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abyboom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연령별 안전에 대한 인식 차이: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 Comparison of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 정순둘;오은찬;김고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5-8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안전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8 사회통계조사의 대상이 되는 약 20,000 표본 가구의 만 15세 이상 상주 가구원 중 베이비부머 세대의 코호트와 법정 노인 연령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전반적 사회의 안전도, 타인과 자신의 안전인식, 10년 전과 비교한 현재사회의 안전도, 10년 후의 사회 안전도, 사회 각 분야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 조사대상의 사회 불안 요인 순위 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 간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전의 취약계층인 노인의 전반적인 안전인식은 베이비부머나 예비노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역별 안전인식의 차이는 각 세대가 겪은 시대적 특성과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에 대한 대책은 각 연령집단별 특성과 그들이 겪어온 세대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준다.

베이비부머의 주택연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의사 (A Study on the Attitudes about Reverse-Mortgage among Baby Boomers)

  • 박누리;홍형옥;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90-2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tudy on the attitudes about Reverse-Mortgage among Baby Boomers to offer the basis for revitalization of Reverse-Mortgage. Social survey research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the babyboomer's living in Seoul area from September $30^{th}$ to October $14^{th}$. The data from 102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PASW 18.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1) although 64% of the respondents prefered to type which could withdraw temporary cash, but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use was a stability in one's old age 2) 72% of respondents thought adequate age for application was over 66. So lowering the qualification of age looked not need for revitalization 3) babyboomer's said that they would use reverse-mortgage if they couldn't get benefit from other pension inspite of getting lower recognition on house inheritance. It was be cause they regarded Reverse-Mortgage as a final step. In conclusion, current qualification and limit for withdraw looks adequate but it need public relations about its merit unlike other pension. And it has to emphasize its stability so that baby boomer can feel easy from holding a mortgage on their house.

  • PDF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지역 공동주택거주자를 대상으로 - (The Study on Housing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Focusing on Apartment's Residents of Gangnam Region in Seoul -)

  • 김혜연;이연숙;윤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83-92
    • /
    • 2010
  • The advent of an aging society has raised the necessity for housing development to meet the growing demands of baby boomers expected to act as the main consumers in the future housing marke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es favored by baby boomers in their post-retirement plan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study is targeted at a certain baby boom generation residing in mid- sized and large-sized apartments with a floor space of more than 30 pyeong in Gangnam, Seoul. The study reveals that baby boomers favor an active post-retirement life where they can enjoy proper leisure without considerable change in daily routines, and for that reason they choose an apartment house well equipped with neighbor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ir post-retirement. Their housing size shows a downward tendency in response to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a comfortable natural environment and greenery also play a key role in their residence selection. Their regional preference is divided into the downtown and suburbs, and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satisfy the needs of these two consumer groups in the future housing market.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offering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apartment houses.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근로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Self-Rated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ers in Korea: Multiple 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ir Work Status)

  • 송인욱;원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49-35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근로여부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차년도 조사대상자 9,913명 중 1955년에서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2,479명이다. 연구방법은 각 변수들간의 경로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우울의 매개효과는 효과분해를 통해 직접 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주관적 건강,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근로여부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자유 모델과 제약모델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가 자각하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고, 우울감은 낮아졌다. 그리고 우울감이 높은 베이비부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져, 우울이 주관적 건강상태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근로를 하는 베이비부머의 경우보다 높았다. 또한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 근로를 하지 않는 베이비부머 모형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의 우울 감소를 위한 보호요인으로써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근로활성화를 통해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후 주거선택과 주거이동 (A Study on Residential Choice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임기흥;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4
    • /
    • 2014
  •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주거선택에서 은퇴 전과는 다르게 쾌적성과 편의성을 중시하여 선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은퇴 후에 주거면적을 일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유 주택규모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은퇴 후 62.4%가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고 지역간 이동은 주거이동가구의 52.3%에 달하여 은퇴 후 활발한 주거이동이 예상되며, 지역내 이동과 지역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택과 이동 특성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임기흥;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38-449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베이비붐세대의 은퇴후 주거선택을 고찰하기 위해 은퇴 후 주거선택 기준, 선호하는 주택유형, 규모 및 주거이동특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에는 은퇴 전과 다른 기준으로 주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쾌적성과 편의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아파트거주 비율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반면 전원주택 및 타운하우스의 거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주거면적을 일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유 주택규모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62.4%가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고, 이 중 지역 간 이동은 주거이동가구수의 과반수가 넘는 52.3%에 달해 은퇴 후 활발한 주거이동이 예상된다. 다섯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의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 베이비부머의 부양지원 제공과 우울 (Providing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Focussing on babyboom women)

  • 이여봉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7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s how providing family support - financial, emotional, and instrumental - is related to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Method: I analy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5th wave,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gression, t-test,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nancial support for grown-up children, either married or unmarried, increases depression in babyboom women. In the dimension of instrumental support, caring for grandchildren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It implies that contact with grandchildren is perceived as an emotional support rather than a physical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babyboom women are comforted by living with their own parents, but not by living with parents-in-law. The most impressive observation, however, is in the dimension of emotional support, which showed that the conversation with elderly parents reduces baby-boom women's depression, but that the conversation with married children increases it. The opposite directions in the effects seem to be related to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s. The subjects of the conversation with children are mostly about problems and agenda of the children, while those with elderly parents are mainly about parents' health and care for each oth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uggest that babyboom women should become less involved with their grown-up children's lives. It also calls for the societal efforts to be put into building up the support system, especially for eco-boom generation, to reduce babyboomer's burden of supporting the children.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진로전환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reer Transition for Babyboomer retires : Based on The Resilience)

  • 박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55-162
    • /
    • 2019
  • 최근 기업의 대 내외적 환경변화로 인해 상시 구조조정이 이루어져 베이비부머들은 미처 준비되지 못한 비자발적 퇴직으로 인해 자신의 일자리에 대한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회복탄력성은 퇴직이라는 개인의 심리적인 역경을 극복하는 관점에서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비자발적으로 퇴직하는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베이비부머 퇴직자의 개인특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별과 직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이 진로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회복탄력성은 진로전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하위요인 중 긍정성은 상황지각, 대처방식, 지지에서 매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대인관계능력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기조절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퇴직 후 진로전환을 준비해야만 하는 베이비부머들에게 회복탄력성은 자신에게 처한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적응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매우 필요한 능력으로 검증되었으며, 베이비부머들을 대상으로 진로전환의 상담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된다.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근무환경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le Baby boomers)

  • 박민정;김형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in male baby boomers using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2011.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3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Data 2011, which was conducted from June to November 2011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3,340 male employee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63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Chi-squar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using the SAS ver 9.3 program. Results: Approximately 54.5% of the male babyboomer employees did not have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weekend-shift and occupational stress including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Night-shift and long working hours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is a meaningful attempt to measu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form an analysis of associated factors in male baby boomer employees using nationwide survey data. We suggest a complex institutional supplement in terms of national and employers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baby boomers.

베이비부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버타운에 대한 인식과 선호 결정요인 (Determinant Factors and Recognition about Silver Town according to Baby Boomer's Life Style)

  • 서인애;홍형옥;이현정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0-22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ifestyle of babyboomer,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silver town and preferable determinants according to lifestyle. By the Social Survey Research with questionnaire, data from 108 people of 46 years old ~ 65 years old who inhabited in Seoul City are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10.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Win 18.0, and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factor analysis, regression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y the factors analysis on lifestyle, factors were named "interest about external", "inner-oriented", "pursuit of health", "prepare for later life", "social aspects". Second, by the frequency analysis on recognition about silver town, 97.2% of total respondents replied "at least heard about silver town", and 64.8% of total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ilver town. While, intention to live in silver town was low (by 38.0% of total respondents). Third, by the regression analysis on preference tendency about silver town according to life style, factor of 'inner-oriented' in the decision about residential area and total household number, factor of 'pursuit of health' in the decision about monthly rent, factor of 'social aspects' in the decision about cost solution method were influential factors. In conclusion, to supply the house which had the diversity of baby bommer's life styl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efforts to increase intention to live in silver town and to change the recognition about silver town ar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