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nitoring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Using Ferry Box and SeaWiFS Data

정기여객선 현장관측 시스템과 SeaWiFS 자료를 이용한 서해 연안 해수환경 모니터링

  • Ryu, Joo-Hyung (Ocean Satellite Research Grou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 Moon, Jeong-Eon (Ocean Satellite Research Grou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 Min, Jee-Eun (Ocean Satellite Research Grou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 Ahn, Yu-Hwan (Ocean Satellite Research Grou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유주형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연구단) ;
  • 문정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연구단) ;
  • 민지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연구단) ;
  • 안유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연구단)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We analyzed the ocean environmental data from water sample and automatic measurement instruments with the Incheon-Jeju passenger ship for 18 times during 4 years from 2001 to 200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monitor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ocean environmental parameters in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using water sample analysi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iability of automatic measurement sensors for chlorophyll and turbidity using in situ measurements. The chlorophyll concentration showed the ranges between 0.1 to $6.0mg/m^3$. High concentrations occurred in the Gyeonggi Bay through all the cruises. The maximum value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was $16.5mg/m^3$ in this area during September 2004. The absorption coefficients of dissolve organic matter at 400 nm showed below $0.5m^{-1}$ except those in August 2001 During 2002-2003, it did not distinctly change the seasonal variations with the ranges 0.1 to $0.4m^{-1}$. In the case of suspended sediment (SS) concentration, most of the area showed below $20g/m^3$ through all seasons except the Gyeonggi Bay and around Mokpo area. In general SS concentration of autumn and winter season was higher than that of summer. The central area of the Yellow Sea appeared to have lower value $10g/m^3$. The YSI fluorometer for chlorophyll concentration had a very low reliability and turbidity sensor had a $R^2$ value of 0.77 through the 4 times measurements comparing with water sampling method. For the automatic measurement using instruments for chlorphlyll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McVan and Choses sensor was greater than YSI multisensor. The SeaWiFS SS distribution map was well spatially matched with in situ measurement, however,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quantitative concentration.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인천-제주 정기여객선을 이용하여 18회에 걸쳐 자동관측과 함께 20-30분 간격으로 40여개의 정점에서 해수를 채수하여 클로로필, 용존유기물과 부유퇴적물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채수된 해수를 직접 분석하여 서해 한반도 연안의 해수 환경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과 설치된 자동측정 센서가 신뢰성 있는 자료를 생산하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18회에 걸친 서해 연안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하여 해수환경의 계절별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클로로필의 경우, $0.1-6.0mg/m^3$ 정도의 분포를 보였으며 경기만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004년 9월에는 경기만에서 $10mg/m^3$의 높은 값을 보였다. 용존유기물의 흡광 특성은 대부분은 $0.5m^{-1}$ 이하의 값 분포를 보였으나, 2001년 8-9월에 경기만과 목포 해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2002년과 2003년은 다른 시기에 비해 계절별 변화가 적었다. 부유퇴적물의 경우, 대부분은 $20g/m^3$ 미만의 값을 보였으나 경기만과 목포 주변의 남쪽 해안은 농도가 모든 계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을. 겨울철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황해중부 해역은 대부분 $10g/m^3$ 미만의 값을 보였다. YSI 센서의 클로로필 값은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부유퇴적물의 농도는 4번의 조사시기에 대해 $R^2$ 값이 0.77 정도의 값을 보였다. 부유퇴적물과 클로로필의 자동관측을 위해서는 단일 센서인 McVan과 ChelSea 사의 것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조사에 의한 부유퇴적물 분포는 비슷한 시기에 얻어진 SeaWiFS 분석 결과와 공간적인 분포는 잘 일치하였으나 농도 값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용안, 김승찬, 최진혁, 1984. 한국 서해 금강하구와 인접 내대륙붕에서의 세립질 퇴적물의 분포와 이동, 대한지질학회지, 20(2): 154-168
  2. 안유환, 문정언, 2000. 탁수의 remote reflectance 모델과 부유물 알고리즘 개발, Proceeding of the KSRS spring meeting pp 26 - 30
  3. 양한섭, 김성수, 1990.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 여름철 한국 남해 표층수중 클로로필과 영양염의 농도 분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과정, 한국수산학회지, 23(6): 417-424
  4. 오재경, 1995. 한강 하구 염하수로의 부유퇴적물의 퇴적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16(1): 20-29
  5. 이용혁, 양재삼, 1997.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염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1): 1-7
  6. 조창환, 1985. 가을철 한국주변해역의 microplankton 및 nanoplankton의 클로로필 함량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18(1): 63-66
  7. 조홍연, 김백운, 2003.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한국해안 해양공학회지, 15(1): 33-38
  8. 추용식, 이희준, 박은순, 이연규, 정갑식, 2000. 만 입구에서 부유퇴적물 거동과 플럭스: 한반도 서해남부 함평만의 여름철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2): 105-118
  9. 최진용, 1993.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8(4): 272-280
  10. 최진용, 박용안, 1996. 한반도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 부유퇴적물의 기초 해양환경적 특성,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1): 46-54
  11. 최진용, 박용안, 1998. 하계동안 한국 서해 태안반도 연근해에서 부유퇴적물의 운반 양상,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1): 45-52
  12. 해양수산부, 2007. 통신해양기상위성 해양탑재체 자료 처리시스템 개발 사업, 한국해양연구원 보고서
  13. Black, K. P. and Rosenberg, M. A., 1994. Suspended sand measurement in a turbulent environment: field comparison of optical and pump sampling techniques, Coastal Engineering, 24: 137-150 https://doi.org/10.1016/0378-3839(94)90030-2
  14. Choi Joong-Ki, Jae-Hoon Noh, Kyung-Soon Shin, and Ki-Hoon Hong, 1995. The early autumn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Yellow Sea, 1992. Journal of the Yellow Sea, 1: 68-80
  15. Doerffer, R., Schiller, H., Krasemann, H., Heymann, K., Cordes, W., Sch nfeld, W., R ttgers, R., Behner, I., and Kipp, P., 2002. MERIS Case 2 water validation: Early results North Sea / Helgoland / German bight. Proceeding of Envisat Validation Workshop, Frascati, Italy, 9-13 December 2002
  16. Gordon, H. R. and A. Morel, 1983. Remote assessment of ocean color for interpretation of satellite visible imagery: a review. Lect. Notes on Coastal and Estuarine Studies. M. Bowman (ed.), Springer-Verlag. 114 pp
  17. Green, M. O. and Boon, J. D., III, 1993. The measurement of constituent concentrations in nonhomogeneous sediment suspensions using optical backscatter sensors, Marine Geology, 110: 73-81 https://doi.org/10.1016/0025-3227(93)90106-6
  18. Jeffrey, S. W. and G. F. Humphrey, 1975.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for determining chlorophylls a, b, c, and c in higher plants,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emie Physiologie Pflanzen, 167: 374-384
  19. Morel, A. and L. Prieur, 1977. Analysis of variations in ocean color. Limnol. Oceanogr., 22(4): 709-722 https://doi.org/10.4319/lo.1977.22.4.0709
  20. Wu Yu-Lin, Yu-Jie Guo, and Yong-Shan Zhang, 1995.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a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Yellow Sea, Journal of the Yellow Sea 1: 8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