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cidal treatment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초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Chlorine Dioxide end Ozone on Total Coliform in Water

  • Lee, Yoonjin;Kyoungdoo Oh;Byongho Jun;Sangho Nam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3년도 Challenges and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Health
    • /
    • pp.140-143
    • /
    • 2003
  •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inactivation of total coliform as the indicator organism with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The inactivation of total coliform was experimentally analyzed for the dose of disinfectant, contact time, pH, Temperature and DOC. The experimen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inactivation were performed in a series of batch processes with the total coliform as a general indicator organism based on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as disinfectants. The nearly 2.4, 3.0, 3.9 log inactivation of total coliform killed by injecting 1mg/L at 5 minutes for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For the inactivation of 99.9%, Disinfectants required were 1.70, 1.00 and 0.60 mg/L for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respectively. The bactericidal effects of disinfectants were decreased as the pH increased in the range of pH 6-9. The influence of pH change on the killing effect of chlorine dioxide was not strong, but that on ozone and free chlorine was sensitive. The bactericidal effects of the disinfectants we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 The activation energies were 36,053, 29,822, 24,906 J/mol of chlorine, chlorine dioxide, ozone for coliforms. The inactivation effects were shown in the lowest order of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 PDF

상백피 추출물중 Listeria monocytogenes 증식억제 물질의 분리 및 효과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Pure Compound Isolated from Extract of Morus alba Linne Bark)

  • 안은영;한지숙;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36-1240
    • /
    • 1997
  • 상백피를 75%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조 추출물을 다시 용매별로 순차 분획 후 Listeria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하여 증식저해 효과를 비교한 후 항균활성 물질을 확인하였다. 활성이 있는 획분을 1차 및 2차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활성 물질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 물질 획분(F-5')을 얻었고 이 획분을 tryptic soy broth에 100 및 300 ppm을 첨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를 증식시킨 결과 배양시간에 따라 뚜렷한 균수의 감소가 관찰되어 높은 살균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처리된 균체의 세포적의 비정상적인 형태가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되었다.

  • PDF

한국산 해태의 위생학적 연구 2 (Hygienic studies on laver of korea (II))

  • 박대성;조현영;김광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68
    • /
    • 1970
  • In continuation of the previous work (The New Medical Journal, Vol. 12, No. 3, 111, 1969), the effects on the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coli form group, on vitamin C content and ascorbate oxidase activity of the purple laver due to the $^{80}Co$ gamma-irradiation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are ; 1) After the 0.1m rad./hr. doses treatment of gamma-irradiation for 1 hours to the laver, the coli form group was being remarkably destoryed and after the application for 10 hours the coli form group was completely destroyed. 2)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gamma-irradiation to the laver. According to the sensory test, no changes in flavor nad color were indicated for 9-10 hours treatment. But, the loss of ascorbic was much than that of dehydroascorbic acid after 10-hour treatment. 3) And also, the ascorbate oxidase activity due to the irradiation waas conspicuously decreased.

  • PDF

어패류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emolyticus)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Hypochlorous Acid Water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on Raw Fish and Shellfish)

  • 김희연;최진경;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19-724
    • /
    • 2015
  • 넙치, 방어 어류 2종과 가리비, 참굴 패류 2종에 수산식품의 주요 식중독균인 장염비브리오균(V. parahaemolyticus)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넙치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0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나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방어에 있어서도 넙치와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가리비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4.2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에는 장염비브리오균이 검출되지 않아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참굴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후, 강산성차아염소산수 및 미산성차아염소산수 공히 1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결과, 약 3.8 log가 감소하였으며, 30배의 양으로 세정한 경우, 7.0 log가 감소하여,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넙치, 방어, 가리비에 비해서는 살균효과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어류 근육이나 가리비에 비해 참굴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에 대한 차아염소산수의 살균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것은 참굴의 표면 구조의 복잡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Bactericidal Efficacy of Vital-Oxide®, Disinfectant Solutio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Brucella Ovis

  • Cha, Chun-Nam;Lee, Yeo-Eun;Kang, In-Jin;Yoo, Chang-Yeul;An, Sun-Jeong;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54
    • /
    • 2012
  • 살모넬라와 부루셀라는 가축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축산업과 식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와 베타인 염산염을 주성분으로 한 소독제 바이탈옥사이드의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효력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희석법을 이용한 살균효력시험은 $4^{\circ}C$에서 30분 동안 시험 세균을 희석 소독제에 노출시켜 소독제의 가장 효과적인 낮은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시험이다. 바이탈옥사이드와 시험 세균들을 처리조건에 따라 증류수, 경수, 그리고 유기물 등으로 희석하여 반응을 시켰다. 유기물 조건에서,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바이탈옥사이드의 살균력은 경수조건에서의 살균력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들에 의한 소독제의 살균 유효성분에 대한 저해작용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탈옥사이드는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와 같은 가축병원성 질병들에 대해 살균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소독제는 세균성 질병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를 이용한 식중독균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Effects of Food-borne Bacteria using Chlorine Dioxide and Electrolyzed Water)

  • 이혜린;김수진;방우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2-23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병원균인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Escherichia coli O157:H7을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에 0분, 2분, 4분, 6분, 8분 및 10분간 반응시켜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 효과를 확인하고, 그람 양성균(B. cereus, S. aureus)과 그람 음성균(S. Typhimurium, E. coli O157:H7)의 민감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B. cereus, S. aureus, S. Typhimurium 그리고 E. coli O157:H7의 이산화염소수에서의 D값은 1.85±0.64, 2.06±0.85, 2.26±0.89 그리고 2.59±0.40분으로 나타났고 전해수의 경우 각각 2.13±0.32, 1.64±0.64, 1.71±0.32 그리고 1.86±0.36분으로 나타났다. 각 용액에 처리한 10분 간 모든 균주에서 꾸준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으며 각 용액에서 각 균주의 D값은 서로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이산화염소수와 전해수의 살균력을 비교한 결과 D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pH와 유효염소농도 모두 이산화염소가 전해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살균·소독을 실시할 대상의 pH에 대한 민감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살균제를 선택하고,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여 식품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온에서 산 처리와 적색, 녹색, 청색 LED 조사의 조합에 따른 식중독 세균의 살균 효과 (Bactericidal Effect of Pathogenic Bacteria on Acid Treatment Combined with Red, Green, and Blue LED Light at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 도정선;정현정;방우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25-1732
    • /
    • 2015
  • 본 연구는 $15^{\circ}C$ 저온환경에서 642 nm, 521 nm, 그리고 461 nm LED를 이용하여 E. coli O157:H7, S. aureus의 식중독균에 대해 pH 7.2, 4.0, 3.5의 환경에서 10시간 동안 조사 후 살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는 화학적 photosensitizer 없이 직접 조사로 이루어졌다. 642 nm 적색 LED와 521 nm 녹색 LED는 pH 7.2에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지 못했다. 반면 461 nm 청색 LED는 모든 pH 환경에서 가장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pH 3.5 환경은 모든 균종에서 높은 생육 저해가 이루어져 그람음성균과 그람양성균에 관계없이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모든 파장에서 pH는 강한 산성 환경이 형성될수록 높은 살균 효과가 나타나 pH 3.5의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인 저해가 일어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LED 처리 및 산 환경과의 조합을 통해 식품산업의 미생물 안전성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살균 처리 기술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채소 및 주방기구에 대한 강산성전해수의 살균효과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 김윤정;최규덕;신일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76-781
    • /
    • 2010
  • 격막식으로 생산한 강산성전해수(SEW)의 유효염소농도는 $35{\pm}1.2\;ppm$, pH는 $2.3{\pm}0.2$, ORP는 $1,140{\pm}20.4\;mV$이었으며, AEW의 유효염소농도는 $0.1{\pm}0.01\;ppm$, pH는 $11.6{\pm}1.1$, ORP는 $-900{\pm}18.2\;mV$이었다. 6종의 병원성세균(초기균수 $1.0{\times}10^7\;CFU/mL$)에 대한 SEW의 살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조구로 사용한 유효염소농도 35 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의 경우, 60초간 처리하여도 2~4 log 정도의 균밖에 감소하지 않았으나 SEW는 60초간 처리로 포자를 형성하는 B.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5종의 병원성세균을 모두 살균하였으며, B. cereus의 경우 완전하게 살균하지는 못하였지만 약 4 log CFU/g 이상이 감소하여, 같은 유효염소농도라도 SEW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보다 살균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채소의 경우, AEW로 세척 후 SEW 처리하였을 때가 SEW 단독처리보다 살균효과가 더 좋았다. 한편 콩나물, 무순의 경우 AEW로 30초간 세척 후 SEW로 30초간 처리하여도 균수는 각각 $2.50{\pm}0.13$, $2.19{\pm}0.13$만 감소하였고 4 log CFU/g 이상의 균이 잔존하고 있었다. 식기와 컵은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유효염소농도 35 ppm) 30초간 처리로는 1.19~1.28 log CFU/$100\;cm^2$ 정도만 감소하였지만, SEW 30초간 처리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고무장갑의 경우 유일하게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SEW 30초간 처리로 고무장갑 표면의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대조군인 수도수에 비하여 약 2 log CFU/$100\;cm^2$ 이상 감소하였으나 완전한 살균은 되지 않았다.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curvatus SE1 Isolated from Kimchi

  • Kim, Sung-Koo;Lee, Eun-Ju;Park, Keun-Young;Jun, Hong-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588-594
    • /
    • 1998
  •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creened for bacteriocin production. Strain SE1, identified as Lactobacillus curvatus sp.,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The bacteriocin was inactivated by amyloglucosidase, trypsin, or protease K treatment. However, it maintained its activity under heat treatment at $100^{\circ}C$ for 60 min. The production of the bacteriocin had a growth-related mode and decreased around the early-stationary phase.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L. curvatus SE1 was $37^{\circ}C$; howeve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bacteriocin production was $30^{\circ}C$. The bacteriocin activity was decreased by treatment with methanol, butanol, acetone, or chloroform, however, it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with ethanol, iso-propanol, or cyclohexane. The inhibitory activity of bacteriocin was stable over a wide range of pHs (2 to 11). The bacteriocin from L. curvatus SE1 killed the indicator strain by a bactericidal mode of action. The bacteriocin from L. curvatus SE1 was partially purified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by the bacteriocin activity test. The apparent molecular mass of the bacteriocin produced by L. curvatus SE1 was about 14 kDa.

  • PDF

Antibacterial Activity of an Ethyl Acetate Extract of Pseudomonas sp. UJ-6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Lee, Dae-Sung;Eom, Sung-Hwan;Je, Jae-Young;Kim, Young-Mog;Lee, Myung-Suk;Kim, Young-M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79-84
    • /
    • 2013
  • In an effort to discover an alternative antibiotic for treating infections with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Pseudomonas sp. UJ-6, a marine bacterium that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RSA, was isolated. The culture broth and its ethyl acetate extract exhibited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MRSA. The extract also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which were not susceptible to vancomycin. The treatment of MRSA with the extract resulted in abnormal cell lysis. The extract retained >95% of its anti-MRSA activity after heat treatment for 15 min at $121^{\circ}C$. Thus, although most antibiotics are unstable under conditions of thermal stress, Pseudomonas sp. UJ-6 produces a heat-stable anti-MRSA sub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Pseudomonas sp. UJ-6 can be used to develop a novel, heat-stable, broad-spectrum antibiotic for the treatment of MRSA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