정하는 CCR 모형과 규모수익가변(VRS)을 가정한 BCC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효율적인 업체들 간의 순위를 확인하기 위해 Super-SBM 모형을 사용하여 초효율성을 도출하였으며, 국내 방위산업체는 대체로 비효율적인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국내 방위산업체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방위산업체의 육성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 광양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Korean Container Terminal - Focus on Busan Port, Gwangyang Port -)

  • 최민승;송재영;류동근;박병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9-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컨테이너 전용 터미널(부산항 8개 터미널, 광양항 6개 터미널)을 대상으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통해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일정 시점을 대상으로 한 분석이 아니라, 1998년$\sim$2005년 동안의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터미널의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터미널의 상대적인 효율성 값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신규 터미널 생성, 운영사의 변화, 터미널의 통합 운영 등에 따른 터미널 생산성의 변화 등을 제시하여 줌으로써 터미널 운영사의 향후 운영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의 경영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Efficiency of Semiconductor Industry)

  • 강다연;이기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7-35
    • /
    • 2020
  • 국내 반도체 산업은 수출 품목 1위이면 기술력 또한 경쟁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경쟁국들과의 기술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강대국과의 무역마찰 등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기업들의 운영상 비효율성을 재정비하여 효율적인 생산 활동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EA 기업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경영 효율성을 분석하며 비효율적인 기업의 투사 값을 제시하며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업들의 참조 집합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20개 고성장 전기·전자 기업들의 CCO와 BCC모형의 효율성과 규모 수익성(RTS)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CC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총 13개, CCR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총 6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CC, CCR 효율성이 모두 1인 기업은 총 6개 기업이었다. 또한 기업의 규모 수익성은 IRS가 10개 기업, CRS가 9개 기업 그리고 DRS가 11개 기업으로 분석되었으며 참조 빈도 분석에서는 BCC 모형에서는 11개 기업과 CCR 모형을 통해 6개 기업을 벤치마킹이 할 수 있는 기업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도체 기업들에게 비효율적인 운영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고성장 전기·전자사업의 경영효율성 (Management Efficiency of High-growth Electrical and Electronics Industry)

  • 강다연;이기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1-158
    • /
    • 2019
  • 국내 전기 전자 산업이 보유하고 있는 높은 기술력은 국외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지만 현재 주변국과의 기술경쟁 등이 갈수록 심화되어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들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운영상의 비효율성을 재정비하여 효율적인 생산 활동을 실시하여야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EA 기업을 통해 국내 고성장 전기 전자사업의 경영효율성을 분석하며 비효율적인 기업의 투사값을 제시하며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기업들의 참조집합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20개 고성장 전기 전자기업들의 CCR와 BCC모형의 효율성과 규모수익성(RTS)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CC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총 12개, CCR 효율성이 1인 기업은 총 4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BCC, CCR 효율성이 모두 1인 기업은 총 4개 기업이었다. 또한 기업의 규모수익성은 IRS가 11개 기업, CRS가 6개 기업 그리고 DRS가 3개 기업으로 분석되었으며 참조빈도 분석에서는 BCC모형에서는 4개 기업과 CCR 모형을 통해 4개 기업을 벤치마킹이 할 수 있는 기업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동종 산업의 후발 기업들에게 기업의 운영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for Korean Trucking Companies based on the Data Envelopment Ananlysis(DEA))

  • 최종열;박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17-328
    • /
    • 2011
  • 최근 물류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기존의 물류시스템과 운송도구들 또한 급속히 변화하는 추세이다. 내륙운송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확한 효율성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DEA 모형을 이용하여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DEA 모형 중에서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선정된 42개 화물자동차운송업체들의 효율성(CCR, BCC, 기업규모)과 규모수익성(RTS)을 분석하고 효율성의 투입-산출변수의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화물자동차운송업체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CCR효율성이 1인 업체는 7개로 나타나고 BCC효율성인 1인 업체는 17개로 나타났다. 규모수익성은 IRS가 24개, DRS가 7개, CRS가 11개로 나왔다. IRS로 나온 화물운송업체는 비교적 규모가 작았으며 DRS로 나온 화물운송업체는 대부분 규모가 큰 업체였다. IRS로 나온 규모가 작은 업체들은 규모의 증가를 통해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DRS로 나온 규모가 큰 업체들은 규모의 감량화를 통해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Backward Stepwise를 통한 투입-산출변수 영향력 평가를 통해 총자본의 감소와 매출액 증대를 통해 화물자동차운송업체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차병원의 생산 효율성 측정 및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Measuring Hospital Efficienc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 in Tertiary Hospitals: Data Envelopment Analysis)

  • 양동현;서원식;박광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3-202
    • /
    • 1997
  •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been faced with financial difficulties under turbulent health care environment. This situation led hospitals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managerial efficiency in various way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echnical efficiency of 31 tertiary hospitals in Korea and find determina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Tobit Model were adopted for study. For the analysis, human resource factors such as number of physicians, nurses, and administrative staff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inpatients and outpatients) are used as output variables. Among 31 hospitals, in CCR model, 8 hositals showed efficiency score 1 which means they have been operated in very efficient ways and BCC model showed 13 of 31 hospitals as efficient organizations. Next, we analyzed determina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By using Tobit model, the study showed hospital size, Quality of care, value added per capita, and revenue per patient were closely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However, it appeared that financial status of hospitals(i.e : making profit or not) was not related with hospital efficiency.

  • PDF

DEA 모형을 이용한 부품소재산업의 효율성 분석 (DEA Model for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Korean Materials and Components Industry)

  • 오지환;정기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1호
    • /
    • pp.273-292
    • /
    • 2012
  • 우리나라 부품소재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48개의 부품소재업체들을 추출하여 DEA를 통한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CCR-I 모형과 BCC-I 모형를 통한 효율성 분석 결과, 효율적 기업과 비효율적 기업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부품소재산업 업종별로도 분류하여 보았다. 비효율적 기업들이 효율적 기업이 되기 위한 투입 및 산출변수들의 개선 값들과 벤치마킹해야 할 참조집합을 제시하였다. 또한 규모효율성(scale efficiency)을 측정하여 비효율성의 원인이 규모에 의한 것인지 비효율적인 운영에 의한 것인지 분석하고, 규모수익성 결과에 따라 비효율적 기업들을 대상으로 규모의 증감에 따른 효율성 향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초효율성(super-efficiency) 분석을 통해 효율적 기업들간의 상대적 효율성 값도 제시하였다.

  • PDF

Various Partial Charge Schemes on 3D-QSAR Models for P-gp Inhibiting Adamantyl Derivatives

  • Gadhe, Changdev G.;Madhavan, Thirumurthy;Kothandan, Gugan;Lee, Tae-Bum;Lee, Kyeong;Cho, Seung-J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5호
    • /
    • pp.1604-1612
    • /
    • 2011
  • We developed three-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3D-QASR) models for 17 adamantyl derivatives as P-glycoprotein (P-gp) inhibitors. Eighteen different partial charge calculation methods were tested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3D-QSAR models. Best predictive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model was obtained with the Austin Model 1-Bond Charge Correction (AM1-BCC) atomic charge. The 3D-QSAR models were derived with CoMFA and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 (CoMSIA). The final CoMFA model ($q^2$ = 0.764, $r^2$ = 0.988) was calculated with an AM1-BCC charge and electrostatic parameter, whereas the CoMSIA model ($q^2$ = 0.655, $r^2$ = 0.964) was derived with an AM1-BCC charge and combined steric, electrostatic, hydrophobic and HB-acceptor parameters. Leave-five-out (LFO) cross-validation was also performed, which yielded good correlation coefficient for both CoMFA (0.801) and CoMSIA (0.656) models. Robustness of the developed models was checked further with 1000 run bootstrapping analyses, which gave an acceptabl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MFA (BS-$r^2$ = 0.997, BS-SD = 0.003) and CoMSIA (BS-$r^2$ = 0.996, BS-SD = 0.018).

공공기관의 유형별 효율성 평가와 비효율성 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Efficiency Rating by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Identification of Inefficiency Sources)

  • 김현정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5-89
    • /
    • 2015
  • In recent years, attention to the high debt ratio in public institutions has pushed the government to make efforts in reducing the debt ratio. However, in order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government needs drastically innovative measures that reduce debt by improving efficiency rather than moderate approaches that focus solely on debt reduction. Despite this need, no study has ye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overall efficiency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and identified the source of inefficiencies in each public entity. Therefore, largely two research questions are examined. First, this study compares the efficiency levels by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 of inefficiencies in each public institution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mproving efficiency. Based on a 5-year data of 302 public institutions published in public business information systems and organizational websites from 2009 to 2013,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performed. The input variables include the number of employees and total costs while the output variables include sales and net incom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the input-oriented CCR model and input-oriented BCC model were utiliz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ket-oriented public institution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while fund management quasi-governmental agencies showed the highest inefficiency. Second, scale efficiency score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CCR model and the BCC model on the organizations with the lowest efficiency level, fund management quasi-governmental agenci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ource of inefficiency and detail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proposed for Decision Making Units (DMUs) with low CCR and BCC sc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