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rami exponen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4초

희석 전분 현탁액의 노화 (Retrogradation of Dilute Starch Dispersion)

  • 김남수;남영중;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8
    • /
    • 1988
  • 1% 희석 쌀전분 용액의 노화 특성을 호화후 $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고찰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도도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하는 정도는 노화 초기에 가장 현저한 반면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추정 전분의 노화특성을 Avrami식으로 해석하여 노화기작을 살펴본 결과 Avrami지수, 속도상수, 시간상수는 각각 0.96, 0.21 $days^{-1}$, 4.77 days 였다. 이때 Avrami지수가 단위치(n=1)에 접근하므로 희석 쌀전분 용액은 즉각적인 핵형성에 이은 간상구조의 생성에 의하여 노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에 의하여 노화과정을 관찰한결과 노화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전분과는 다른 형태의 3차원 결정구조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래떡 노화 억제에 대한 당류 물질의 효과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20-1325
    • /
    • 2007
  • 가래떡의 노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분당, 트레할로스, 프락토올리고당(95%), 이소말트, 헬스리고 및 갈락토을리고당(50%) 등 6종류 당류 물질을 쌀가루 기준으로 0, 1, 5 또는 10%의 농도로 첨가하여 쌀가루의 pasting 특성을 측정하였고, 가래떡을 제조하여 $5^{\circ}C$ 냉장 보관하면서 0, 2, 4, 6, 22, 24, 28및 30시간 경과 후 조직감의 특성 중 경도의 변화를 Avrami 방정식에 따라 노화 특성 분석을 하였다. 쌀가루의 pasting특성에서 전분 노화와 관계가 있는 break-down, consistency는 무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값이 낮았고 대부분 첨가물에서 노화억제 효과가 있었다. Avrami방정식에 따른 노화 특성 분석 결과는 실험에 사용한 첨가물 중 프락토올리고당(95%) 10%와 트레할로스 10% 첨가 수준에서 Avrami(n)지수 값이 1.977과 2.004로 낮았고, 헬스리고 1% 첨가 수준에서 3.297로 가장 높았다. 노화의 속도를 나타내는 시간상수(1/k)는 트레할로스 10% 첨가된 떡은 238.10으로 노화의 진행 속도가 가장 낮았고, 프락토을리고당(95%) 5%와 헬스리고 1%군은 무첨가군에 비해 그값이 낮아 노화속도가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첨가군에 비해 노화 진행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난 프락토을리고당(95%) 5%군과 헬스리고 1%군을 제외한 다른 모든 실험군은 노화속도를 늦추는데 효과적이었다.

액정 고분자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Behaviors of Liquid Crystalline Polymer/poly(ethylene terephthalate) blends)

  • 방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59-566
    • /
    • 2006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를 등온 결정화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블렌드내의 PET의 결정화 거동을 나타내주는 결정화 속도나 결정이 어떤 모양으로 성장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위해 Avrami 식을 이용하였다. 블렌드내 PET의 결정화는 결정화온도에 무관하게 높은 결정화도에 이르기까지 Avrami 식에 잘 적용됨을 알 수 있었으며 Avrami 지수값, n이 2를 나타냄으로써 블렌드내의 PET의 결정이 1차원적으로 성장함을 알 수 있었고, 결정화 온도가 높을수록 결정화 속도가 느려짐을 조사 결과 확인하였다.

  • PDF

Avrami Kinetics에 적용한 트레할로스와 변성 전분 혼합 사용 떡의 노화 억제 분석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Karedduk) with a Mixture of Trehalose and Modified Starch Analyzed by Avrami Kinetics)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4
    • /
    • 2010
  •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Karedduk) with a mixture of trehalose and Sun-Tender added, after 0, 24, and 48 hr of storage at $5^{\circ}C$, was analyzed by Avrami kinetics.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arrangement of treatmen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were amounts of trehalose(x) and Sun-Tender(y). Trehalose was added at 0, 3, 6, 9, and 12% levels, and Sun-Tender added at 0, 0.3, 0.6, 0.9, and 1.2% levels, to dry rice flour. The Avrami exponent(n) for the mixtures of 9% trehalose and 0.3% Sun-Tender, and 9% trehalose and 0.9% Sun-Tender were lower than in the control. The time constant(1/k) for the mixture of trehalose and Sun-Tender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The effect of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 with added mixtures of trehalose and Sun-Tend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trehalos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a mixture of 9% trehalose and 0.3% Sun-Tender, or 9% trehalose and 0.9% Sun-Tender to Korean rice cakes(Karedduk) is effective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연화제의 종류에 따른 다시마의 연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oftening Stability of Softened Sea Tangle Depending on Various Softening Agents)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3-198
    • /
    • 2004
  • 본 연구는 저장 중 연화 다시마의 연화 안정성을 검토하여 다시마 다시마 가공품의 중간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산과 가열하여 연화시킨 다시마의 유연조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친수성이 강한 연화제를 사용하여 경시적인 연화 안정성을Avrami equation 색깔 및 관능성 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4일간 저장할 경우 ln( $E_{L}$- Et) vs t와의 관계에서 isomalto oligosaccharide의 기울기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log(- ln( $E_{L}$- Et)/( $E_{L}$- $E_{O}$) vs log t의 관계에서도 Avrami equation의 exponent n는 1.00-1.67 범위에 있고 isomalto oligosaccharide의 exponent n는 1.00으로 가장 연화 안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Rate constant는 isomalto oligosaccharide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경시적으로 연화가 천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연화제를 사용한 경우 연화 다시마의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는 대부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성의 경우 색깔 선호도, 냄새, 가공적합성, 점조성, 연화 정도 및 전체 기호도 등은 isomalto oligosaccharide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연화 다시마를 연화제로 처리하면 중간소재로서의 가치와 저장성, 관능적 가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somalto oligosaccharide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났다.다.

올리고당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변화와 노화 억제 분석 (Texture Profil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with Addition of Oligosaccharides)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33-538
    • /
    • 2012
  • 가래떡의 노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갈락토올리고당(50%)과 말토올리고당을 쌀가루 기준으로 각각 10% 농도로 첨가하여 쌀가루의 pasting 특성을 측정하였고, 가래떡을 제조하여 $5^{\circ}C$ 냉장 보관하면서 0, 2, 6, 24 및 30시간 경과 후 텍스처의 변화를 Texture Analyzer에 의해 측정하여 실험군의 떡을 무첨가군 떡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가래떡의 노화도는 텍스처 특성 중에서 0, 2, 4, 6, 22, 24, 28 및 30시간 경과 후 경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Avrami 방정식에 따라 실험군의 떡을 무첨가군 떡과 비교하였다. 갈락토올리고당(50%)과 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실험군의 pasting 특성에서 peak(P) viscosity는 무첨가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hot paste viscosity(H)는 높게 나타났다. Breakdown(P-H)과 consistency(C-H)는 모든 실험군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 올리고당을 10%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처 특성 중 경도의 경우 실험군은 무첨가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으로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주었다. Avrami 방정식에 따른 노화 특성 분석 결과는 Avrami($n$)지수 값은 무첨가군보다 약간 높은 범위였으나 노화의 속도를 나타내는 시간상수(1/$k$)는 무첨가군 떡의 경우 43.29이었고 실험군의 경우는 82.64에서 84.75 범위로 무첨가군에 비해 그 값이 높았으며 노화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첨가군에 비교하여 실험군 모두 경도가 낮고 노화 진행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나 갈락토올리고당(50%)과 말토올리고당을 가래떡 제조 시 10% 수준으로 첨가하면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ynthesis and Crystallization Behaviors of Modified PET Copolymers

  • Hu, Seung-Woo;Myung, Hee-Soo;Bae, Jong-Seok;Yoo, Eui-Sang;Im, Seung-Soon
    • Fibers and Polymers
    • /
    • 제1권2호
    • /
    • pp.76-82
    • /
    • 2000
  • A series of random copolyesters having various compositions were synthesized by bulk copolymerization of bishydroxyethyl terephthalate (BHET)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CHDM) or dimethyl isophthalate (DMI). CHDM and DMI content was less than 10 wt%. For the synthesized copolyesters, isothermal crystallization rate, melting behavior, and equilibrium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by calorimetry and by Avrami and Hoffman-Weeks equation. Crystalline lattice and morphology were studied by WAXD and SEM. Regardless of the composition, the value of the Avrami exponent was about 3, which indicates that crystallization mechanism of the copolyester was similar to those of PET homopolymer. Incoporation of CHDM or DMI units in PET backbone decreased the crystallization rate of the copolyesters. Surface free energy of copolyesters was evaluated using the newly proposed equation. The value of surface free energy was about 189$\times$$10^{-6}$/$J^{2}$/$m^{4}$ regardless of comonomer contents. This result i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PET homopolymer.

  • PDF

분지형 폴리프로필렌의 비등온결정화 거동 연구 (Study on the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Kinetics of Branched Polypropylene)

  • 윤경화;신동엽;김연철
    • 폴리머
    • /
    • 제36권2호
    • /
    • pp.245-250
    • /
    • 2012
  • 장쇄분지(long chain branch, LCB)를 가지는 분지화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이 세 종류의 분지제(branching agent)를 이용하여 고상(solid state)에서 제조하였다. 분지화된 PP의 화학구조, 비등온결정화 거동 및 복합점도를 적외선분광기(FTIR),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 광학현미경 그리고 동적유변측정기(ARES)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분지화된 PP의 화학구조는 3100 $cm^{-1}$에서 나타나는 분지제의 =C-H 신축진동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P-D-0-3과 PP-F-0-3의 경우 순수 PP와 비교하여 용융온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HQ를 사용한 경우에는 용융온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분지화 반응보다 분해반응이 우세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되고, 복합점도의 감소를 통해 확인하였다. 분지화된 PP의 비등온결정화 거동은 Avrami 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P의 Avrami 지수는 3의 값을 나타내었고, DVB와 FS로 처리된 분지화 PP의 경우는 3보다 약간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Kissinger 방법에 의해서 계산된 분지화 PP의 활성화에너지는 순수 PP의 25 kJ/mol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홍국(Monascus nuruk)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노화 억제 분석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of Sponge Cakes containing Red Yeast Rice(Monascus nuruk) Flour)

  • 송가영;김종희;오현빈;장양양;김영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화와 혈액순환을 돕고, 항암, 향균,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혈압강하 등의 생리활성 기능을 함유한 홍국 분말을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가장 적합한 배합비율을 찾고자 하였으며, 홍국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및 노화 억제 영향을 살펴보았다. 홍국 분말은 동결 건조하여 40 mesh 체를 통과한 것을 사용하였고, 밀가루의 0%, 5%, 10%, 15% 및 20%로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control, RYR5, RYR10, RYR15 및 RYR20으로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였다. 비중 측정 결과, RYR15가 0.57로 가장 낮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굽기 손실율의 경우 대조군 및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반죽 수율의 경우, RYR15가 96.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분함량 측정결과, 대조군, RYR-5 및 RYR15가이 28.67%, 28.18% 및 26.82% 순으로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스폰지 케이크 외부의 L값(명도)의 경우 홍국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L값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스폰지 케이크 내부의 L값은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값(적색도)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외부의 a값은 감소하였으며, 내부의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값(황색도)의 경우, 홍국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스폰지 케이크의 외부, 내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의 경우, RYR5가 8.6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RYR15는 8.5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여 60분간 방냉 후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는 RYR15가 $163.33g/cm^2$로 가장 낮았으며, 탄력성은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응집성의 경우 RYR10이 133.06%으로 가장 높았다. 씹힘성의 경우, RYR10이 $391.63g{\cdot}cm$로 가장 높았으며, RYR15가 $169.92g{\cdot}cm$로 가장 낮았다. 노화 억제 분석을 위한 Avrami 방정식에서는 RYR15와 RYR20이 각각 0.0664와 0.4983으로 시료 중 가장 낮은 Avrami 지수(n)를 나타내었으며, 시간상수(1/k)는 RYR20이 200.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 검사 결과, RYR15이 색(5.50), 향(4.95), 단맛(4.90), 씹힘성(4.75) 및 전반적인 기호도(4.60)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검류 첨가에 의한 개량 증편의 노화억제 효과 (The Retrogradation of Steamed Korean Rice Cake (Jeungpyun) with Addition of Gums)

  • 김동호;황혜정;문성원;강병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38-842
    • /
    • 2006
  • Guar 검, xanthan 검, pullulan을 첨가하여 증편을 제조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시료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유의차가 없었다. 검의 첨가 농도를 낮게 하여 증편을 제조한 경우에는 검 첨가증편의 경도가 무첨가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검의 첨가농도가 0.5% 이상을 첨가하게 되면 pullulan을 제외하고 경도가 무첨가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검류 첨가에 의해 증편의 노화 유형은 변화했으며, Avrami 지수는 pullulan과 xanthan검을 첨가한 경우에는 n=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xanthan 검과 pullulan의 노화 유형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Pullulan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상수(1/k)도 5.37에서 15.6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에 의해 검류 첨가량에 따라 수분함량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경도 변화도 적게 나타났다. Xanthan 검 또는 pullulan 첨가가 증편의 노화 속도를 늦춰줌으로써 노화가 지연되며 shelf-life 연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anthan 검 또는 pullulan보다 guar 검 첨가한 경우가 가장 효과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