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traw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2초

논에서 콩 재배시 보릿짚 시용과 경운방법에 따른 토양 물리성과 수량 (Effects of Barley Straw Application and Tillage Method on Soil Physical Property and Soybean Yield in Paddy Field)

  • 이상복;김병수;강종국;김선;김재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3-598
    • /
    • 2006
  • 보리 후작 평야지 논에서 콩 안전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보릿짚 시용 후 무경운, 경운로타리 등 경운방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릿짚 시용으로 경운 유무에 관계없이 토양 중 유기물함량, 총질소, 인산 및 치환성 양이온 등이 증가하였다. 2. 토양물리성 중 공극과 토양수분함량은 경운로타리 > 로타리 > 경운로타리 후 보릿짚피복 >보릿짚소각 후 경운로타리 > 무경운 순으로 높았다. 3. 보릿짚 분해율은 파종후 30일째까지 빨랐고 그 이후는 서서히 분해되었으며, 얕게 매몰된 무경운이 경운로타리보다 빨리 분해되었고, 잡초발생량은 무경운과 보릿짚 피복에서 관행대비 각각 36%, 40% 억제되었다. 4. 콩의 뿌리활력과 근류형성능 및 콩 개화기의 생육은 무경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5. 수량은 볏짚시용 후 무경운 처리에서 3,070 kg/ha으로 보릿짚 소각한 관행에 비하여 19% 증수되었으나 경운로타리는 관행수준이 었다. 따라서 평야지 논에서 콩 재배시 강우가 잦을 경우 보릿짚 시용 후 경운로타리는 토양과습을 더욱 조장하므로 무경운 골 작조 후 재배함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RICE STRAW BY SHEEP III. EFFECT OF SOYBEAN MEAL AND BARLEY SUPPLEMENTATION ON VOLUNTARY INTAKE,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 Warly, L.;Fariani, A.;Mawuenyegah, O.P.;Matsui, T.;Fujihara, T.;Harumoto,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265-271
    • /
    • 1994
  • The effect of soybean meal and barley supplementation of the utilization of rice straw was investigated. Balance trials were conducted with three Japanese Corriedale wethers fed rice straw supplemented with soybean meal and barley at three different levels of protein: low (40 g CP/d, LCP), medium (67 g/d, MCP) and high (94 g/d, HCP). In addition, all the supplemen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the same amount of TDN (275 g/d). Voluntary intake of rice straw was not affected by any supplementation, while digestibility of organic matter in sheep given HCO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n LCP diet.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digestibilities of MCP and HCP die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5) over the LCP diet. Average daily gain of the animals under MCP and HCP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under LCP diet. Differences of rumen pH among the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 while concentration of rumen $NH_3-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HCP diet than for LCP and MCP diets.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_s$) and blood urea nitrogen (BU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sheep fed MCP and HCP diets than those fed LCP diet, while plasma total protein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any supplementation. Sheep fed MCP diet had a higher nitrogen retention than those fed LCP and HCP diets. It was concluded that rice straw was utilized better by sheep when SBM and barley were supplemented at the medium level of protein.

건답직파 벼-보리 장기간 이모작 재배시 벼 수량 및 토양 물리화학성 변화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Long-term Dry Seeded Rice-Barley Double Cropping)

  • 신상욱;박성태;황정동;황동용;김상열;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59-463
    • /
    • 2001
  •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longrightarrow$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 PDF

보릿짚의 수분함량 및 수확시기가 소각시 대기오염물질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Barley Straw Burning Having Different Moisture Contents and Harvesting Timing on Air Pollutant Emission)

  • 고지연;강항원;이재생;김춘송;박성태;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9-103
    • /
    • 2004
  • 영남지방 벼-보리 이모작답에서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는 보릿짚 처리방법인 소각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각시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대기오염가스 및 분진발생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보릿짚 소각시 온난화가스 발생량은 $CO_2$ 376.8, $CH_4$ 1.56, $N_2O$ 0.05 kg/10a로서 $CO_2$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대기 오염가스 중에는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배출되는 CO발생 량이 28.8 kg/10a로서 가장 많았다. 그 외 SO_2$, $H_2S$, $NH_3$, NO 등의 질소 및 황 함유 유해가스도 소량 발생되었고 발생된 PM 10 분진의 대부분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PM 10보다 큰 PM 2.5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수분함량이 높은 보릿짚일수록 온난화가스 및 대기오염 가스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소각 연기 내 PM 10분진 중 PM 2.5의 미세분진 비중이 높았다. 수확적기로 알려진 출수 40일 이후의 보릿짚은 출수 후 40일된 보릿짚 소각시 발생하는 대기오염가스 발생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보리후작 벼 다년건답직파시 수량 및 토양 화학성 변화 (Changes of Rice Yield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5-Year Direct Seeding on Dry Paddy after Barley)

  • 박성태;황동용;문병철;김순철;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2-568
    • /
    • 1995
  • 본 시험은 벼 만기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 화학성 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4년까지 5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품종은 일본형인 동해벼를 사용하였고, 작촌방식은 벼 단작 면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로 하였고, 보리 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 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로 하여 실시하였던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후작 건답직파도 $m^2$당 적정 입모수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연차간 입모 변이는 컸었고, 벼 단작 직파에 비하여 초기 묘생육은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생육이 회복되어 최종 벼 생육은 벼 단작 직파보다 좋았다. 2. 보리후작 벼 직파시 휴립건답직파 방식은 벼 단작 직파와 출수기 차이가 없었으나 평면 건답 직파에서는 출수기가 4일이 늦었다. 3. 수량구성요소중 천립중 및 등숙비율은 작촌양식간 비슷하였으나, $m^2$당 수수 및 영화수는 보리 작후 벼 직파에서 많았다. 4. 쌀 수량은 보릿짚제거후 벼 직파는 벼 단작 직파와 비슷하였으나 보릿짚 시용후 벼 직파에서는 2년차부터 쌀 수량이 증수되어 5년 평균 쌀 수량은 벼 단작 대비 8% 증수되었다. 5. 5년간 장기 건답직파시 토양 유기물 함량은 벼 단작구는 떨어졌으나 보리후작 직파구는 증대되었고, 작촌방식별 다같이 칼리함량은 비슷했으나, 인산과 칼슘함량은 증대되었고 마그네슘함량은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작촌방식별 현미 품위, 아밀로스 및 단백질함량은 별 차이가 없었고, 칼리, 마그네슘함량 및 Mg/K는 보릿짚 시용후 벼 직파에서 낮았다.

  • PDF

Improvement of Fermentation and Nutritive Quality of Straw-grass Silage by Inclusion of Wet Hulless-barley Distillers' Grains in Tibet

  • Yuan, Xianjun;Yu, Chengqun;Shimojo, M.;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79-485
    • /
    • 2012
  • In order to develop methods that would enlarge the feed resources in Tibet, mixtures of hulless-barley straw and tall fescue were ensiled with four levels (0, 10%, 20%, and 30% of fresh weight) of wet hulless-barley distillers' grains (WHDG). The silos were opened after 7, 14 or 30 d of ensiling, an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quality of the silages were analyzed. WHDG addition significantly improved fermentation quality, as indicated by the faster decline of pH, rapid accumulation of lactic acid (LA) (p<0.05), and lower butyric acid content and ammonia-N/total N (p<0.05)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HDG additions not only effectively inhibited the activity of aerobic bacteria, but also resulted in faster and greatly enhanced LA production and pH value decline, which restricted activity of undesirable bacteria, resulting in more residual water soluble carbohydrates (WSC) in the silages. The protein content of WHDG-containing silag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WHDG increased the fermentation and nutritive quality of straw-grass silage, and this effect was more marked when the inclusion rate of WHDG was greater than 20%.

염기 용매를 이용한 보릿짚의 전처리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etreatment for Barley straw by Alkaline Solutions)

  • 김경섭;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8-24
    • /
    • 2012
  • 최근의 식량자원과 충돌의 우려가 있는 전분질계 에탄올 생산에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고, 기존의 화석에너지를 대신할 새로운 재생가능 에너지개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새로운 에너지 자원으로서 셀룰로오즈 계열 바이오매스가 지속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난 수십 년 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셀룰로오직 에탄올이 가격 경쟁력을 가지지 못하는 이유는 셀룰로오스 계열 바이오매스의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의 분리과정이 어렵고, 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부산물질에 의한 당화 및 발효율이 낮다는 점과, 당화를 위해 다량의 효소가 필요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한 전처리 공정 기술을 상용화 단계까지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이 확보되고 원천 기술 적용이 가능한 바이오매스의 선정과 더불어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파악, 극복하면서 전체 생산 수율을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 저감형태의 새로운 전처리 공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농업 부산물 계열의 볏짚과 그 특성이 비슷할 것으로 보이는 보릿짚을 바이오매스로 선택하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염기 전처리를 적용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보릿짚은 볏짚과 비교하였을 때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함량이 각각 41.60%와 17.56%로 그 함량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가축 사료로 사용되고 있는 볏짚에 비해 수급단가 또한 상대적으로 낮아 매우 경제적인 바이오매스로 보여진다. 보릿짚을 이용한 암모니아 침지 반응을 통한 볏짚과의 비교에서는 암모니아 농도; 15%, 반응온도; $60^{\circ}C$ 반응시간; 24hr의 조건에서 전처리 후 리그닌 제거율 29.09%, 가수분해도 64.78%(16.01 g/L), 에탄올 수율 56.50%(8.65 g/L)로 나타나 볏짚에 비해 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암모니아에 의한 전처리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NaOH 침지 반응은 NaOH 농도; 2%, 반응온도; $85^{\circ}C$, 반응시간; 1hr 동안 반응하여 볏짚과 암모니아 침지 반응에 대한 비교를 통해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NaOH 침지 반응 후 보릿짚의 상대적인 리그닌 제거율; 24.15%, 가수분해도; 58.40%(15.39 g/L), 에탄올 수율 52.56%(8.35 g/L)의 결과를 얻어, 보릿짚이 암모니아를 이용한 전처리와 NaOH를 이용한 전처리 즉 염기 용매를 이용한 전처리에 있어 효과적인 리그닌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 후 NaOH와 암모니아 침지 반응 및 침출 반응의 최적화 연구를 통해 각 전처리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stimation of In vitro Digestibility of Barley Straw by Using a Homogenized Rumen Fluid and Artificial Saliva Mixed with Nitrogen and Energy Sources

  • Chaudhry, Abdul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13-16
    • /
    • 1998
  • A $2{\times}2{\times}4$ factori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estimates of in vitro digestibility, using untreated (UBS) and ammonia-treated (ABS) barley straw, through homogenization of rumen fluid (RF) and by additions of urea (U) and casein (C) as N sources and Xylose + Glucose (XG) as energy sources into artificial saliva. Digestibiltiy of AB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UBS (p <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igestibility when additions (U, UC, UCXG)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01). A 2-way interaction between RF and straw type was significant (p < 0.05) for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Homogenization of RF increased DMD of ABS (p < 0.05) whereas it decreased DMD of UBS (p > 0.05). The study showed that addition of 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nergy sources was not better than control, rather the reverse, digestion was inhibited by a combination of U and casein (UC). It was concluded that sufficient N and branched chain fatty acids were supplied in the inoculum from sheep fed high protein grass cubes to support the growth of cellulolytic microbes during in vitro incubation. Further studies are, however, requir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homogenization in improving the in vitro method to estimate digestibility of cereal straws.

THE EFFECT OF RICE STRAW-POULTRY MANURE SILAGE AND BARLEY ON THE NITROGEN DIGESTION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IN THE RUMEN OF SHEEP

  • Lee, Nam-Hyung;Yoon, Chil-Sur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4호
    • /
    • pp.615-623
    • /
    • 1989
  • Three sheep fitted with rumen cannulae and abomasal cannulae were given daily 750 g (DM) of three diets consisting of straw-manure silage and barley mixture in the ratios of 75:25, 50:50 and 25:75. As the proportion of barley in the diet increa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OM apparently digested in the rumen and thole tract (P<.01). But ADF digestion was decreased. For the 25:75 diet the $NH_3-N$ content in the rumen showed the highest value, but the total VFA was the lowest. The rumen volume and dilu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silage in die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s in abomasal NAN flow, and the bacterial-N for the 25:75 diet was 7.3 g N as compared with 9.2-9.6 g N for the other diets (P<.01). Rates of bacterial nitrogen synthesis in the rumen were 30.5, 24.1 and 14.9 g N per Kg OM apparently digested in the rumen for the 75:25, 50:50 and 25:75 diets, respectively.

혐기 소화 시 식물체 잔사 및 투입량에 따른 메탄 생산량 예측 (Predicting Methane Production on Anaerobic Digestion to Crop Residues and Biomass Loading Rates)

  • 신중두;홍승길;박상원;김현욱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75-8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에서 발생하는 식물체 잔사 종류별 투입비율에 따른 메탄 잠재 발생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보릿짚 및 유채대 등의 식물체 잔사를 다양한 투입율로 사용하여 세륨병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 방법론의 운동방법을 통하여 메탄 생산은 Gomperz 수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식물체 잔사별 바이오가스 생산에 있어, 최대생산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1%로 혐기소화 후 각각 6.8일에 37.2 mL/g과 7.5일에 28.0 mL/g로 나타났다. 중온소화 시 메탄 함량은 보릿짚 및 유채대 투입율 5%로 혐기소화 후 각각 5.5일에 61.7%와 3.4일에 75.0%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중온 소화시 최대 메탄 잠재발생량은 1% 보릿짚 투입율에서 159.59 mL/g 와 3% 유채대 투입율에서 156.62 mL/g로 산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중온소화 시 바이오매스 투입율은 유채대 3% 및 보릿짚 1%를 투입하는 것이 적정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