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reduction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9초

막걸리에 접종한 Bacillus subtilis의 초고압에 대한 저항력 (The Resistance of Bacillus subtilis in Makgeolli to Hydrostatic Pressure)

  • 이은정;김주성;오세욱;김윤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2-316
    • /
    • 2012
  • 막걸리에서 분리된 B. subtilis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영양유무(buffer와 TSB), pH(pH 7과 4, 막걸리 pH 4), adaptation 조건에 따라 초고압에 의한 저감 효과를 살펴보았다. B. subtilis 포자는 영양유무, pH에 관계없이 환경 적응력이 있었고, 초고압에 의한 저감효과도 미미하게 관찰되었다. B. subtilis 영양세포는 영양유무와 pH에 따라 대조구(non-treatment)의 균수 차이가 관찰되었고, 초고압에 의한 저감 효과도 다르게 나타났다. B. subtilis 영양세포는 저온에서 영양과 pH가 불리한 환경에서 endospore를 형성하여 적응을 하게 되고 초고압에 의한 저감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막걸리에 접종한 경우는 buffer(pH 4)와 TSB(pH 4)보다 적응력이 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B. subtilis 포자를 접종한 막걸리의 저장 실험 결과, 내열성이 있으며 균의 증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막걸리에서 B. subtilis는 대부분 포자상태로 존재하며, 포자는 초고압에 대한 저항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초고압은 영양세포 사멸에 효과적이었다.

전자선 처리에 따른 마른 김(Porphyra tenera)의 미생물 저감화 효과와 저항성 세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electron beam-resistant bacteria in the microbial reduction of dried laver (Porphyra tenera) subjected to electron beam treatment)

  • 김유진;오희수;김민지;김정훈;고재백;최인영;박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9-1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김의 위생상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전자선조사 선량에 따른 미생물의 저감화 효과를 확인하고 전자선저항성 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건조 김에 4 kGy와 7 kGy 선량으로 전자선을 각각 조사한 후 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구 ($1.5{\pm}0.2){\times}10^6CFU/g$와 비교 시, ($5.4{\pm}0.5){\times}10^4CFU/g$와 ($1.1{\pm}0.6){\times}10^4CFU/g$로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방사선 저항성세균의 수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붉은색 colony수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노란색 colony의 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7 kGy에서는 발견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저항성 세균을 순수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붉은색과 노란색 colony 모두 구균의 그람양성이었으며 catalase test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3%와 5%의 NaCl 함유 배지에서 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균주 동정 결과 붉은색 colony는 D. proteolyticus와 D. piscis로, 노란색 colony는 M. flavus와 M. luteus로 각각 확인되었다.

녹즙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처리의 효과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fety Improvement of Fresh Vegetable Juice)

  • 조재민;권상철;도기;정재현;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2-617
    • /
    • 2009
  • 녹즙 제조 시 미생물 생육 억제를 위한 유일한 공정은 세척처리 공정이므로 비가열 살균기술인 오존 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녹즙 원료들의 세척공정(정선 원료, 1차 세척, 오존처리 및 2차 세척) 중 미생물 및 주요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정선 원료의 일반세균수는 $8.2{\times}10^5{\sim}5.0{\times}10^6\;CFU/g$으로 식품공전에서 제시한 105 CFU/g보다 높은 균수를 보여 위생화가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러나 1차 세척 후 오존처리 시 $4.7{\times}10^4{\sim}6.7{\times}10^4\;CFU/g$으로 약 2 log cycle의 감균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2차 세척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녹즙 원료의 대장균군수는 $8.0{\times}10^3{\sim}3.5{\times}10^3\;CFU/g$이었으나 오존처리 시 $1.5{\times}10^2{\times}3.0{\times}10^2\;CFU/g$로 초기에 비하여 약 1 log cycle 정도의 감균 효과를 보였다. 한편 세척공정 중 ascorbic acid, flavonoid 및 polyphenol 화합물, 무기물(카드뮴 및 납)의 함량 변화는 유의적인 함량 변화를 볼 수 없었으며 색상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즙 원료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처리 시 미생물 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화학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vitro evaluation of nano zinc oxide (nZnO) on mitigation of gaseous emissions

  • Sarker, Niloy Chandra;Keomanivong, Faithe;Borhan, Md.;Rahman, Shafiqur;Swanson, Kendall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11호
    • /
    • pp.27.1-27.8
    • /
    • 2018
  • Background: Enteric methane ($CH_4$) accounts for about 70% of total $CH_4$ emissions from the ruminant animals. Researchers are exploring ways to mitigate enteric $CH_4$ emissions from ruminants. Recently, nano zinc oxide (nZnO) has shown potential in reducing $CH_4$ and hydrogen sulfide ($H_2S$) production from the liquid manure under anaerobic storage conditions. Four different levels of nZnO and two types of feed were mixed with rumen flui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nZnO in mitigating gaseous production. Methods: All experiments with four replicates were conducted in batches in 250 mL glass bottles paired with the ANKOM$^{RF}$ wireless gas production monitoring system. Gas production was monitored continuously for 72 h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39{\pm}1^{\circ}C$ in a water bath. Headspace gas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gas-tight syringes from the Tedlar bags connected to the glass bottles and analyzed for greenhouse gases ($CH_4$ and carbon dioxide-$CO_2$) and $H_2S$ concentrations. $CH_4$ and $CO_2$ gas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an SRI-8610 Gas Chromatograph and $H_2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 Jerome 631X meter. At the same time, substrate (i.e. mixed rumen fluid+ NP treatment+ feed composit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glass bottles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an experiment for bacterial counts, and volatile fatty acids (VFAs)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the $H_2S$ and GHGs concentration reduction after 72 h of the tested nZnO levels varied between 4.89 to 53.65%. Additionally, 0.47 to 22.21% microbial population reduction was observed from the applied nZnO treatments. Application of nZnO at a rate of $1000{\mu}g\;g^{-1}$ have exhibited the highest amount of concentration reductions for all three gases and microbial population.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both 500 and $1000{\mu}g\;g^{-1}$ nZnO application levels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GHG and $H_2S$ concentrations.

초음파환원법에 의해 제조된 Ag-TiO2의 항균 활성도 고찰 (Study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Ag Nanometal-deposited TiO2 Prepared by Sonochemical Reduction Method)

  • 정혜연;이상화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8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환원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티탄($TiO_2$) 미립자 표면에 은나노메탈이 도핑된 Ag-$TiO_2$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TiO_2$ 표면에 생성되는 은나노금속은 약 1~3 nm의 사이즈분포를 나타내었고, 환원반응시 첨가되는 $AgNO_3$의 양이 증가할수록 $TiO_2$ 표면에 형성되는 은나노금속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일정량의 Ag-$TiO_2$ 나노복합체를 대장균(E-coli)과 함께 고체멸균배지에 도말하여 태양광모사 제논램프로부터 30 min간 $600{\sim}1800{\mu}w/cm^2$의 빛을 조사한 후 $37^{\circ}C$에서 24 h 배양한 후 생존한 콜로니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대비 순수한 $TiO_2$를 첨가했을 때보다 Ag-$TiO_2$를 첨가 시 항균활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Ag-$TiO_2$ 주입양이 증가할수록 콜로니의 개수가 감소하였고, 초기 30 min간 조사한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Ag-$TiO_2$의 항균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은나노금속의 도핑양이 증가할수록 광촉매 효율은 감소하였지만 항균효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lectron Beam 조사가 고추 및 생강 분말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Powdered Red Pepper and Ginger)

  • 이정은;권오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0-386
    • /
    • 2000
  • 향신료의 살균기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전자선(electron beam) 이용하여 고추 및 생강 분말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감마선과 비교 평가하였다. 사용된 시료의 총세균은 $10^5{\sim}10^6\;CFU/g$, 효모 및 곰팡이는 $0{\sim}10^3$의 수준이었고, 대장균군은 $0{\sim}10^2\;CFU/g$ 정도로 혼입되어 있었다. 전자선 조사(5 kGy)는 일반세균을 $2{\sim}3\;log$ cycles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고, 대장균군은 2.5 kGy 조사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초기 미생물 농도를 90%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조사선량$(D_{10}\;value)$을 계산하여 보았을 때, 고추분발의 경우 전자선 $1.50{\sim}1.54\;kGy$, 감마선 $1.68{\sim}1.80\;kGy$ 범위였고, 생강분말에서는 전자선 $1.30{\sim}2.27\;kGy$, 감마선 $1.45{\sim}2.77\;kGy$로 시료의 미생물 농도와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방사선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살균처리 후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된 시료의 미생물 농도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 없이 증식현상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시료의 기계적 색도(Hunter's color)는 방사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고, 4개월 저장에 따른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향신료의 색깔 및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살균선량의 전자선 조사는 고추 및 생강 분말의 관능적 품질에 대하여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산화염소수 및 구연산처리에 따른 무(Raphanus sativus L.) 새싹과 종자의 미생물 제어 효과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Citric Acid on Redu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n Sprouting Radish Seeds)

  • 박기재;임정호;김범근;김종찬;정진웅;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54-759
    • /
    • 2008
  • 새싹 채소 중 무순의 위생적인 재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종자세척 및 관수로서 이산화염소수, citric acid 및 glycerin의 적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무 종자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기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은 실험실 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무 종자를 S. typhimurium 현탁액에 침지시켜 균수를 약 $10^6\;log\;CFU/g$로 조절하였다. 무 종자에 대한 세척 효과는 이산화염소수 및 citric acid의 단독처리보다 병행처리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이산화염 소수 200 ppm과 citric acid 2%의 병행처리시 2.89 log CFU/g 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glycerol 0.5%/citric acid 2.0% 처리의 경우 3.46 log CFU/g, glycerol 0.5%/이산화염 소수 200 ppm 처리는 2.14 log CFU/g의 S. typhimurium 균의 감소를 나타내어, glycerol 단독 처리보다 병행처리구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무 종자의 발아 및 성정에 따른 균수 감소는 비록 종자에 대한 처리효과가 유의적으로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새싹 성장 후 균수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nts on Fermentation of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Silage at Different Storage Periods

  • Kuppusamy, Palaniselvam;Soundharrajan, Ilavenil;Park, Hyung Soo;Kim, Ji Hea;Kim, Won Ho;Jung, Jeong Sung;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5-17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storage periods of lactic acid bacteria (LAB)-fermented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silage. The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sample was inculcated with LAB and stored for different storage periods such as 45, 90, and 365 days, respectively. The low moisture fresh rice straw (LMFRS) silage inoculated with LAB exhibited reduction in pH throughout the ferment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lact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t the late fermentation period (90 and 365 days, respectively) in LAB inoculated LMFRS sil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In contrast, the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were slightly reduced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sample at 90 and 365 days fermentation, respectively. Meanwhile, the non-inoculated LMFRS silage showed higher amounts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at an extended fermentation with low bacterial population as compared with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However,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slightly high in the non-inoculated LMFRS silage at early 45 days fermentation. Additionally, the nutrient profile such a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re (ADF), neutral detergent fibre (NDF), and total digestibility nutrients (TD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trol and LAB inculcated samples during all fermentation. Though, the microbial population was greater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massive population was noted in the LAB inoculated LMFRS silage during all fermentation. It indicates that the inoculated LAB is the main reason for increasing fermentation quality in the sample through pH reduction by organic acids production.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LAB inoculums are the effective strain that could be a suitable for LMFRS silage fermentation at prolonged days.

Impact of different shades of light-emitting diode on fecal microbiota and gut health in broiler chickens

  • Ianni, Andrea;Bennato, Francesca;Di Gianvittorio, Veronica;Di Domenico, Marco;Martino, Camillo;Colapietro, Martina;Camma, Cesare;Martino, Giusepp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2호
    • /
    • pp.1967-1976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fecal microbiota of broiler chickens rear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shades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s, correlating this information with biochemical and molecular evidence that allowed drawing conclusions on the state of health of the animals. Methods: Overall, the metagenomic approach on fecal samples was associated with evaluations on enzymes involved in the cellular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glutathione peroxidase (GPX),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while the inflammatory aspect was studied through the dosage of a proinflammatory cytokine, the interleukin 6 (IL-6), and the evaluation of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2 (MMP-2) and 9 (MMP-9). Specifically, analysis was performed on distinct groups of chickens respectively raised in the presence of neutral (K = 3,300 to 3,700), cool (K = 5,500 to 6,000), and warm (K = 3,000 to 2,500) LED lightings, and a direct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animals reared with traditional neon lights. Results: The metagenomic analysis highlighted the presence of two most abundant bacterial phyla, the Firmicutes and the Bacteroidetes, with the latter characterized by a greater relative abundance (p<0.05) in the group of animals reared with Neutral LED light. The analysis on the enzymes involved in the antioxidant response showed an effect of the LED light, regardless of the applied shade, of reducing the expression of GPX (p<0.01), although this parameter is not correlated to an effective reduction in the tissue amount of the enzyme. Regarding the inflammatory state, no differences associated with IL-6 and MMP-9 were found; however, is noteworthy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MMP-2 activity in tissue samples obtained from animals subjected to illumination with neutral LED light. Conclusion: This evidence, combined with the metagenomic findings, supports a potential positive effect of neutral LED lighting on animal welfare, although these considerations must be reflected in more targeted biochemical evaluations.

전라북도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온도와 수질에 따른 농업용수의 병원성대장균 O157:H7 밀도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in Jeollabuk-do and the Population Changes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Agricultural Water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 황인준;함현희;박대수;채효빈;김세리;김황용;김현주;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4-261
    • /
    • 2019
  • 농업용수는 채소류의 식중독세균 오염의 주요 경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서 2018년 4월, 7월, 10월에 31지점에서 수집한 지표수 시료와 2018년 4월 7월에 20지점에서 수집한 지하수 시료의 위생지표세균 밀도를 조사하였다. 지표수에서는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2.7±0.55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9±0.71 log CFU/100 mL, 대장균 1.4±0.58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7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1.9±0.58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4±0.37 log CFU/100 mL, 대장균 1.0±0.33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조사시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질소량(T-N), 질산성질소(NO3-N) 등 유기물 함량이 높은 용수에서 E. coli O157:H7의 생존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서의 E. coli O157:H7 감소율은 25℃>35℃>5℃>1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북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수질과 온도가 E. coli O157:H7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예측하고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