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wilt diseas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Bacillus subtilis SKU48-2에 의한 풋마름병 발병 억제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with Bacillus subtilis SKU48-2 Strain)

  • 김지태;김신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5-120
    • /
    • 2008
  • 근권 미생물을 대상으로 뿌리에서의 집락 형성 실험, 풋마름병 방제 효과 그리고 화학 농약에 대한 내성을 검정하여 SKU48-2 균주를 선발하였다. SKU48-2균주는 균체 현탁액$(10^8CFU/ml)$을 처리하였을 때 60%이상의 풋마름병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형태적,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sequence 분석 결과 Bacillus subtilis SKU48-2로 동정되었다. 선발 균주 SKU48-2는 화학 농약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가져 토양 내 잔류 농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학 농약과의 혼용에 의해서 저농약 사용이 가능하고 미생물제제 단독 사용 시 보다 높은 방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KU 48-2균주가 액상의 배양액 상태에서는 4주 만에 생균밀도가 급격히 감소한 반면, talc, vermiculite와 peat등의 담체 사용 시는 생균밀도가 6개월 간 유지됨이 확인되어 고형 제제화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세균성마름병에 대한 담배의 저항성검정 방법 (A Screening Method on Resistance of Tobacco Plants to Bacterial Wilt)

  • 이영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1
    • /
    • 2002
  • Three kinds of inoculation methods, capillary, root cutting and dipping were compared for an efficient way to screening the resistant tobacco variety against bacterial wilt, Ralstonia solanacearum. The pricking a capillary tube contained the pathogenic bacterial suspension(10$^{7}$ cfu/$m\ell$) to an axillary bud of each tobacco plant showed different resistance well between varieties. The less period was required in inoculating work and in disease development for the inoculation method used with capillary tube than for two other inoculation methods tested also.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 세균성마름병의 방제 (Protection of Tobacco Plants from Bacterial Wilt with an Avirulent Isolate of Pseudomonas solanacearum)

  • 이영근;김정화;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1
    • /
    • 1985
  •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을 이용한 담배세균성마름병의 방제가능성이 검토되었다. Nutrient 액체배지 및 토양에서 비병원성균주는 병원성균주보다 생육속도가 빨랐으나 두 균주를 혼합하여 배양할 때 병원성균주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는 크지 않았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에 감수성 담배품종인 BY4의 뿌리를 6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병원성균주에 오염된 토양으로 이식한 결과, 높은 세균성마름병 방제효과를 얻었다. 비병원성균주의 현탁액을 가식상태의 담배에 토양관주하고 24시간 후에 포장으로 이식한 결과 7월 상순까지는 $30\%$이상의 세균성마름병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나 그 후 방제효과가 급속히 감소되었다.

  • PDF

풋마름병균, Ralstonia solanacearum의 길항세균 SKU-78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Control Activity of SKU-78 Strain against Ralstonia solanacearum)

  • 성필제;신정균;조홍범;김신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48-52
    • /
    • 2005
  • 종자발아실험과 뿌리에서의 집락 형성실험으로 고추와 토마토의 근권 토양에서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PGPR) 균주를 선발하였다. 그 중 포트실험에서 종자처리와 토양 관주처리 하였을 때 60% 이상 풋마름병 방제효과를 나타낸 SKU-78 균주에 대해서 포장에서의 방제효과 검증에 의해 생물농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생화학적 특성조사와 16S rDNA sequence 분석에 의해 SKU-78 균주를 Bacillus sp. SKU-78로 동정하였다.

토양에서 분리한 Paenibacillus spp. KPB3의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세균성 풋마름병 억제 효과 (Effects of a Soil-Born Paenibacillus spp. Strain KPB3 on Suppress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 석정기;;이선화;;박덕환;조준모;허장현;김병섭;임춘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13-319
    • /
    • 2006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의 토마토 풋마름병이 다발생한 포장으로부터 건전한 토마토 뿌리를 채취하여 약 200개의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들에 대한 저지원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풋마름병원균 (Ralstonia solanacearum)에 항균 효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 KPB3 균주를 선발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조사 와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여 Paenibacillus spp. 균으로 동정하였다. KPB3균주의 활성적 우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포트 실험에서 KPB3 균주를 토양 관주처리 결과 무처리구에 비하여 처리구의 방제효과가 66.7%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토마토 포장에서의 방제효과 시험은 2006년 봄과 가을에 2회 실시하였으며, 전반적으로 풋마름병 발생은 가을보다 봄에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KPB3 균주 처리구에서 봄과 가을 각각 50%와 60% 이상 방제 효과를 나타내어 KPB3 균주는 토마토 풋마름병 억제용 생물 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활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증상 분석 (Analysis of Bacterial Wilt Symptoms using Micro Sap Flow Sensor in Tomatoes)

  • 안영은;홍규현;이관호;우영회;조명철;이준구;황인덕;안율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2-217
    • /
    • 2019
  • 본 연구는 토마토의 풋마름병 감염 여부를 더 빠르게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풋마름 병원균을 접종한 토마토에서 풋마름병에 감염되어 증상을 보이기까지의 식물체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풋마름 증상이 나타나기 약 2 내지 3일 전부터 풋마름병에 감염된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가 감염되지 않은 토마토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생물검정과 생육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풋마름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 유전자원의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 저항성 평가 (Resistance Evaluation of Tomato Germplasm against Bacterial Wilt by Ralstonia solanacearum)

  • 정은주;주해진;최수연;이승엽;정용훈;이명환;공현기;이선우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53-258
    • /
    • 2014
  •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해 발생하는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하여 저항성 품종이나 육성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 유전자원을 분양받아 국내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한국에서 분리된 R. solanacearum SL341 균주로 52개의 품종과 계통의 저항성을 Hawaii 7996 품종과 Moneymaker 품종을 각각 저항성, 감수성 대조품종으로 사용하여 저항성 반응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32개의 품종이 감수성이며, 10개의 품종과 계통은 저항성이 고정되지 않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5개의 시판품종과 5개의 육성 계통이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5개의 육성 계통은 저항성/방어반응의 후속연구와 저항성 품종 육종에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감자유전자 StACRE의 분리 및 풋마름병 저항성 기능 검정 (Isolation of Potato StACRE Gene and Its Function in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Wilt Disease)

  • 박상렬;차은미;김태훈;한세연;황덕주;안일평;조광수;배신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7-183
    • /
    • 2012
  • Ralstonia solanacearum (Rs)에 의해 유발되는 풋마름병은 감자 재배 시 발병하는 주요 병 중의 하나이다. 감자에서 풋마름병 저항성관련 유전자를 찾기 위해 기존에 기능이 알려진 다른 가지과 작물의 기능 유사 유전체를 이용하여 StACRE (HM749652) 유전자를 분리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한 StACRE의 발현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병 저항성 유도 신호전달 물질인 SA와 풋마름병원균 Rs (KACC10722)를 처리한 감자에서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실시한 결과 이 유전자는 SA 처리에 의해 3시간 후부터, Rs에 의해서는 12시간 후부터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감자에서 이 유전자의 생물학적인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하여 과발현용 vector를 만든 후 과발현 형질전환 감자를 제작하고 풋마름병균인 Rs를 접종하여 병 저항성 기능을 검정 한 결과 대조구인 수미 감자에 비해 병 저항성이 증대하였다.

A Mutation of a Putative NDP-Sugar Epimerase Gene in Ralstonia pseudosolanacearum Attenuates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Bacterial Virulence in Tomato Plant

  • Hyoung Ju Lee;Sang-Moo Lee;Minseo Choi;Joo Hwan Kwon;Seon-Woo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5호
    • /
    • pp.417-429
    • /
    • 2023
  • Ralstonia solanacearum species complex (RSSC) is a soil borne plant pathogen causing bacterial wilt on various important crops, including Solanaceae plants. The bacterial pathogens within the RSSC produce exopolysaccharide (EPS), a highly complicated nitrogencontaining heteropolymeric polysaccharide, as a major virulence factor. However, the biosynthetic pathway of the EPS in the RSSC has not been fully characterized. To identify genes in EPS production beyond the EPS biosynthetic gene operon, we selected the EPS-defective mutants of R. pseudosolanacearum strain SL341 from Tn5-inserted mutant pool. Among several EPSdefective mutants, we identified a mutant, SL341P4, with a Tn5-insertion in a gene encoding a putative NDP-sugar epimerase, a putative membrane protein with sugar-modifying moiety, in a reverse orientation to EPS biosynthesis gene cluster. This protein showed similar to other NDP-sugar epimerases involved in EPS biosynthesis in many phytopathogens. Mutation of the NDP-sugar epimerase gene reduced EPS production and biofilm formation in R. pseudosolanacearum. Additionally, the SL341P4 mutant exhibited reduced disease severity and incidence of bacterial wilt in tomato plants compared to the wild-type SL341 without alteration of bacterial multipl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DP-sugar epimerase gene is required for EPS production and bacterial virulence in R. pseudosolanacearum.

Meta-analysis Reveals That the Genus Pseudomonas Can Be a Better Choice of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Bacterial Wilt Disease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 Chandrasekaran, Murugesan;Subramanian, Dharaneedharan;Yoon, Ee;Kwon, Taehoon;Chun, Se-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16-227
    • /
    • 2016
  • Biological control agents (BCAs) from different microbial taxa are increasingly used to control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However, a quantitative research synthesis has not been conducted on the role of BCAs in disease suppress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meta-analyze the impacts of BCAs on both Ralstonia wilt disease suppression and plant (host) growth promo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tent of disease suppression by BCAs varied widely among studies, with effect size (log response ratio) ranging from -2.84 to 2.13. The disease incidence and severit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 average by 53.7% and 49.3%, respectively. BCAs inocula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esh and dry weight by 34.4% and 36.1%, respectively on average. Also, BCAs inoc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yield by 66%. Mean effect sizes for genus Pseudomonas sp. as BCAs were higher than for genus Bacillus spp. Among antagonists tested, P. fluorescens, P. putida, B. cereus, B. subtilis and B. amyloliquefacien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general for disease reduction. Across studies, highest disease control was found for P. fluorescens, annual plants, co-inoculation with more than one BCA, soil drench and greenhouse condition were found to be essential in understanding plant responses to R. solanacearum. Our results suggest that more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harnessing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of these antagonists, not just for plant growth promoting traits but also in mode of applications, BCAs formulations and their field stud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for R. solanacearum wilt disease sup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