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xidat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6초

Maillard 반응에서 유래되는 저분자 Carbonyl 화합물의 DNA손상작용에 대한 활성산소종의 역할 (Role of Active Oxygens on DNA Damage by Low Molecular Carbonyl Compounds Derived from Maillard Reaction)

  • 김선봉;박성준;강진훈;변한석;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5-570
    • /
    • 1990
  • Plasmid pBR322 DNA와 Maillard 반응생성물중 카르보닐화합물인 glyoxal, methyl glyoxal, dihydroxyacetone, diacetyl, glyceraldehyde, glycolaldehyde 및 furfural 등과 각각 37$^{\circ}C$에서 반응시켰을때 나타나는 DNA 손상능과 활성산소소거제에 의한 DNA손상억제 작용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카르보닐화합물을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을 경우, furfural을 제외한 모든 카르보닐화합물에 DNA 손상능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glyoxal, methyl glyoxal 및 dihyd-roxyacetone 이 diacetyl, glyceraldehyde 및 glyco-laldehyde보다 BNA의 손상능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plasmid DNA와 카르보닐화합물의 반응계에 각종 활성산소소거제의 첨가를 통하여 이들 카르보닐화합물에 대한 DNA의 손상을 검토한 결과 일중항산소, 과산화수소, superoxide anion 등이 주요원인물질로 밝혀졌으며, hydroxyl radical은 그 작용이 미약하거나 거의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항산화(抗酸化) 효능(效能)에 의한 간세포(肝細胞) 보호(保護) 효과(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s of Taeumjowetang o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and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 김만우;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60
    • /
    • 2001
  • Effects of Taeumjowetang o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and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aeumjowetang in vitro. 2. Methods In this study, antioxidant effects of TJT on lipid peroxidation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BA. (Abbreviation) TJT : Taeumjowetang, TBA : 2-thiobarbituric acid. 3. Results : 1) TJT inhibited markedly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during the autoxidation. 2) TJT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ydroxyl radical derived from H2O2-Fe2+ in rat liver homogenate. 3) TJT showed 66%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4) TJT exhibited a 25% inhibitory effect on superoxide generation from xanthine-xan thine oxidase system. 5)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JT on the hepatocytes, cultured normal rat liver cells(Ac2F) were prepared and incubated with or without TJT. After 16~18hr, cells placed in DMEM medium without serum, and then incubated with 1mM t-BHP for 2hr. Viable cells were detected by MTT assay. In this test, TJT protec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t-BH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the normal rat liver cell. (Abbreviation) DPPH : ${\alpha},{\alpha}$-diphenyl-${\beta}$-picryl hydrazyl, 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t-BHP : terr-butyl hydroperoxide, 4.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JT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i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 PDF

철분 강화 식품첨가제용 리포좀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osome for Iron-Fortified Food Additive)

  • 이종우;전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64-868
    • /
    • 2004
  • 철분은 생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대사에 필수적인 성분이지만, 식음에 포함된 철분의 양은 극히 적어서 철분강화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이에 따라, 철분공여물질을 함유한 리포즘을 이용하여 철분 강화 식품첨가제를 개발하였다. 철분공여물질로 ferrous sulfate와 hemin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철분 함유 리포좀을 제조하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ferrous sulfate의 자체 산화와 ferrous sul fate와 hemin으로 인한 리포좀의 지질산화로 지적되었다 또한, ferrous sulfate에 의한 리포좀의 산화 정도는 hemin의 경우보다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Ferrous sulfate의 자동 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수용성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가 첨가되었으나, 첨가된 ascorbic acid는 ferrous sulfate와 hemin을 함유한 리포좀의 산화를 억제시키지 못했으며, 오히려 ferrous sulfate에 의한 리포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여기에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을 추가적으로 첨가함으로써, ferrous sulfate의 자동산화를 억제하고 hemin과 ferrous sulfate에 의한 리포좀의 산화가 억제된 철분 함유 리포좀이 제조되었다.

차가버섯의 온도단계별 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비교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 이상옥;김민정;김동균;최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9-147
    • /
    • 2005
  • 각종 산소 라디칼들이 생체내의 호흡효소계나 산화환원계에서 생성되어 노화와 각종 질병과 유관한 사실이 밝혀져 감에 따라 이들의 소거를 위한 항산화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차가버섯의 대표 유효성분인 항산화 성분을 최대로 추출해내기 위한 효과적인 추출법을 시도하고자 실행하였다. 차가버섯 건조분말을 8$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1차 추출물, 1차 추출 후 그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2차 추출물, 2차 추출 후 남은 잔사물에 물을 첨가하여 12$0^{\circ}C$에서 8시간 추출한 것을 3차 추출물로 하여서, DPPH자유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양이온 소거능,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 효과를 봄으로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항산화력은 1차 추출물이 가장 낮았고 3차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3차 추출물은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차나 2차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페놀화합물 합량은 라디칼 소거능 및 리놀레산 자동산화 저해효과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r=0.960∼0.980, regression analysis)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온도에서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지방산화 촉진인자인 3종의 활성산소종(KO$_2$, $H_2O$$_2$, $.$OH)과 금속 이온(Fe$^{2+}$, Cu$^{2+}$) 존재 하에서 항산화 효과를 TBARS값으로 측정한 결과, 차가추출물이 모두의 경우에서 TBARS값을 낮추었으며 특히 $.$OH와 Fe$^{2+}$ 이온에 대하여 탁월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유 라디칼로 인해 야기되는 지방을 비롯한 그 산화물에 대하여 3단계 온도 추출법에 의한 차가버섯 추출물은 매우 유효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뽕나무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동산화 억제 효과 (Inhibition of Lipid Autoxidation by the Extract of the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형석원;김미숙;김정옥;김무남;이강권;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9-254
    • /
    • 2004
  • MM에 여러 가지 버섯균을 7일 동안 액체배양하고 균사를 제거한 배양물에 대한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1 mg)를 275 $\mu$mol linoleic acid가 함유된 배양액에첨 가하고 shaking incubator(200 rpm, 4$0^{\circ}C$)에 16일 동안 배양하면서 생성된 POV와 MA의 함량의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BM에 서 배양한 버섯균사체배양물과 BMM 자체의 POV 및 MA 생성 결과와 비교하였다. AB-BMM과 HE-BMM의 항산화능이 다른 버섯균사체 배양물이나 BMM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뽕나무는 버섯균사체액체배양물의 항산화성을 증가시켰고, AB -BMM 및 HE-BMM은 항산화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큰느타리버섯(Pieurotus eryngii) 조다당체 분획의 항산화 및 항종양활성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 leurotus eryngii)

  • 김재용;강혜인;박경욱;문광덕;이상대;조숙현;위재준;경종수;송용범;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589-1593
    • /
    • 2004
  • 큰느타리 버섯으로부터 추출한 조다당체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10, 100, 1,000 $\mu$g/mL 농도로 다당체의 처리시 linoleic acid에 대하여는 1,000 $\mu$g/mL 농도에서 만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나, 흰쥐의 microsome에 대하여는 각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5.3%, 9.4%및 33%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큰느타리 버섯 다당체를 A549, MCF-7 및 AGS 암세포주에 같은 농도로 72시간 처리시 1,000 $\mu$g/mL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42.3, 33.4 및 26.7%의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다. Sarcoma-180으로 복수암을 유발한 ICR mouse에 큰느타리 버섯 다당체를 100 mg/kg/day 및 300 mg/kg/day의 농도로 7일간 처리하고 30일이 경과한 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각 농도에서 70% 및 90%의 수명 연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체중의 증가율도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시 우지 산패억제를 위한 항산화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Tallow by Gamma Irradiation)

  • 이경행;육홍선;이주운;김성;김미정;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9
  • 우지에 항산화제로 ascorbyl palmitate (AP), ${\alpha}-tocopherol\;({\alpha}-Toc)$, BHA 및 ascorbyl $palmitate+{\alpha}-tocopherol\;(AP+{\alpha}-Toc)$을 첨가하여 $0{\sim}1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였고,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조사직후와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형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의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고, 억제 활성은 $AP>BHA>AP+{\alpha}-Toc>{\alpha}-Toc$로 AP가 초기산화 억제능을 가진 천연항산화제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자동산화를 상당히 촉진시키지만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과산화물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능은 $BHA>AP+{\alpha}-Toc>{\alpha}-Toc>AP$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장말기까지도 효과가 높았던 천연 항산화제 혼합물인 $AP+{\alpha}-Toc$은 BHA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 PDF

$Fe^{2+}$$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 Lipid와 Collagen의 산화성 손상에 나타내는 Harmaline과 Harmalol의 영향 (Effects of Harmaline and Harmalol on the Oxidative Injuries of Hyaluronic Acid, Lipid and Collagen by $Fe^{2+}$ and $H_2O_2$)

  • 조인성;신용규;이정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5-353
    • /
    • 1995
  • Harmaline을 포함한 ${\beta}-Carboline$ 알카로이드들은 마이크로조움의 효소성 또는 비효소성 지질 과산화를 억제한다고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의 항산화 작용기전은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Fe^{2+}$$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 지질과 콜라젠의 산화성 손상에 있어 harmaline과 harmalol의 항산화 능력을 관찰하였다. 또한 반응성 산소대사물에 대한 이들의 제거작용을 조사하였다. Harmaline, harmalol,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와 DMSO는 $Fe^{2+}$$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의 변성과 $Fe^{2+}$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였다. 이들 반응에서 DABCO는 hyaluronic acid의 변성을 억제하였으나 지질 과산화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beta}-Carboline$$Fe^{2+}$, $H_2O_2$와 ascorbic acid에 의한 cartilage collagen의 변성을 억제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에 의하여 억제되는 $Fe^{2+}$의 자가산화에 따른 ferricytochrome c의 환원은 harmaline과 harmalol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이들은 $H_2O_2$에 대하여 분해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Fe^{2+}$$H_2O_2$의 존재하에서 OH 생성은 harmaline, harmalol과 DMSO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Harmaline과 harmalol은 반응성 산소대사물인 OH 과 아마도 철이온-산소 복합체에 대한 제거작용으로써 $Fe^{2+}$$H_2O_2$에 의한 hyaluronic acid, 지질과 콜라젠의 산화성 손상을 억제하고, 항산화 능력을 나타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감마오리자놀 함유 칼슘-펙틴 미세 및 나노캡슐의 제조와 입자 크기에 따른 캡슐특성 (Preparation of γ-oryzanol-loaded pectin micro and nanocapsu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이슬;김은서;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0-116
    • /
    • 2017
  • 감마오리자놀의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천연 다당류인 펙틴과 칼슘이온의 이온결합을 이용한 펙틴 겔 미세캡슐과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의 입자특성은 펙틴, 염화칼슘, 감마오리자놀 농도와 경화시간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포집 효율과 방출 조절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펙틴 2%, 염화칼슘 4%, 경화시간 60분에서 제조한 미세캡슐과 펙틴 0.05%, 염화칼슘 4%, 감마오리자놀 5%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을 선정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두 캡슐 제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감마오리자놀 포집 효율은 입자 크기 증가로 인한 내부 포집공간 증가로 미세캡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효량 섭취의 효율측면에서 경구투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펙틴 캡슐 모두가 산성에서 방출이 억제되고 중성으로 갈수록 방출이 촉진되어 체내 소화환경에서 효과적인 전달체의 특성을 보였으며, 미세캡슐에 비해 나노캡슐의 방출 조절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 감마오리자놀의 장기 저장과 활성유지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TC법을 통한 지질산화 저해능 평가에서는 저장 5일 이후 유리 감마오리자놀의 산화방지 활성이 감소한 데 반해 감마오리자놀 함유 미세와 나노캡슐은 지속적인 지방산화 억제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와 나노캡슐화는 감마오리자놀의 안정성 및 지질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이며, 제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코아 폴리페놀 성분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Cocoa Phenolics)

  • 정창호;최귀남;곽지현;김지혜;최성길;심기환;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0-1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코코아 분말로부터 polyphenol 분획물의 다양한 in vitro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코코아 80%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0.01N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산성 메탄올 분획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각각 19.25, 202.24 및 295.83 mg/g이었다. 코코아 용매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산성 메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0.01 N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산성메탄올 분획물의 농도 1,000 ${\mu}g/mL$에서 환원력은 각각 0.44, 3.15 및 3.87이었다. $\beta$-carotene 표백저해 및 자동산화억제에 대한 코코아 용매분획물의 활성은 산성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0.01 N 염산 분획물 순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와 산성 메탄올 분획물의 농도 1,000 ${\mu}g/mL$에서 $\beta$-carotene 표백저해활성은 각각 58.97과 60.18%로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코코아 함유 제품은 내재 polyphenol 성분으로부터 기인되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으로 인해 노화관련 질병을 예방/억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식품 소재로서 그 활용가능성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