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Anthesis, Grain Filling and Grain Yield Accompanied by Hastening of Heading in Winter Wheat and Barley

추파 대.소맥의 조기출수에 따른 개화, 등숙 및 수량성 변화

  • Published : 1985.04.01

Abstract

Heading time was hastened by the combination of seeding time and longday treatment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early heading on earliness in maturity, vegetative growth and grain yield in five barley varieties and four wheat varieties under field conditions in Suwon, Korea, 1978-79. About 15 days of earliness in heading accelerated only 2 to 6 days in maturity. Furthermore, the duration of grain fill was not much prolonged comparing with the extension of days from heading to maturity, because of the extension of periods from heading to anthesis at lower temperature resulting in somewhat greater final grain weight. Periods from heading to anthesis and from anthesis to matur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ir temperature. In early heading, leaf area at 10 days after anthesis and net assimilation rate were much limited, and although leaf area duration got larger, presumably, it could not make up for the reduction of grain yield. Grain yield per plant reduced noticeably in early heading. This was mainly caused by the reduction of spike number and grain number per spike.

추파 대·소맥의 조숙품종의 조기출수에 따른 개화등숙 및 수량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대맥품종 조강보리, 밀양6호, 올보리, 동보리 1호 및 부농과 소맥품종 수원210호, 올밀, 조광 및 농림16호 등을 공시포장조건에서 파종기 차이와 장일처리로써 조기출수 및 출수기 차이를 유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 및 장일처리에 의해 대·소맥에서 15일 출수기 차이가 유도되었으나, 성숙기는 불과 2∼6밖에 촉진되지 않았다. 2. 조기출수한 경우 출수∼개화 일수 및 등숙일수가 연장되었으며, 출수∼개화 일수 연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기간과 평균기온 간에는 각각 고도의 부상관이 있었다. 3. 조기출수만 것일수록 등숙초기의 엽면적은 좁았고, 엽면적유지기간(Leaf area duration)은 컸으며, 순동화율(NAR)은 낮았다. 4. 조기출수한 것에서 천립중은 증가하였으나 종실수량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로 수수 및 일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