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matur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대맥의 등숙일수와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유전연구 제I보 대맥의 생리적 성숙기 기준 설정 (Genetic Studies on Heading-to-Ripening Period and Its Relationship to Yield Components in Barley I. Studies on maturity criteria in barley)

  • 천종은;이은섭;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9-54
    • /
    • 1982
  • 보리의 생리적 성숙기를 외시적 형질의 변이로서 판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단기 등숙성 계통선발과 등숙유전 연구에 활용하고저 33 품종 및 계통을 4 출수군으로 분류하여 5개 형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기출수 품종일수록 등숙기간이 길어져 출수기와 등숙기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r=0.656$^{**}$ )를 보였고, 품종간 등숙기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성숙기 결정에 이용된 각형질중 수분함량과 외영의 색도변화가 가장 유효하였다. 3. 생리적 성숙기를 외시적 측정에 의하여 결정할 때 외영의 색도가 가장 안정하고 민감하게 변화하여 유용한 형질이었다. 또한 지엽의 색도변화를 같이 고려한다면 더 정확한 숙기판단이 될 것으로 본다. 4. 이 시기에 외영의 색은 Grayish yellow (연회황색)이었고, 평균 수분함량은 약 33%이었다.

  • PDF

Physiological and Genetical Characters for Early Maturity in Barley and Common Wheat

  • Yasuda, Shoz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8-558
    • /
    • 1990
  • Physiology and genetics of early maturity in cereals are the subject of practical as well as scientific interest for agronomist and plant breeders,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such a complex character requires physiological and genetical knowledge about the internal factors, which are closely bound up with and react to some particular external or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especially the day length and temperature, so that the genotypic differences pertaining to these factors may be discerned. Takahashi and Yasuda (1958, 1970) maintained that at least three physiological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determining earliness in barley. namely. (1) spring and winter habit of growth or vernalization requirement, (2) ogitioeruiduc response or sensitivity to short-day, and (3) earliness factor in a narrow sense or minimal vegetative growth. The same situations were true in common wheat also (Yasuda and Shimoyama, 1965), In this report. physiology and genetics of internal factors and their relations to the time of heading in the field will be presented with some problems concerning differences in mechanism of early maturity between barley and wheat.

  • PDF

Formic Acid 첨가가 보리의 생육단계별 Silage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mic Acid Addition on the Quality of Barley Silage in Accordance with Growth Stage)

  • 박남배;곽종형;고영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14-219
    • /
    • 1984
  • 본(本) 시험(試驗)은 보리를 생육(生育) 단계별(段階別)로 예취(刈取)하여 formic acid를 $0.2%{\sim}0.6%$ 까지 3개 수준(水準)으로 첨가(添加)하고 또 예건(豫乾)하였을 때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져 원료(原料)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식물세포구성물(植物細胞構成物)을 분석(分析)하였다. 또한 silage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제조(製造)하여 약(約) 60일후에 pH 및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한 결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의 일반성분(一般成分) 함량(含量)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수분(水分),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지방함량(粗脂肪含量)은 감소하고 조섬유(組纖維), NFE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수용성탄수화물함량(水溶性炭水化物含量)은 유숙기(乳熟期)가 12.7%로 가장 많았으며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2. silage의 조단백질함량(粗資白質含量)은 formic acid를 첨가(添加)하므로서 효과가 높았으며 예건(豫乾)도 좋았다. ADF와 NDF함량(含量)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고 formic acid의 첨가량(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ADF는 감소하였다. 3. pH는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며 formic acid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pH는 약간 낮아졌다. 유산함량(乳酸含量)은 유숙기(乳熟期)가 가장 많으며 0.6%의 formic acid를 첨가(添加)하므로서 효과가 높은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보리는 출수기(出穗期)부터 유숙기(乳熟期)에 예취(刈取)하는 것이 좋으며 formic acid를 첨가(添加)하는 경우에는 $0.4%{\sim}0.6%$를 첨가(添加)하므로서 양질(良質)의 silage를 생산(生産)할 수 있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추파 대.소맥의 조기출수에 따른 개화, 등숙 및 수량성 변화 (Changes in Anthesis, Grain Filling and Grain Yield Accompanied by Hastening of Heading in Winter Wheat and Barley)

  • Kim, Seok-Dong;Kwon, Yong-W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6
    • /
    • 1985
  • 추파 대·소맥의 조숙품종의 조기출수에 따른 개화등숙 및 수량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대맥품종 조강보리, 밀양6호, 올보리, 동보리 1호 및 부농과 소맥품종 수원210호, 올밀, 조광 및 농림16호 등을 공시포장조건에서 파종기 차이와 장일처리로써 조기출수 및 출수기 차이를 유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 및 장일처리에 의해 대·소맥에서 15일 출수기 차이가 유도되었으나, 성숙기는 불과 2∼6밖에 촉진되지 않았다. 2. 조기출수한 경우 출수∼개화 일수 및 등숙일수가 연장되었으며, 출수∼개화 일수 연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기간과 평균기온 간에는 각각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 3. 조기출수만 것일수록 등숙초기의 엽면적은 좁았고, 엽면적유지기간(Leaf area duration)은 컸으며, 순동화율(NAR)은 낮았다. 4. 조기출수한 것에서 천립중은 증가하였으나 종실수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로 수수 및 일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리의 성숙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during Kernal Maturation)

  • 장학길;박귀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02-607
    • /
    • 1993
  • 본 실험에서는 토양에서 분리한 호알카리성 Bacillus sp. 유래의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CGTase)를 이용하여 전분을 기질로 하였을 때 CD의 생산에 미치는 여러 조건을 고찰하였다. CD의 초기생성속도를 최대로 하는 기질의 최적 dextrose equivalent(DE)값은 10.5이었고 이로부터 CD 생산반응인 cyclization에 필요한 기질의 최적 DE값이 존재함을 알았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CGTase의 활성도는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CD 생산속도와 수율은 온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는 CD 생산반응중 CGTase는 기질과 결합하여 열에 대해 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애멸구 다발생(多發生)과 맥류(麥類) 열기(熱期)와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Homoptera : Delphacidae) and Barley Maturity)

  • 김홍선;이정운;엄기백;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5
    • /
    • 1986
  • 1984년도(年度) 애멸구가 다발생(多發生)하였던 원인(原因)을 기상(氣象) 자료(資料)와 애멸구 유살수(誘殺數)를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애멸구 유살량(誘殺量)은 3월(月) 평균기온(平均氣溫)과 관계(關係)가 있으며 평균기온(平均氣溫)이 낮으면 보리의 생육(生育)이 지연되고 분얼수가 많아지며 성숙기(成熟期), 출수기(出穗期)가 늦어져 애멸구 증식(增植)에 유리(有利)한 조건(條件)이 됨으로 발생(發生)이 많아질수 있으며 '84년(年)의 3월(月)은 저온(低溫)이었던 관계(關係)로 대발생(大發生) 하였던 것 같다. 또한 3월(月)의 평균기온(平均氣溫)과 유살량(誘殺量)과는 높은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으며 회귀식(回歸式)에 의해 발생량(發生量)을 추정(推定)할 수 있다.

  • PDF

답리작 대맥의 Whole Crop Pellt 생산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ole Crop Pelltt Making of Barley Cultivated on Paddy Land after Rice)

  • 김정갑;한민수;김건엽;한정대;진현주;이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0
    • /
    • 1995
  • The yield performance and nutrient quality of barley for pellets making from whole crop material were discussed during 1993-1994. Barley (cv. Olbori) was grown on paddy land after rice cutivation and was harvested at early stage of physiological maturity. A column type of whole crop pellets was produced by 1.5cm diameter and 2.5cm height. Barley war evaluated as a suitable materials for whole crop pellet making. Barley produced higher yield and better qualitative roughage in the utilization of pellet making than in the silage making. Dry matter yields were obtained 12.02 MTha in pellet making and 11.70 MT/ha in silage making. Net energy value of barley pellet were 6.54 MJ in net energy lactation and 635 SV in starch equivalent net energy. Feeding of barley pellet improved milk production of daily cattle Daily milk yields per head were 25.1 liter in silage feeding and 25.9 liter in pellet feeding. Production cost of pellets and silages made from whole crop barley were 169.07 won/kg and 124.15 won/kg dry matter, respectively.

  • PDF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주요 품종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비교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Domestic Italian Ryegrass and Barley Varieties)

  • 서성;김원호;김기용;최기준;지희정;이상훈;이기원;김맹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1-268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개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와 청보리 품종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비교분석하여 영농현장에 필요한 기술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수원 시험포장에서 2009년 9월부터 '10년 6월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IRG 2품종(조생종 Kowinearly, 중생종 Kowinmaster), 청보리 5품종(영양, 우호, 유연, 다미, 유호) 및 혼파구(Kowinearly + 유연, Kowinmaster + 유연) 등 9처리였다. IRG의 출수기는 Kowin early 5월 14일, Kowinmaster 5월 18일이었다. 5월 22일 조사한 청보리의 숙기는 영양과 우호는 유숙후기, 다미는 호숙초기, 유연과 유호는 호숙초 중기로 품종간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IRG에서 도복이 다소 있었으나 혼파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혼파구에서 IRG의 초장은 117~118 cm로 IRG나 청보리 단파구에 비해 길었다. 수확 시 건물률은 20.7~25.4%였으며, 혼파구에서 시기별로 조사한 IRG의 식생비율은 평균 43.1%였다. 청보리의 이삭비율은 성숙이 진행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으로 유숙후기, 호숙기, 황숙기, 완숙기에서 각각 35.7%, 44.1%, 54.8%, 57.2%였으며, 품종별로는 영양과 우호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IRG에서 9.0~10.0%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청보리는 7.0~8.5%, 혼파구는 7.3~9.1%였고, NDF와 ADF 함량은 청보리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건물 소화율은 Kowinearly 64.4%, Kowinmaster 64.1%, Kowinmaster + 유연 혼파구는 64.5%였으며, 청보리는 60.2 (유호)~66.4% (우호) 범위로 우호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가소화 건물수량은 Kowinmaster + 유연 혼파구에서 ha당 각각 11,508 kg, 1,046 kg, 7,422 kg으로 가장 많았으며(p<0.05), IRG와 청보리 품종별 생산성 차이는 크지 않아 지역 특성과 재배 목적에 맞는 초종 및 품종선택과 함께 IRG (Kowinmaster) + 청보리 혼파이용이 권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