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spot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5초

딸기 세균모무늬병(Xanthomonas fragariae)의 방제를 위한 약제 선발 (Development of Control Method for Strawberry Bacterial Angular Spot Disease (Xanthomonas fragariae))

  • 김다란;강근혜;조현지;명인식;윤혜숙;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7-294
    • /
    • 2015
  • 국내 딸기 재배지에서 세균모무늬병은 2010년 최초 보고되었다. 딸기 세균모무늬병은 검역 병원균으로 분류되어 있어 수출 딸기의 품질저하와 수출통관에 문제를 야기시키기로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딸기의 육묘기와 재배기에서 세균모무늬병 방제에 적합한 살세균제를 선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시험된 약제 중 육묘기에는 Oxolinic acid 방제가가 97.2% 나타내었으며, 재배기에는 Validamycin A의 방제가가 93.3% 나타내었다. 토양소독이 병행되지 않은 포장에서는 재배기 Validamycin A의 방제가가 80%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토양소독과 항세균제 처방에 의한 딸기 세균모무늬병의 방제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에 의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의 발생과 핵과류 과수 품종에 대한 병원성 (Occurrence of Bacterial Black Spot on Plum by Xanthomonas aboricola pv. pruni and It's Pathogenicity on Varieties of Some Stone Fruits)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40-44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걸린 식물체로부터 순수분리된 X. arboricola pv. pruni 균을 NA배지에서 배양한 후 국내재배 핵과류에 분무접종한 결과 자두, 매실, 살구에 있어서는 과실에 뚜렷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복숭아 과실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매실과 살구에서는 극심한 초기 과민성반응이 나타났는데 과실의 50% 정도가 생장 정지되어 낙과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병반의 크기는 자두와는 달리 크게 진행되지 않고 많은 점무늬를 형성하는 병반형태를 나타내었고 복숭아에서는 과실병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접종된 여름철 신초가지에서 자두 포모사품종에서는 도관부까지 궤양조직이 형성되었으나 살구 그리고 매실에서는 체관부일부에서만 궤양조직이 형성되어 분리된 병원균은 자두 포모사품종에 특이적인 감염조직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키위 잎 주요 병 진단 및 방제 (Diagnosis and Control of Major Leaf Diseases on Kiwifruit in Korea)

  • 김경희;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키위나무 잎에는 궤양병과 세균성점무늬병처럼 세균에 의한 병과 잿빛곰팡이병, 흰가루병, 과실곰보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형태 점무늬병 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키위나무잎에 발생하는 피해를 주는 주요 병에 대하여 병징과 발생특성을 요약하고 지난 30년간 수행한 연구 업적과 현장 경험 그리고 세계적인 주요 연구 산물들을 기초로 하여 키위나무 잎에 발생하는 주요 병에 의한 피해를 경감할 수 있도록 농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Incidence Rates of Major Diseases of Kiwiberry in 2015 and 2016

  • Kim, Gyoung Hee;Kim, Deok Ryong;Park, Sook-Young;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434-439
    • /
    • 2017
  • Incidence rates of diseases in kiwiberry orchards were investigated monthly from late June to late September in Gwangyang and Boseong in 2015 and 2016. The impact of postharvest fruit rot was investigated during ripening after harvest. Bacterial canker was only observed on one single tree in 2015, but black rot,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were problematic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both 2015 and 2016.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varied with kiwiberry cultivar, region and sampling time. Incidence rates of powdery mildew, leaf spot and blight diseas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late growing stages near fruit harvest, while black rot peaked in late August. Incidence rate of postharvest fruit rot on fruit without fruit stalks was less than half of fruit with fruit stalks, regardless of kiwiberry cultivars. Among the four cultivars, Mansu was relatively resistant to black rot and postharvest fruit rot diseases. In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various potential pathogens of kiwiberry in Korea.

Comparative Proteome Analysis of Celastrol-Treated Helicobacter pylori

  • Kim, Sa-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5-401
    • /
    • 2017
  • Various preclinical and clinical trials have been conducted the efficacy of celastrol. In data presented in the current manuscript is the first trial to inhibit Helicobacter pylori with celastrol.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change of various H. pylori proteins including CagA and VacA by the anti-bacterial effect of celastrol was determined. The anti-H. pylori effects of celastrol was investigated by performing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additional supporting experiments. After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alysis, spot intensities were analyzed and then each spot was identified using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MS) or peptide sequencing using Finnigan LCQ ion trap mass spectrometer (LC-MS/MS). The results show that celastrol has multiple effects on protein expression in H. pylori.

Real-time PCR Quantification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Hepatopancreatic Parvovirus (HPV) Loads in Shrimp and Seawaters of Shrimp Pond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 Jang, In-Kwon;Gopalakannan, Ayyaru;Suriakala, Kannan;Kim, Jong-Sheek;Kim, Bong-Rae;Cho, Yeong-Rok;Meng, Xian-Hong;Seo, Hyeong-Ch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195-204
    • /
    • 2008
  • Viral diseases are major emerging problems of shrimp that have affected the production, and even complete losses for shrimp farm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nsitive TaqMan real-time PCR method to quantify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hepatopancreatic parvovirus (HPV) in the shrimp and pond water in which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and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are reared. WSSV and HPV in pond seawaters ranged from $1.65{\times}10^3$ to $2.43{\times}10^9$ and from 0 to $4.43{\times}10^5$ copies/L of seawater, respectively. Of 20 ponds analyzed, all pond water and shrimp were positive for WSSv. L. vannamei showed higher susceptibility to WSSV than F chinensis. HPV was detected only in the pond water for F chinensis. In shrimp tissue, however, HPV was found in both species, with 23-times higher infection rate in F chinensis than L. vannamei. The total bacterial counts in the pond water ranged from $2.23{\times}l0^3$ to $1.98{\times}l0^5\;CFU/mL$. The variations in total bacterial count for each pond appeared to correlate to the variations of the WSSV load.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WSSV load in pond water and shrimp,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otal bacterial load and viral load in the pond water.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was found between HPV load and L. vannamei and F chinensis pond water.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수박 잎점무늬병의 발생 (Occurrence of Leaf Spot Disease on Watermelon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 박경수;이지혜;김영탁;김혜성;이준우;이현수;이혁인;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7권4호
    • /
    • pp.180-186
    • /
    • 2021
  • 경남과 전남의 육묘중인 수박과 정식한 포장의 유묘에서 황색의 둘레무리와수침상의 갈색 및 검은색의 반점의 병반이 관찰되었다. 병반에서 분리한 분리균은 수박과 쥬키니에서 높은 병원성을 보여주었다, 분리균은 4개의 속생모를 가진 막대형 세균이었다. 분리균은 그람음성으로 LOPAT group 1a에 속하였으며, King'B 배지에서 형광성이 없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수 분석과 4개의 항존유전자 염기서열(gapA, gltA, gyrB, rpoD)을 이용한 multi-locus sequencing typing 분석 결과 분리균들은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여주었고, 같은 그룹(clade)으로 묶이었다. 또한 이들은 P. syringae genomospecies group 1에 속하였다. 수박의 잎점무늬병징에서 분리한 세균의 형태적, 생리적, 유전적 특징은 이들이 P. syringae pv. syringae임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P. syringae pv. syringae가 수박에서 점무늬병을 일으키는 최초의 보고이다.

고추 재래품종에 더뎅이병(반점세균병)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한 여교잡 이후 세대에서의 선발 (Selection in the Generations after Backcrosses of the Crosses for Incorporation of Resistance to Bacterial Spot into Korean Local Cultivars of Pepper)

  • 김병수;김점순;임양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4
    • /
    • 1996
  • 경북지역 재래종에 더뎅이병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하여 작성한 칼미초$\times$PI271322, 수비초$\times$PI271322 조합의 BC\ulcornerF\ulcorner와 BC\ulcornerF\ulcorner세대로부터 BC\ulcornerF\ulcorner와 BC\ulcornerF\ulcorner세대까지 선발과 자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각 재래종의 원예적 특성에 PI271322에 들어있는 과민반응형 저항성 유전자 Bs\ulcorner와 비과민형의 일반저항성을 함께 가지는 계통이 육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