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p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초

Gibberellic acid 처리가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잔디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See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and Tall Fescue Turfgrass)

  • 강점순;김용철;최인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2-39
    • /
    • 2007
  • 발아율이 저조한 한지형 잔디인 Kentucky bluegrass 와 Tall fescue종자를 식물생장조절제인 $GA_3$와 BAP를 처리하여 발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처리조건을 구명하였다. Kentucky bluegrass 초종에서는 $GA_3$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BAP 단독 또는 및 $GA_3$와 BAP혼용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으며, 처리기간은 6일 처리가 3일 처리보다 좋았다. 따라서 최적 처리조건은 $GA_3$ $1000{\mu}M$농도로 6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보다 발아율을 $10{\sim}38%$ 향상시킬 수 있었다. Tall fescue 종자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면 발아율이 향상되는 경향이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최적 생장조절제 처리조건은 $GA_3\;1000{\mu}M$용액으로 3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 종자에서 비해 발아율을 10%증진시켰다. $GA_3$ 처리된 Kentucky bluegrass와 Tall fescue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8{\sim}9%$ 향상되었고, 묘출현속도는 1.2일 빨랐다. 또한 건물 중, 초장 및 뿌리생장 등 초기생육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과 흑마늘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Black Garlic Intake on Blood Lipids, Lipid Peroxidation and BAP in Rats)

  • 김승현;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25-1031
    • /
    • 2011
  • 본 연구는 4주간의 유산소운동과 흑마늘의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총 25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30-60분씩 15 m/min의 속도로 트레드밀에서 유산소 운동을 실시 하였으며,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n=6), 운동집단(exercise group, EG, n=6), 흑마늘집단(black garlic group, BGG, n=7), 그리고 운동흑마늘집단(exercise with black garlic group, EBGG, n=6)으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운동 4주 후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산소 운동 후에 운동흑마늘집단은 총콜레스테롤(TC)과 중성지방(TG)이 다른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질과산화물(TBARS)은 운동흑마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항산화 능력(BAP)은 운동흑마늘집단과 운동집단이 통제집단과 흑마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흑마늘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중 TC와 TG를 개선시키며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였을 때 그 효과는 더욱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지질과산화가 억제되고 항산화 능력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운동과 흑마늘의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보호와 함께 심혈관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까마중(Solanum nigrum L.)의 유식물 절편체에서 부정아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Explants of Solanum nigrum L.)

  • 오순자;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7-284
    • /
    • 2012
  • 본 연구는 기내에서 발아된 까마중 유식물체의 조직별로 신초 및 뿌리 유도를 통해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신초 형성은 식물체 부위별로 서로 달랐으며, 잎에서의 신초 형성빈도가 자엽이나 하백축 그리고 상배축보다 높았다. 절편체당 신초의 수는 잎과 자엽에서 다소 많았으며, 신초의 길이도 다른 부위에 비해 잎과 자엽에서 빠른 증식과 신장을 나타내었다. 특히, 2.0 mg $L^{-1}$ BAP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분화율, 신초의 수와 길이가 증가하여 2.0 mg $L^{-1}$ BAP가 고빈도 신초의 유도 및 생장에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뿌리분화는 IBA와 IAA가 NAA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0.05 mg $L^{-1}$ I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 형성율이 90%이며, 뿌리의 갯수와 길이도 각각 평균 4.0개와 7.82 cm로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배양토에 이식한 재분화체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 mg $L^{-1}$ BAP 조건에서의 잎 절편에서 다발성 신초 유도, 그리고 0.05 mg $L^{-1}$ IAA 조건에서의 뿌리형성 유도가 까마중의 대량번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땅꽈리(Physalis angulata L.) 하배축 절편으로부터 신초 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from Hypocotyl Explants of Groundcherry (Physalis angulata L.))

  • 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02-507
    • /
    • 2022
  • 본 연구는 약용식물자원인 땅꽈리 유식물의 하배축 절편으로부터 부정아 형성을 통한 재분화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신초는 저농도 BAP를 함유하는 MS 배지에서 효과적으로 유도되었다. 신초 유도는 BAP 0.5~1.0 mg/L를 단독으로 또는 NAA 0.1~0.5 mg/L와 함께 처리한 MS 배지에서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특히 BAP 1.0 mg/L가 포함된 MS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어서 다발성 신초가 왕성하게 형성되었다. 유도된 신초를 뿌리 유도 배지로 옮겼을 때, 저농도의 NAA, IBA, IAA에서 뿌리가 잘형성되어 재분화 식물체를 만들어 내기에 적절하였다. 발근 수와 뿌리의 길이는 각각평균 2.0개, 8.0 cm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0.03 mg/L의 NAA, IBA, IAA를 포함한 MS 배지에서 뿌리가 더잘 성장하고, 뿌리의 전체적인 형태도 양호하였다. 그리고, 저농도의 NAA, IBA, IAA를 함유하는 MS 배지에서 새로운 신초의 형성도 잘 이루어져서, 줄기의 수가 2개 이상으로 많이, 그리고 길이는 6.0 cm 이상으로 길게 신장하였다. 배양토에 이식한 재분화 식물체는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모두 정상적인 성체로 생장하였다. 따라서 땅꽈리의 부정아 형성을 이용한 재분화 식물체의 생산은 개체들을 대량 증식할 수 있어 균질한 조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주요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Propagation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var. grossum) through tissue culture

  • Senarath, WTPSK;Shaw, D.S.;Lee, Kui-Jae;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03
  • Leaf discs and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cytokinin and auxi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Callus production was observed in all tested media after six days of incubation. Callus pro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NAA (2.0mg/1) was fragile in texture and yellow in colour. Highest callus formation was observed from leaf discs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1 NAA and 0.5 mg/l BAP in dark at $25{\pm}1{\circ}C$. Percentage of callus formation was 95% and mean callus fresh weight was 654.88 43.53 mg. Shoots were induced from the callus after 4 weeks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P and kinetin both at 0.5mg/1. When elongated shoots were separated and transferred into multiplication medium (MS+0.5mg/1 BAP+0.5mg/1 kinetin) multiplication rate was 6.4 after 6 weeks. Higher concentrations of BAP caused callus production at the base. Direct shoot induction was observed from apical meristems in MS medium in the presence of 0.175 mg/1 IAA + 2.25mg/1 BAP and 0.175 mg/1 IAA + 3.0 mg/1 BAP in 16 hour day at $25{\pm}1{\circ}C$. Explants (apical meristems) elongated to form a single shoot forming a callus at the base. Adventitious buds were sprouted out from the base. Percentage explants which producing shoots was 28.57 and 65.5 respectively.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same media. Highest multiple shoot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0.175 mg/l IAA and 3.0mg/l BAP, Mean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as 5.36 and the mean shoot length was $16.66{\pm}4.15$mm. Shoots (20 30m length) were tested for root induction. Excised shoots were transferred into rooting media, which contain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A and IAA. Best rooting performance was observed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mg/1 NAA after 10 days of incubation in 16 hr photoperiod at $25{\pm}1{\circ}C$. Mean number of roots per shoot was 6 and the mean root length was 252mm. Roo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into sterile coir dust:sand (1:4) mixture and maintained in a humid chamber for two weeks, They were gradually expos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fter three weeks they were transferred to pots containing coir dust:sand (1:2) mixture for further development where the 90% survival was observed.

  • PDF

Influence of Hormones and Selection of Stable Cell Lines of Plumbago rosea for Accumulation of Plumbagin

  • Komaraiah P.;Jogeswar G.;Naga Amrutha R.;Sri Laxmi P.;Lavanya B.;Rama Krishna S.V.;Kavi Kishor P.B.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181-185
    • /
    • 2003
  • Callus and suspension cultures derived from leaf explants of Plumbago rosea were established on Murashige and Skoog's medium containing 1 mg/L IAA, 0.5 mg/L NAA and 0.3 mg/L BAP. Callus cultures were tested for their growth and accumulation of plumbagin, a naphthoquinone and was identified by $^1H$ NMR and electron ionization mass spectroscopy. While auxins (not 2,4-D) influenced growth and plumbagin accumulation, cytokinins did not influence them muc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IAA in presence of NAA and BAP increased plumbagin in suspensions only up to 1 mg/L. Growth of callus was optimum (8.3 g DCW/I) at a hormonal combination of 1.5 mg/L IAA, 0.5 mg/L NAA and 0.3 mg/L BAP, but high plumbagin accumulation (4.9 mg/g DCW) was recorded at 1.0 mg/L IAA plus 0.3 mg/L BAP. Since instability in growth and secondary metabolite accumulation was noticed, several cell lines/clumps of callus were screened for plumbagin accumulation by visual and analytical methods. Biomass and accumulation of plumbagi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several cell lines. But one cell line showed stability both in terms of biomass and plumbagin accumulation over a period of 6 months.

High Frequency Shoot Regeneration from Leaf Explants of Some Chrysanthemum Cultivars

  • Kim, Young Hoe;Park, So Hyeon;Kim, Gyeong Hee;Jeong, Byoung Ry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51-5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shoot regeneration among chrysanthemum cultivars. Leaf explants of chrysanthemum cultivars 'Sulhwa', 'Puma', 'Geummokseo' and 'Sulpoong' were used. Explants cultured on the medium for 2 weeks formed calli at the cut surfaces. Shoots regenerated 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combinations of NAA and BAP. Explants were cultured under cool-white fluorescent lamps with a light intensity of $40\mu{Mm}^{-2}$.$s^{-1}$ for 16 $hday^{-1}$, at $25^{\circ}c$ and 70-80% relative humidity. 'Geummokseo' and 'Sulpoong' were the most responsive cultivars in shoot regeneration. Most effective medium for 'Sulhwa' and 'Puma' was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10.0 $\mu{M}$ NAA and 5.0 $\mu{M}$ BAP and for 'Geummokseo' MS supplemented with 10.0$\mu{M}$ NAA and 20.0$\mu{M}$ BAP. Regeneration of multiple shoots was observed 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1.0$\mu{M}$ or 10.0 $\mu{M}$ NAA and 5.0$\mu{M}$ BAP. High frequency regeneration of adventitious shoots from leaf explants and efficient induction of root from these regenerated shoots were obtained.

물오리나무 캘러스로부터 Anthocyanin 생산 (Anthocyanin Production from Culture of Alnus hirsuta Callus)

  • 안정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237-244
    • /
    • 1994
  • 원형질체로부터 유래된 물오리나무 캘러스는 빛에 반응하여 붉은 색소를 축적하였고 색소 생성능이 높은 세포주 R4를 분리하였다. 이 세포주로부터 색소를 추출하여 분광분석, 셀루로오스 TLC 및 G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 galactose를 당으로 가지며 aglycone이 cyanidin인 안토시아닌으로 밝혀졌다. R4 세포주를 재료로 식물 호르몬 및 무기염류가 안토시아닌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캘러스 생장과 안토시아닌 생산에 2,4-D가 가장 탁월한 효과를 보였으며 BAP 첨가가 안토시아닌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토시아닌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호르몬 조성은 $1\;\mu\textrm{M}$ 2,4-D, $0.1\;\mu\textrm{M}$ BAP였다. 무기염류의 경우, 인산염 농도를 5.0 mM에서 2.5 mM로 낮추었을 때와 ${NO_3}^{-}$를 80%로 증가하였을 때 색소생산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Apical Bud and Nodal Segments of Anthocepahalus Cadamba - An important sacred and medicinal tree

  • Kavitha, M.;Kalaimagal, I.;Mercy, S.;Sangeetha, N.;Ganesh, 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11-118
    • /
    • 2009
  •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apical bud and nodal explants of 100 year old tree of Anthocephalus cadamba, an important sacred and medicinal tree in India was achieved for the first time. Aseptic explants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aug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AP (0.1, 0.5, 1.0, 2.5, 5.0 and 10 mg/l), when maintained for 60 days, healthy shoots were induced in presence of BAP (1 mg/l). Lower concentrations of BAP (0.1 - 0.5 mg/l) induced only one shoot per explant. Increase in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as observed in presence of higher concentrations of BAP (2.5, 5.0 and 10 mg/l). However, elongation of shoots was completely inhibited. Bud break and shoot regeneration was largely associated with seasonal factors. Apical buds cultured during June to August exhibited early bud break within two weeks of initial culture. In rest of the months, bud break and shoot regeneration was very slow irrespective of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BAP used in the medium. Explants sourced from three different maturity levels of shoots indicated that actively growing shoots from the mother plant with 1 - 2 nodal segments was more suitable for culture initiation than the explants collected from mature shoots at dormant stage. Regenerated shoots with 2 - 3 pairs of leaves when transferred to half strength MS medium fortified with IBA (1 mg/l), 60% of the shoots induced healthy roots,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large scale micropropagation.

  • PDF

연초(Nicotiana tabacum cv BY4) 이배체 및 반수체 식물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생 관련 효소의 변화 (Enzyme Activity in Plant Regeneration from Diploid and Haploid Calli of Nicotiana tabacum cv BY4)

  • 오승철;소웅영;조덕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33-339
    • /
    • 1994
  • 연초의 약배양에 의해서 반수체를 유기하고 형성된 반수체와 이배체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효소의 활성도와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반수체의 형성은 화아가 중간정도된 크기를 이용하여 IAA가 1.0 mg/L kietin이 0.5mg/L 조합 처리되고 활성탄이 3 mg/L 함유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캘러스의 유도는 이배체 및 반수체 공히 2,4-D의 농도가 0.5 mg/L 첨가된 배지에서 양호하였으며, 캘러스로부터 재분화는 BAP 농도 2.0 mg/L에서 효과적이었다. 재분화시 변화되는 효소의 활성도와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처리된 BAP의 농도와 사용한 식물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eroxidase의 활성도는 이배체 및 반수체 공히 BAP 농도가 2.0 mg/L일때 가장 높았으며, catalase의 활성도는 BAP의 농도가 1 mg/L일때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IAA 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도는 이배체에 비해 반수체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peroxidase의 활성도는 이배체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