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n modelli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Watershed Scale Flood Simulation in Upper Citarum Watershed, West Java-Indonesia using RRI Model

  • Nastiti, Kania Dewi;Kim, Yeonsu;Jung, Kwansue;An, Hyun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9-179
    • /
    • 2015
  • Citarum River is one of the important river in West Java, Indonesia. During the rainy season, flood happens almost every year in Upper Citarum Watershed,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in order to prevent and mitigate flood damages. Since the lack of hydrological data for the modelling is common problem in this area, it is difficult to prepare the countermeasures. Therefore, we used Rainfall-Runoff-Inundation (RRI) Model developed by Sayama et al. (2010) as the hydrological and inundation modelling for evaluating the inundation case happened in Upper Citarum Watershed, West Java, Indonesia and the satellite based information such as rainfall (GSMaP), landuse and so on instead of the limited hydrological data. In addition, 3 arc-second HydroSHEDS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observed data of Nanjung water stage gauging station and the daily observation data are used. Simulated inundation areas are compared with the flood extent figure from Upper Citarum Basin Flood Management Project (UCBFM).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Distribution along the Nakdong River Basin

  • Yhang, Wii-J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8호
    • /
    • pp.835-840
    • /
    • 2003
  • Many various kinds of tourism resources have been distributed along the Nakdong river basin.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mainly on environmental studies, including water quality control, industrial use of water, biodiversity, etc, with little research done in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Central to this study, therefore, is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tourism, of the area's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by the MOCT.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reveals : 1) spatial range bound with the jurisdiction of the river basin like DREO and NRBEO ; 2) analytical subjects limited to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the three different administrative units of government, city and province. Along with the DREO's predominance over the NRBEO in the total number of cultural properties, the result finds that two cities, Andong and Gyeongju of Gyeongbuk are assigned ownership of most of the cultural propert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DREO, while Gyeongnam that of most of the ones under the NRBEO. However, those findings suggest the simple number of cultural properties with no significant level of importance and rarity value reflected. Therefore, future studies need to develop quantified modelling keeping cultural variables in mind and create cultural indices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governments.

GIS를 이용한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chracterustucs for Milyang river basin with a GIS)

  • 유승근;최성규;문상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07-122
    • /
    • 2002
  • 유역 및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은 유역을 모델링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GIS 분야에서 구축된 수자원 관련 자료인 수자원 단위지도, 수치지도 등을 이용하여 밀양강 유역의 DEM과 하천망을 생성하고, 누가표고곡선, 하천 지형법칙, 유역특성인자 등을 이용하며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DEM과 하천망은 수치지도의 지형 관련 레이어와 하천 관련 레이어를 추출하여 생성되었으며, 하천망은 위상 구조 뿐 아니라 방향성과 하천차수도 부여 되었다. 밀양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밀양강은 지질학적으로 장년기에서 노년기로 변화하고 있는 지역이며, 하천 구조는 Horton-Strahler의 하천지형법칙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자원 관련 자료가 다양하게 구축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벡터 자료를 이용한 수자원 관련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악지역 돌발홍수 기준우량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sh Flood Warning Trigger Rainfall in Mountainous Area)

  • 전계원;오채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9-9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ritical flood discharge and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for alarm system providing for a flash flood in mountainous area. The flash flood need non-linear approaching method, because rainfall-runoff is nonlinear and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existing linear rainfall-runof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would be utilized to apply such as hydrologic modelling or basin management. This study was effectively estimated a topographic characteristic factor of basin using the GIS. Especially, decided stream order using GIS at stream order decision that is important for input variable of GCIUH. A flash floods defined as a flood which follows shortly after a heavy or excessive rainfall event, with a few hours. In this study, we gave a definition that a critical flood for alarm is the flood when valley depth judging dangerous depth is over 0.5m depth from the bottom of channel. Result that calculate threshold discharge to use GCIUH, at the Mureung valley basin, flash flood trigger rainfall was 16.34mm in the first 20minutes when the threshold discharge was $14.54m^3/sec$.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 최승찬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4
    • /
    • 2005
  • 황해안 대륙붕 지역의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의 위치와 퇴적분지의 지하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자원 연구원 탐해 2 호에 의해서 2000 년부터 2002 년까지 측정된 중력 데이터에 의한 3 차원 지하구조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황해안 연구지역 내의 중력 이상은 주로 퇴적층과 기반암 사이 경계면의 밀도 및 깊이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륙 충돌대라고 여겨지는 고밀도 지각구조는 황해안 퇴적분지의 남쪽으로 부터 북동 방향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며, 퇴적 분지 내의 현저하게 밀도가 낮은 물질의 총 부피는 약 $20000\;km^3$ 정도로 추정되었다.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경계인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는 황해안 퇴적분지 남쪽과 북쪽 지역을 지나 각각 임진강 벨트와 충남 홍성 지역으로 연결되며, 북북동 구조선을 따라 동해안 쪽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 최승찬
    • 지구물리
    • /
    • 제8권2호
    • /
    • pp.89-92
    • /
    • 2005
  • 황해안 대륙붕 지역의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의 위치와 퇴적분지의 지하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자원 연구원 탐해 2호에 의해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된 중력 데이터에 의한 3차원 지하구조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황해안 연구지역 내의 중력 이상은 주로 퇴적층과 기반암 사이 경계면의 밀도 및 깊이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륙 충돌대라고 여겨지는 고밀도 지각구조는 황해안 퇴적분지의 남쪽으로 부터 북동 방향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며, 퇴적 분지 내의 현저하게 밀도가 낮은 물질의 총 부피는 약 20000 km3 정도로 추정되었다.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경계인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는 황해안 퇴적분지 남쪽과 북쪽 지역을 지나 각각 임진강 벨트와 충남 홍성 지역으로 연결되며, 북북동 구조선을 따라 동해안 쪽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심해 계류인장각 플랫폼의 모형시험 연구(II) - 모형시험 및 해석 (The Study on Model Test of Tension Leg Platform(II) - Model Test & Analysis)

  • 김진하;홍사영;최윤락;홍섭;김현조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4
    • /
    • 2000
  • Linear and nonlinear motion responses of a Tension Leg Platform(TLP) was investigated by model tests. Th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at KRISO's Ocean Engineering Basin which has a deep pit of which diameter and depth are 5 meters and 12.5 meters, respectively. Optical sensors were used for measuring drift motions, and a set of accelerometers were employed for analyzing wave frequency motions. ISSC TLP was chosen as the model for the present study. Scale ratio was 1/65 and elastic modelling of tether system were conducted. Very good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calculations not only in linear motion responses but tension responses, nonlinear wave drift force and double frequency excitations.

  • PDF

채굴후 가스전내 $CO_2$ 저장소의 중력 모너터링: 감도 연구 (Gravity monitoring of $CO_2$ storage in a depleted gas filed: A sensitivity study)

  • Sherlock, Don;Toomey, Aoife;Hoversten, Mike;Gasperikova, Erika;Dodds, Kevin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1호
    • /
    • pp.37-43
    • /
    • 2006
  • 2006 년도에 호주 온실가스 기술에 대한 협력연구센터$(CO_2CRC)$는 채굴 후의 가스 저류층내에 $CO_2$를 저장하는 시험 연구의 수행을 계획하고 있다 (승인이 필요함). Otway Basiu Pilot Program (OBPP)은 지하 $CO_2$ 저장이 경제적이며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함을 보이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CO_2$ 저장 프로그램으로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채굴 후 가스 저류층을 활용하는 것이므로 여기서 얻어질 경험은 현재 수행중이거나 계획중인 국제적 $CO_2$ 저장 프로그램에 귀중한 하나의 분야를 더할 것이다. OBPP의 중요한 요소는 주입된 $CO_2$ 의 거동을 추적하고 지하 저강이 성공적임을 입증하기 위해 적절한 지구물리학적 모니터링 전략의 설계이다. 이 논문은 Otway Basin 저류층에 $CO_2$를 주입할 때의 중력 반응을 예측하는 모델링 결과를 보여주며, 그 목적은 탄성파탐사가 아닌 물리탐사 방법으로 탐지가능한 최소 $CO_2$ 부피를 결정하는 데에 있다. 모델링 결과는 계산된 $CO_2$ 부피가 최소 10,000 ton 일 경우에도 기존 관측정과 계획된 주입정내에서 10 m 간격으로 중력을 측정하면 훌륭한 수직 해상도를 제공할 것임을 말해주나, 수평적인 연장에 대한 해상도는 더 좁은 간격의 추가 시추공이 없다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량진 칼데라 지역의 항공자력특성 연구 (Ae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amryangjin Caldera Area)

  • 구성본;이태섭;박영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권2호
    • /
    • pp.101-109
    • /
    • 1998
  • 항공자력탐사자료를 이용하여 경상분지 동남부 유천소분지의 화산암류 분포지 내에 발달되는 삼량진 칼데라지역에 대한 자력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력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잔여자력도, 자극화변환도, 수평미분도와 수직 2차미분도를 작성하여 자력 암상특성을 분대하고 칼데라구조 및 단층과 관련된 지질구조적 양상에 대한 자력구조 특성을 고찰하는 정성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칼데라 구조를 북동-남서방향으로 종단하는 14.5 km의 단면선에 대해 forward modelling을 실시함과 동시에 전지역에 3-D Euler deconvolution방법을 이용하여 자력 이상체의 심부 발달상태 및 특성을 고찰하는 정량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본역의 자력암상특성은 4개의 unit로 분대되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본역의 지질분포와 잘 일치되나 삼량진 칼데라 북측 경계부에 관입한 흑운모화강암은 고자력을 보이므로 인접의 여타 저자력 흑운모 화강암체와 자력암상특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이 흑운모화강암은 삼량진 칼데라의 화산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칼데라림을 따라 발달된 구조대를 따라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역의 삼량진 칼데라 구조 및 단층선 구조는 각종 자력 이상도에서 분명한 자력구조로 인지가 가능하며 지형특성도 이들 구조를 잘 반영한다 할 수 있다. 본 역의 심부 자력 이상체 발달상태를 규명하기 위한 자력단면선의 forward modelling결과, 경상퇴적분지의 심도는 칼데라 내에서 평균 약 6 km이며(최고 약 10 km) 칼데라의 외측으로 갈수록 화강암류의 천부 관입에 따라 심도가 얕아짐을 보인다. Euler deconvolution 방법을 이용한 자력이상체의 3차원적 위치 및 심도특성을 고찰한 결과도 칼데라 구조 및 단층구조선을 잘 나타내며 화산암류와 관계된 비교적 천부의 자력 이상체는 주로 동-서와 북동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음에 반하여 심부의 자력 이상체는 주로 북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드니만의 오존예측을 위한 도시대기질모델의 예비검사 (Preliminary Testing of an Urban Air Quality Model for Ozone Forecasting over the Sydney Basin)

  • Speer, Milton S.;Leslie, Lance 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8호
    • /
    • pp.733-737
    • /
    • 2004
  • F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 preliminary test of the air quality modelling system (HIRES-AIRCHEM)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forecast ozone distribution. This was achieved by assimilating the New South Wales State Environment Protection Authority (EPA) emissions inventory, consisting of road and non-road sources, and running the system over the Sydney metropolitan area for the four day period 25-28 February 1998. During this period ozone readings exceeded the EPA's goal of 8pphm on several occasions. The model forecasts of ozone distribution verified well with the EPA's ozone readings. This resul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use of the system as a tool for routinely predicting and assessing ai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