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rbalo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The Effect of Barbaloin on LPS-stimulated Inflammatory Reaction in Mice Peritoneal Macrophages

  • Jeon, Yong-Deok;Lee, Jon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0-286
    • /
    • 2017
  • Barbaloin is a major component of Aloe vera, which has been used for a laxative. Also, barbaloin is C-glucoside of aloe emodin anthrone which is founded in Aloe vera. Barbaloin has varieties of pharmacological activity such as inhibitory effects on inflammation, histamine release, cancer and microbial infection. But the effect of barbaloin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s has not been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barbaloin against LPS-stimulat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flammatory cytokines and MAPKs activation in macrophage. We treated barbaloin (0.1, 1, 10, $100{\mu}M$) in LPS-stimulated mice peritoneal macrophage. Our results showed that barbaloin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interleukin $(IL)-1{\beta}$ in LPS-stimulated peritoneal macrophage. Moreover, barbaloin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arbaloin could be useful for inflammatory diseases.

추출조건(抽出條件)에 의(依)한 알로에 베라의 Barbaloin 분석 (Analysis of Barbaloin in the Aloe vera Depending on the Various Extracting Conditions)

  • 박종상;장기운;남윤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409-413
    • /
    • 1994
  • 추출조건(抽出條件)에 의(依)한 알로에 베라의 barbaloin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비교(比較)하였다. 용매별(溶媒別) barbaloin 함량(含量)은 메탄올>에탄올>물의 순으로 증가(增加)하였다. 정치(定置) 추출(抽出)은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의 경우 $60^{\circ}C$에서 4시간까지 가장 많은 함량(含量)이 추출(抽出)되었고, 그 이상은 감소(減少)하였다. 물추출의 경우 추출시간(抽出時間)과 온도(溫度)에 따라서 barbaloin 함량(含量)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물추출의 경우 온도(溫度)와 추출시간(抽出時間)이 증가(增加)할수록 추출량(抽出量)이 감소(減少)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유기용매(有機溶媒)에서는 화합물(化合物)이 안정(安定)하지만, 물에서는 가수분해(加水分解) 등으로 분해(分解)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초음파(超音波) 추출(抽出)의 경우 메탄올에서 $60^{\circ}C$/40분이 가장 함량(含量)이 많았다. 진탕 추출(抽出)시 추출함량(抽出含量)은 물추출은 $40^{\circ}C$/8시간, 메탄올은 $60^{\circ}C$/4시간, 에탄올은 $60^{\circ}C$/2시간이 최대(最大) 함량(含量)을 나타냈고, 그 이상은 약간씩 감소(減少)하였으며, 특히 물추출은 $20^{\circ}C$$40^{\circ}C$에 비하여 $60^{\circ}C$에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환류추출(還流抽出)은 온도증가(溫度增加)에 따라 성분(成分)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제반(諸般) 추출조건(抽出條件)을 비교한 결과(結果) 동시다수(同時多數)의 시료(試料)를 간편(簡便)하게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메탄올 $60^{\circ}C$/40분간 초음파(超音波) 추출(抽出)하는 것이 양호(良好)하였고, 혼합용매(混合溶媒)의 경우 메탄올 : 에탄올(1 : 1) 혼합용액(混合溶液)을 사용하는 것이 능률적(能率的)이었다.

  • PDF

Aloe vera peel 추출물에 의한 구강염증 저해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Enzymological Evaluation of Oral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y by Aloe vera peel extract)

  • 박정순;류일환;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53-759
    • /
    • 2001
  • Aloe vera 껍질로부터 구내염등 항염증제재를 개발하기 위해 항염증 활성이 있는 분획을 분리, 동정하고, 염증과 관련된 효소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Aloe vera 껍질의 추출물을 용매에 따라 분획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ethylacetate층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통해 두 가지 활성물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두 가지 물질은 UV spectrum과 FT-IR, $^1H-NMR$, 및 Mass spectrum 분석을 통해 aloe-emodin과 barbaloin으로 동정하였다. Aloe vera 분획물의 hyaluronidase 활성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7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Leucko-cyte elast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50\;{\mu}g/mL$, barbaolin은 $6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6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prostaglandin endoperoxide synthase 활성 저해를 측정한 결과는 aloe-emodin은 $40\;{\mu}g/mL$, barbaloin은 $70\;{\mu}g/mL$$IC_{50}$값을 나타내었다. 쥐를 이용한 carrageenan족 부종 억제효과는 aloe-emodin의 경우 100mg/kg 투여량으로 52.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indomethacin의 약 1/10이었으며, aspirin과는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반면 barbaloin의 경우 100mg/kg의 투여량으로 74.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억제효과는 indomethacin의 약 1/5이었으며, aspirin의 약 1.5배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체치은세포에 대한 독성은 aloe-emodin보다 barbaloin이 적게 나타났으며 이 두 가지 물질은 1 및 $5\;{\mu}g/mL$농도에서는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으나 10 및 $20\;{\mu}g/mL$에서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용되고 있는chlorhexidin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독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aloe-emodin 과 barbaloin은 항우식 및 항염증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은세포의 독성이 비교적 낮아 구강병 예방제재로의 개발 가능성이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 PDF

건조조건(乾燥條件)에 의(依)한 알로에의 부위별(部位別), 품종별(品種別) 지방산(脂肪酸) 유기산(有機酸) 및 Barbaloin 성분(成分) 연구(硏究) (Fatty and organic acids, and barbaloin in various parts of Aloe species dried at different drying temperatures)

  • 장기운;박종상;장기철;남윤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44-248
    • /
    • 1993
  • 건조조건에 의한 알로에의 품종별 및 부위별로 지방산 및 유기산과 약효성분인 barbaloin을 추출 분리정량 하였다. 7종의 지방산 및 6종의 유기산과 barbaloin 성분을 확인한 후 각 품종별, 부위별, 건조온도별로 함량을 비교하였다. 7종의 총지방산량으로 볼때 palmitic, eicosanoic acid 함량이 높았으며, Aloe saponaria가 가장 적었다. 6종의 유기산 총량으로는 malic, citric 및 oxalic acid가 다른 유기산보다 많았으며, Aloe sponaria가 함량이 많았고, Aloe arborescence 변종 1은 적었다. $65^{\circ}C$$80^{\circ}C$ 열풍건조시료는 유기산 및 지방산의 함량이 거의 유사하였고, 동결건조한 시료는 열풍건조한 시료보다 함량이 낮았다. Barbaloin의 경우 품종별 함량은 Aloe arborescence 변종 1이 가장 높았으며, 건조조건에 따른 Aloe vera의 barbaloin 성분은 $65^{\circ}C$보다 $80^{\circ}C$의 경우 감소되었고 동결건조가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Aloe vera peel 추출물의 Streptococcus mutans JC-2에 대한 항균활성 (I)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Aloe vera peel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JC-2(I))

  • 박정순;신용서;류일환;이갑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9-145
    • /
    • 2000
  • To separate anticaries and antiinflammation from Aloe vera peel, we investigated a inhibited effect of Streptococcus mutans JC-2 that was antibiosis,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about aloe-emodin and barbaloin. Aloe-emodin and barbaloin had strong antibiosis activity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JC-2, they were especially antibiosis effect to low growth and prolong lag phase at attachment concentration 100$\mu\textrm{g}$/mL. The reduction rate of a culture fluid became to lessen than the comparison group for aloe-emodin and barbaloin. The intracellular materials of Streptococcus mutans JC-2 were to leakage as much as attachment concentration addition of aloe-emodin and barbalo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membrane demage between two active substances. The activity of GTase was inhibited by aloe-emodin and barbaloin and their inhibition rate was respectively 99.8%, 98.4% at the attachment concentration 100$\mu\textrm{g}$/mL.

  • PDF

알로에 발효주의 barbaloin 함량변화 (Changes of Barbaloin Contents in Aloe Wine)

  • 박종상;성창근;장기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183-188
    • /
    • 1996
  • 알로에 술의 품질향상 및 산업화를 위한 연구자료로서 알로에 술의 제조법을 과학화하기 위하여, 알로에 첨가량에 따른 알로에 술의 특성과 지표성분 함량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과정 중의 알콜 생산은 0.5%의 알로에 분말 첨가구에서 당을 15%, 20%, 25%로 증량시 약 6.3%, 9.6%, 그리고 11.3%의 알콜이 각각 생성되었다. 술덧중에 알로에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알콜의 생산이 완만하게 저하되었다. 알로에의 지표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는 barbaloin은 0.5% 알로에 첨가구에서 barbaloin의 양은 발효 7일 후 4.2 mg/ml, 10일후에는 4.6 mg/ml이었으나, 30일 후에는 다시 감소되었다. 알로에의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로서 알로에의 쓴맛에도 불구하고 1.5%와 2.0%의 알로에 첨가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Ionizing Energy and Ozone Treatments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oe Powders and Bee Pollen

  • Yook, Hong-Sun;Chung, Young-Jin;Kim, Jung-Ok;Kwon, Oh-Jin;Kim, Sung;Byun, Myung-W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97
  • The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 ozone treatment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of aloe powder and bee pollen. Gamma irradiation at 7.5~10kGy could reduce total aerobic bacteria, molds and coliforms below detection levels, but ozone treatment up to 18 ppm for 8hr was not sufficient to eliminate the microorganisms from aloe powder and bee poll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fatty acid an amino acid compositions, mineral content, TBA value, barbaloin and pigment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gamma irradiation, whereas ozone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lipid oxidation and destruction of barbaloin and natural pigments.

  • PDF

Aloe vera peel에서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정제(II)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Aloe vera peel(II))

  • 박정순;신용서;류일환;이갑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6-151
    • /
    • 2000
  • To evaluate anticaries and antiinflammation of Aloe vera peel, antimicrobial substances were extracted from Aloe vera peel and identified. The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of water extract were successfully purified with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UV spectrophotometer. Two purified active substances were identified as aloe-emodin and barbaloin by Mass Spectrometer, 1H-NMR and FT-I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