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fluoromet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현장에서 초음파 파쇄와 형광시약을 이용한 그람 음성균의 조기 탐지 (The Early Detection of the Gram Negative Bacteria using Signification and Fluorescent Dye in the Field)

  • 하연철;최기봉;최정도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341-3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sonificator를 장착하여 세포막을 파쇄하고 현장에서 형광을 이용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단시간에 DNA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형광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그람 음성균인 Escherchia coli를 대상으로 최적의 세포 파쇄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Incubation time은 형광량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처리 방법은 현장에서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는 파쇄효과가 미약하고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Sonificator probe 직경에 따라 세포의 파쇄 효과가 큰 차이를 보였으며 13 mm probe로 20초 동안 sonification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에 잠긴 Sonificator probe tip 깊이에 따라서도 세포의 파쇄 효과가 크게 나타났는데 시료에 잠긴 probe tip의 깊이가 깊을수록 큰 파쇄 효과를 발휘하였다. 선정된 최적의 파쇄 조건에서 $5{\times}10^5CFU/m{\ell}$의 Escherchia coli를 탐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초음파 파쇄와 형광시약을 이용한 그람 양성균의 조기 탐지 (The Early Detection of the Gram Positive Bacteria using Sonification and Fluorescent Dye in the Field)

  • 하연철;최기봉;최정도
    • KSBB Journal
    • /
    • 제21권5호
    • /
    • pp.347-35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sonificator를 장착하여 세포막을 파쇄하고 현장에서 형광을 이용하여 조작이 간편하고 단시간에 DNA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형광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으로 간균인 Bacillus globigii와 구균인 Streptococcus epidermidis를 대상으로 최적의 세포 파쇄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Sonificator probe 직경에 따라 세포의 파쇄 효과가 큰 차이를 보였으며 13 mm probe로 20초동안 sonification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균인 Bacillus globigii가 구균인 Streptococcus epidermidis보다 더 파쇄가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에 잠긴 Sonificator probe tip 깊이에 따라서도 세포의 파쇄 효과가 크게 나타났는데 시료에 잠긴 probe tip의 깊이가 깊을수록 큰 파쇄 효과를 발휘하였다. 선정된 최적의 파쇄 조건에서 최저 탐지농도는 Bacillus globigii, Streptococcus epidermidis 모두 $5{\times}10^5CFU/m{\ell}$의 농도를 탐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초음파 파쇄와 형광시약을 이용한 포자의 조기 탐지 (The Early Detection of the Spore Using Sonication and Fluorescent Dye in the Field)

  • 하연철;최기봉
    • KSBB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05-310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condition of cell disruption with a sonicator for the detection of the spore, Bacillus anthracis ${\Delta}$-stern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utomatic fluorometer. The efficiency of sonication on the ${\Delta}$-sterne spore disruption was very weak. The ${\Delta}$-sterne spore with zirconia bead showed greater disruption than the ${\Delta}$-sterne spore alone when sonificated. The volumn of the zirconia bead added in the spore solution has little effect on the disruption efficiency. The detection limit of the ${\Delta}$-sterne spore with zirconia bead and the ${\Delta}$-sterne spore alone was $10^6$ CFU/mL and $5{\times}10^7$ CFU/mL respectively, when sample was sonicated for 20 seconds with a sonicator probe of 13 mm diameter.

조류발생 경보 및 호수 수질관리를 위한 엽록소 자동측정기의 적용 및 타당성 연구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Algae Online Analyzer for Alarming Algal Bloom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Korean Reservoirs)

  • 황수옥;한명수;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57-264
    • /
    • 2006
  • 호수내 엽록소를 상시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동측정기(AOA)를 적용하고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상수원수인 팔당호 현장수가 직접 유입되는 제2취수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분석은 조류 현존량 및 종 조성 분석, 흡광광도법과 자동측정기에 의한 엽록소측정 등을 동시에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조사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조류분류군별 엽록소 기여도는 규조류가 83.6%로 가장 높았으며, 녹조류, 남조류, 크립토조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측정법과 흡광광도법에 의한 엽록소 농도는 전체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0.87, n=302, p<0.001), 시기 또는 공 조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자동측정기의 민감포는 크립토조 (r=0.83, p=0.00154)와 규조 (r=0.73,p=0.010)가 높았으며 현존량이 낮은 녹조(r=-0.13)와 남조(r=-0.16)에 대해서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엽록소 자동측정법은 고전적인 아세톤 추출 방법에 비해 신속성과 경제성은 매우 인정되지만 출현종의 밀도나 종 천이 등을 고려한 조류분석 및 엽록소 직접측정 등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정기여객선 현장관측 시스템과 SeaWiFS 자료를 이용한 서해 연안 해수환경 모니터링 (Monitoring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Using Ferry Box and SeaWiFS Data)

  • 유주형;문정언;민지은;안유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3-334
    • /
    • 2007
  •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인천-제주 정기여객선을 이용하여 18회에 걸쳐 자동관측과 함께 20-30분 간격으로 40여개의 정점에서 해수를 채수하여 클로로필, 용존유기물과 부유퇴적물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채수된 해수를 직접 분석하여 서해 한반도 연안의 해수 환경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과 설치된 자동측정 센서가 신뢰성 있는 자료를 생산하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18회에 걸친 서해 연안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해수환경의 계절별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클로로필의 경우, $0.1-6.0mg/m^3$ 정도의 분포를 보였으며 경기만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04년 9월에는 경기만에서 $10mg/m^3$의 높은 값을 보였다. 용존유기물의 흡광 특성은 대부분은 $0.5m^{-1}$ 이하의 값 분포를 보였으나, 2001년 8-9월에 경기만과 목포 해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2002년과 2003년은 다른 시기에 비해 계절별 변화가 적었다. 부유퇴적물의 경우, 대부분은 $20g/m^3$ 미만의 값을 보였으나 경기만과 목포 주변의 남쪽 해안은 농도가 모든 계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을. 겨울철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황해중부 해역은 대부분 $10g/m^3$ 미만의 값을 보였다. YSI 센서의 클로로필 값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부유퇴적물의 농도는 4번의 조사시기에 대해 $R^2$ 값이 0.77 정도의 값을 보였다. 부유퇴적물과 클로로필의 자동관측을 위해서는 단일 센서인 McVan과 ChelSea 사의 것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조사에 의한 부유퇴적물 분포는 비슷한 시기에 얻어진 SeaWiFS 분석 결과와 공간적인 분포는 잘 일치하였으나 농도 값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