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sal N fertiliz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Latex 피복요소시용(被覆尿素施用)과 고온(高溫)이 건답직파(乾畓直播) 벼의 질소이용효율(窒素利用效率)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Latex Coated Urea on Yield and N-Use Efficiency of the Direct Seeding Rice on Dry Paddy Field in the Year of High Temperature)

  • 유철현;신복우;정지호;강승원;한상수;김성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4-329
    • /
    • 1998
  • 본 연구(硏究)는 2년간('96~'97)의 이상고온(異狀高溫)해에 벼 건답(乾畓) 직파재배시(直播栽培時) 완효성시료(緩效性試料)(LCU)의 시용(施用)에 따른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토양중(土壤中) $NH_4-N$발현량(發現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이용율(利用率), 수량성(收量性) 변이(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호남평야지(湖南平野地) 논토양(土壤)의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시비질소(施肥窒素)의 용출(溶出)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의 기비전량(基肥全量) 전층시비시(全層施肥時) 무효분얼기(無效分蘖期)에 거의 완료(完了)되었으며 관행의 표층시비(表層施肥)에서는 전기간(全期間) $NH_4-N$함량이 낮았다.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의 출수기(出穗期) 비절현상(肥切現象)은 SPAD치(値) 28.1에서 나타났으며 경엽중(莖葉中) 질소농도(窒素濃度)는 1.75%였다.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관행(慣行)에 비하여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높았고 관행(慣行)의 표층시비(表層施肥)에서는 전층시비(全層施肥)의 56.9%에 지나지 않았다. 쌀 수량(收量)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기비(基肥)로만 시용한 것에 비하여 수비(穗肥)를 시용(施用)하므로써 9%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 PDF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이용(利用)한 전작용완효성(田作用緩效性) 복비개발(複肥開發) -II. 배추에 대(對)한 완효성(緩效性) 복비효과 (Developmen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Used Urea-resin for Upland Crop -II. Effec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on Chinese Cabage)

  • 성기석;김복진;신재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0-54
    • /
    • 1991
  • 조입성형제(造粒成型劑)로 사용(使用)된 요소수지(尿素樹脂)의 U/F반응(反應) mole비(比) 및 첨가량(添加量)이 각각(各各) 다른 시제품(試製品) 5종(種)을 단비분시(單肥分施)를 대조(對照)로 배추에 대(對)한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수량(收量)은 U/F반응(反應) mole비(比) 1.0인 요소수지(尿素樹脂)가 6.7% 첨가(添加)된 시제품(試製品) V에서 가장 높았고 U/F반응(反應) mole비(比)가 가장 낮고 첨가량(添加量)이 가장 많은 시제품(試製品) VII에서는 3요소(要素) 분시구(分施區)에 비(比)하여 감수(減收)하였다. 2. 배추용(用)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의 질소(窒素) 완효도(緩效度)는 24시간후(時間後) 수중전질소(水中全窒素) 용출률(溶出率) 76.1%, 100일후(日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용출률(溶出率) 71.7%가 적합(適合)하였다.

  • PDF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Methods on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Cultivars

  • Lee, Dong-Jin;Chae, Je-Ch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7-240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N) on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VB) and yield components of rice. Two cultivars were used in this study; IR58, an indica type and Shinunbongbyeim a japonica type. The number and tota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VB in the peduncle and leaf blade were more and bigger in N split application than 100 percent basal fertilizer. Nitrogen split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stage increased the number and size of the VB. Nitrogen split application resulted in increased panicle number with application of N before transplanting and at tillering stage; increased spikelets number with N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stage; and increased spikelet fertility and 1000 grain weight with N application at necknode differentiation and heading stages. Grain yield increased 7-10% in N split as compared to all basal application. The total cross sectional area of VB in peduncl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itrogen management can have an impact on spikelet differentiation through more and bigger VB and increase grain yield potential.

  • PDF

새만금 간척예정지 수도작 지대에서 수질시료중 화학성분의 함량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Water Samples at Rice Paddy Field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조재영;최진규;손재권;구자웅;한강완;송재도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19-622
    • /
    • 2003
  •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in precipitation increased slightly from May to June and did not change afterwards. Regarding irrigation water, the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early stage of rice growth but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mid-June to mid-July. The concentration of Tot-N in runoff water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of fertilizer application (basal, tillering, and panicle fertilization) and then de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Tot-N in runoff water ranged from 0.4 to 39.8mg/L (average of 5.9mg/L). The concentration of Tot-P in runoff water ranged from 0.0004 to 0.2084mg/L (average of 0.055mg/L). The Tot-P concentrations were high only at the early stage of rice growth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did not change afterwards.

  • PDF

완효성비료의 전층시비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hole-layer 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of Rice)

  • 박경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9-505
    • /
    • 1992
  • 본 시험은 완효성비료를 이용한 전량기비시비방법을 개선하고자 식양토(덕평통)와 사양토(강서통)에서 완효성비료인 조선완효성비료와 Meister 15를 이용하여 시비방법에 따른 완효성비료의 시용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토양별 암모니아태 질소의 용출량은 담수 4일째 사양토에서 95ppm, 식양토에서 60ppm 이었다. 2. 벼 잎색도는 조선완효성비료가 Meister 15보다 낮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측조시비구보다 전층시비구에서 높았다. 3. 질소 효율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완효성비료의 순으로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차이가 적었다. 4. 단립면적당 경수는 조선완효성비료는 측조시비구가 전층시비구보다 많았고, Meister 15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많았으며, 간장은 Meister 15 > 관행 > 조선 완효성비료의 순으로 길었고, 시비 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길었다. 등숙율은 완효성시비가 관행보다 높았고, 시비방법간에는 전층시비구가 측조시비구보다 낮았다. 5. 수량은 식양토에서 비료간 수량차이가 컸으나, 시비방법간에는 수량차이가 적었고, 사양토에서는 비료간, 시비방법간에 수량차이가 적었다. 6. 이상의 결과에서 Meister 15와 같은 완효성비료는 전층시비법으로 시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 조사연구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s in Farmers' Field for Summe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 이춘수;이계준;이정태;신관용;안재훈;조현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06-313
    • /
    • 2002
  • 고랭지 여름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를 조사하여 시비개선 기초자료로 활용코져 1999~2001년에 58농가를 대상으로 청취조사한 결과, 3요소비료는 추천시비량에 비하여 질소 1.4배, 인산 2.4배, 칼리 2.0배를 시용하고 있었으며, 퇴비는 가축분퇴비 위주로 $9,920kg\;ha^{-1}$을 사용하고 있어 추천량보다도 감비하고 있는 반면, 석회질비료는 $2,160kg\;ha^{-1}$로 추천량에 접근하였다. 농가가 많이 사용하는 복합비료 비종은 기비로 11-10-10+3+0.3 (원예1호) > 11-6-6+4+13+17(쌀맛나) > 12-9-11+3+0.3(원예범용) 등의 순위이었고, 추비는 18-0-18+0.3(벼수비용) > 13-0-13+1+0.3(웃거름) > 18-0-15+0.3(NK마그) 등의 순위였다. 배추농가에서 퇴비는 계분퇴비 >돈분퇴비 >우분퇴비 >생계분순으로 전체 조사농가중 91.4%의 농가에서, 석회는 소석회 >생석회 >석회고토순으로 81%농가가 사용하였다. 고랭지배추 재배면적(10,206ha)을 적용한 총 소요량으로 볼 때 농가시비량의 절감 가능량은 성분량으로 4,347톤(질소 1,265톤, 인산 1,123톤, 칼리 1,959톤)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벼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에 따른 쌀 단백질함량의 수비 질소 반응 (Response of Grain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and Plant Nitrogen Status of Rice)

  • 김민호;이규종;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04-111
    • /
    • 2007
  •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쌀의 품질과 식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질소시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비 및 분얼비 시용량을 달리하여 수비 시기인 유수분화기에 벼의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를 다양하게 조성한 상태에서 수비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의 백미 단백질함량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고품질 쌀 생산에 맞는 질소 시비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6{\sim}9%$로서 기비+분얼비 및 수비 시용량비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는데, 기비+분얼비 시용량이 20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1.8 kgN/10a 이하일 경우 백미의 단백질함량은 7% 이하였으며. 기비+분얼비 보다는 수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폭이 더 컸다. 2. 수확기 지상부 질소함량과 백미의 질소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직선회귀 관계를 보였는데, 수확기 총 질소흡수량 중에서 58.3%와 46.5%가 각각 이삭과 백미로 전이되었고, 연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유수형성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유수분화기 이후 수확기까지의 질소 집적량 증가에 따라서는 2차곡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후자의 영향이 컸다. 유수분화기 지상부 질소 집적량이 8 kgN/10a까지 증가하더라도 수비 이후의 질소집적량이 3 kgN/10a미만일 경우에는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7% 미만이었다. 4. 수확기까지 총 질소 집적량이 같더라도 단위면적 당 영화수에 영향이 큰 유수분화기까지의 질소 집적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그리고 등숙기 기상환경이 좋아 sink의 충진에 유리한 해에 백미의 단백질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측조시비기용(側條施肥機用) 호상비료개발(糊狀肥料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수도(水稻)에 대한 비효시험 (Development of Paste Fertilizer for Rice -II. Effect of Paste Fertilizer on Rice)

  • 성기석;신제성;곽용호;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0
    • /
    • 1987
  • 기계시비(機械施肥)가 용역(容易)한 반액체상(半液體狀)인 수도기비용(水稻基肥用) 호상비료(糊狀肥料)를 개발(開發)하여 이앙기(移秧機)에 부착(附着)된 시비기(施肥機)를 통하여 측조국지시용(側條局地施用)으로 태백(太白)벼와 천마(天磨)벼를 공시(供試)하여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량(收量)은 시제품(試製品) 처리구(處理區)에서 분벽비(分蘗肥) 20%(N)를 감(減)하여도 감소(減少)되지 않았으며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초기생육(初期生育)은 양호(良好)하였으나 후기생육(後記生育)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태백(太白)벼, 천마(天磨)벼 공(共)히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성분함량(窒素成分含量)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높았으나 후기(後期)에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함유 원예용 비료 시용에 따른 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효과 (A Study on the Mitigation of Nitrous Oxide emission with the Horticultural Fertilizer of Containing Urease Inhibitor in Hot Pepper and Chinese Cabbage Field)

  • 주옥정;임갑준;이상덕;원태진;박중수;강창성;홍순성;강남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2
    • /
    • 2018
  • 본 연구는 고추와 배추 재배 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가 함유된 원예용 비료 시용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효과 구명을 위하여 경기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2년간(2015~2016년) 수행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중 $N_2O$ 배출량은 연도별 기상환경에 따라 배출양상과 배출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처리별 저감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요소 표준시비(대조)에 비해 질소 표준시비 기비량 0.5배, 1.0배 해당량 NBPT 함유 원예용 비료 처리에서 각각 43%, 20% 적게 발생되었다. 고추 생육(초장과 줄기직경) 및 건고추 수량은 3요소 표준시비와 NBPT 함유 비료 NF0.5, NF1.0 처리구에서 대등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고추 정식 후 60일 토양화학성 중 질산태질소는 3요소 표준시비에 비해 온실가스 발생량이 적었던 NF0.5 처리구에서 적은 경향이었으며,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륨은 NBPT 함유 비료 처리구와 3요소 표준시비 처리구가 대등한 경향이었다.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온실 가스 또한 재배기간 중 기상환경에 따라 $N_2O$ 배출양상과 배출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처리별 저감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3요소 표준시비에 비해 질소 표준시비 기비량 0.5배, 1.0배 해당량 NBPT 함유 비료 처리에서 온실가스가 각각 58%, 19% 적게 발생되었다. 배추 정식 후 60일의 토양 중 화학성 변화에서 질산태질소와 전기전도도는 3요소 표준시비에 비해 온실가스 발생량이 적었던 질소 표준시비기비량 0.5배 해당량 NBPT 함유 비료 처리에서 적은 경향이었으며,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륨은 NF0.5, NF1.0 처리구에서 적은 경향이었다. 배추 식물체 질소 이용효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배추 수량은 3요소 표준시비 7,936 kg/10a와 질소 표준시비 기비량 1.0배 해당량 NBPT 함유 비료 처리에서 대등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고추와 배추 재배지에서 요소분해효소 억제제 NBPT 함유 비료를 시용하면 표준시비와 같은 생육상황에서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 (Reasonabl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0-464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소분시방법간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5엽기에는 관행(T1, 기비시용)보다 추비중점시비(T2, T3)에서 많았고 그 이후는 점차 줄어들어 출수기에는 질소 분시방법간에 차이가 적었다. 엽면적 및 지상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분얼기 이후에는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 한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질소 흡수량과 질소 이용율은 관행 분시방법보다 추비중점시비에서 높았는데, 2차 추비시기 간에는 5엽기보다 7엽기에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질소 분시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T3 > T2 > T1 순으로 많아, 쌀 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3엽기:5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3%,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6%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분시방법은 3엽기:7엽기:수비로 각각 40:30:30%로 분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