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driving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1초

Transfer Learning Models for Enhanced Prediction of Cracked Tires

  • Candra Zonyfar;Taek Lee;Jung-Been Lee;Jeong-Dong Kim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6호
    • /
    • pp.13-20
    • /
    • 2023
  • Regularly inspecting vehicle tires' condition is imperative for driving safety and comfort. Poorly maintained tires can pose fatal risks, leading to accidents. Unfortunately, manual tire visual inspections are often considered no less laborious than employing an automatic tire inspection system. Nevertheless, an automated tire inspection method can significantly enhance driver compliance and awareness, encouraging routine checks. Therefore, there is an urgency for automated tire inspection solutions. Here, we focus on developing a deep learning (DL) model to predict cracked tires. The main idea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enseNet121, VGG-19 and EfficientNet Convolution Neural Network-based (CNN) Transfer Learning (TL) and suggest which model is more recommended for cracked tire classification tasks. To measure the model's effectiveness, we experimented using a publicly accessible dataset of 1028 images categorized into two classes. Our experimental results obtain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with 0.9515. This shows that the model is reliable even though it works on a dataset of tire imag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homogeneous color intensity.

  • PDF

비신호 교차로 상황에서 V2V 기반 자율주행차의 위험성 분석 및 모니터링 컨셉 연구 (A Study of Hazard Analysis and Monitoring Concepts of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V2V Communication System at Non-signalized Intersections)

  • 백윤석;신성근;안대룡;이혁기;문병준;김성섭;조성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22-234
    • /
    • 2020
  • 자율주행차는 GPS 및 레이더, 라이다, 카메라, IMU 등 다수의 센서가 장착되어 도심 교차로 주행 환경에서 다양한 교통체계를 인지하고 판단하여 주행하지만 장착된 센서의 감지 거리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한 예측 및 판단의 한계 등으로 자율주행차의 교차로 사고 비율은 전체 사고의 88%로 사고 비율이 높다. 따라서 ITS 도입으로 V2V, V2I를 통한 비신호 교차로 사고 회피 전략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상황에서 안전한 교차로 주행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지만 단순한 교차로 시나리오를 통한 검증과 단편적인 V2V 고장만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2V 모듈의 아키텍쳐를 분석하여 V2V 모듈별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고장모드를 정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도로 조건 및 교통량에 따라 교차로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ISO-26262 Part3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HARA를 수행하여 자율주행차의 오작동에 대해 시뮬레이션 기반 위험성을 분석하여 ASIL을 제시하였다. V2V 모듈의 각 컴포넌트별 모니터링 컨셉을 제안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모니터링 커버리지를 제시하였다.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CBW 시스템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lutch-by-wire System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s)

  • 문상은;김민성;여훈;송한림;한관수;김현수;황성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19-128
    • /
    • 2004
  • With the growing traffic density and increasing comfort requirements, the automation of the drive train will gain importance in vehicles. The automatic clutch actuation relieves the drivers especially in urban driving and stop-and-go traffic conditions. This paper describes the dynamic modeling of a clutch actuator and clutch spring. The dynamic model of the clutch system is developed using MATLAB/Simulink, and evaluated by experimental data using a test rig. This performance simulator is useful to develop the clutch-by-wire (CBW) system for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AMT). The electro-mechanical type CBW system is also implemented as an automatic clutch for AMT. The prototype of CBW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systematically, which is composed of an electric motor, worm gear and slider-crank mechanism. The test rig is developed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 test of the automatic clutch, and the developed prototype is validated by the experimental data on the test rig.

도로 인프라 모니터링을 위한 자율주행 차량 최적경로 알고리즘 (An Optimal Route Algorithm for Automated Vehicle in Monitoring Road Infrastructure)

  • 김규옥;조선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65-275
    • /
    • 2023
  •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 인프라의 안전성 관리를 위해 운행하는 자율주행차의 최적경로 선정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율주행차는 지정된 구역의 도로 네트워크의 노드-링크를 최소한 한 번 이상 주행하며 인프라 요소의 위험성을 검지하고, 다시 차고지로 복귀해야 한다. 이때 위험도가 높은 노드-링크를 우선 방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도가 높은 노드-링크를 방문하면 높은 보상을 주는 보상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토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중국 집배원 배달경로 알고리즘과 비교했다. 보상 최적화 알고리즘의 이동 횟수는 중국 집배원 배달경로의 이동 횟수와 같으나, 임의로 지정한 고위험 노드-링크는 보상 최적화 알고리즘에서 선 순위로 통과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보상 최적화 알고리즘은 단순구조의 토이 네트워크를 통해 검증하였으나, 향후 실제 도로환경과 유사한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적응형 정속 주행 시스템에 대한 운전자 신뢰와 도로 혼잡도가 작업부하 및 상황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river's Trust in Adaptive Cruise Control and Traffic Density on Workload and Situation Awareness)

  • 권순찬;이재식
    • 감성과학
    • /
    • 제23권2호
    • /
    • pp.103-12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적응형 정속 주행(adaptive cruise control: ACC) 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 및 도로 혼잡도가 운전자의 작업부하와 상황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ACC 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신뢰는 ACC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는 조건과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조건을 통해 신뢰상승 집단과 신뢰감소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도로 혼잡도는 운전자 차량 주변의 차량 수로 수준을 조작하였다. ACC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도로 혼잡도를 달리한 네 가지의 실험 조건 각각에 대해 운전자들의 작업부하와 상황인식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CC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소 집단은 신뢰상승 집단에 비해 이 시스템의 사용으로 인한 운전부담 경감이나 안전운전 확보 등을 포함한 측정 항목 모두에서 시스템에 대한 신뢰 점수가 유의하게 더 낮았다. 둘째, ACC 시스템에 대한 신뢰감소 집단은 신뢰상승 집단에 비해 이차과제에서 더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고, 시스템 사용에서의 주관적인 작업부하 수준도 더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이와는 대조적으로 운전자들의 운전상황에 대한 상황인식은 ACC 시스템 신뢰감소 집단이 신뢰상승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ACC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운전 중에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는데, 이것은 자동화된 운전보조 시스템의 설계에서 사용자의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비정상 상태 운전 시 정면충돌에서의 상해 분석 (Analysis of Driver Injuries Caused by Frontal Impact during Abnormal Driver Position)

  • 박지양;윤영한;곽영찬;손창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2-37
    • /
    • 2018
  • Recently, the driver can be assisted by the advanced active safety devices such as ADAS from road traffic risks. With this system, driver and passenger may freed from can driving tasks or kept eyes on forward direction while on the road. Help from adoptive cruise control, auto parking and newly develped automated driving vehicles technologies, the driver positions will vary significantly from the current standard driver position during the travel time. On this hypothe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behavior and injuries of drivers in the event of frontal impact under these abnormal driver position. Based on the KNCAP frontal impact testing method, this simulation matrix was set-up with dummies of 5 th tile female Hybrid III dummy and 50 th tile male Hybrid III dummy. The small sedan type passenger car was modeled in this simulation. The series of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injuries and behaviour of each dummy, varying the seating status and seat position of each dummy.

자동차 환경내의 음성인식 자동 평가 플랫폼 연구 (A Study of Automatic Evaluation Platform for Speech Recognition Engine in the Vehicle Environment)

  • 이성재;강선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C호
    • /
    • pp.538-543
    • /
    • 2012
  • 주행 중 차량내의 음성인터페이스 에서 음성인식기의 성능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은 차량내 음성인식기의 성능 평가를 자동화하기 위한 플랫폼의 개발에 대한 것이다. 개발된 플랫폼은 주 프로그램, 중계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관리, 통계산출 모듈로 구성된다. 성능 평가에 있어 실제 차량의 주행 조건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이 구축되었고, 미리 녹음된 주행 노이즈와 발화자의 목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플랫폼에서 얻어진 음성인식 결과의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제안한 플랫폼으로 사용자는 음성인식의 자동화와 인식결과의 효율적인 관리 및 통계산출을 함으로서 차량 음성인식기의 평가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수확물 자동 이송을 위한 농업용 자율주행 로봇 시스템 (Agricultural Autonomous Robots System for Automatic Transfer of Agricultural Harvests)

  • 김종실;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49-754
    • /
    • 2021
  • 농업인구의 감소, 고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농작업의 자동화를 목적으로 농업용 로봇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농가 작업 중 가장 노동력이 많이 투입되는 과정은 수확 과정으로 타 과정 대비 약 2~3배 소모된다. 농가의 수확물 이송 작업은 인건비가 가장 많이 들고 작업 중 부상의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이송 작업을 농업용 로봇을 통해 자동화시키면 안전성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농가 작업 현장에 최적화되고 자율주행이 가능한 농업용 로봇을 제안한다.

Haziness Degree Evaluator를 적용한 Hazy Particle Map 기반 자동화 안개 제거 방법 (Hazy Particle Map-based Automated Fog Removal Method with Haziness Degree Evaluator Applied)

  • 심휘보;강봉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266-1272
    • /
    • 2022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technology, image processing-based mechanic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to realize autonomous driving. The camera-taken images of image processing-based machines are invisible due to scattering and absorption of light in foggy conditions. This lowers the object recognition rate and causes malfunction. The safety of the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malfunction of autonomous driving leads to human casual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apply an efficient haze removal algorithm to the camera. In the conventional haze removal method, since the haze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haze concentration of the input image, excessive haze is removed and the quality of the resulting image is deteriora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haze removal method that removes haze according to the haze density of the input image by applying Ngo's Haziness Degree Evaluator (HDE) to Kim's haze removal algorithm using Hazy Particle Map. The proposed haze removal method removes the haze according to the haze concentration of the input image, thereby preventing the quality degradation of the input image that does not require haze removal and solving the problem of excessive haze removal.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haze removal method is verified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교통약자 자율주행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 연구: 휠체어 이용 장애인 및 보행 장애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iority of Autonomous Driving Service Requirement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Focusing on Wheelchair disabled and Walking disabled Persons)

  • 김석현;장정아;도유미;홍현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3호
    • /
    • pp.39-52
    • /
    • 2024
  •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about a major change in the mobility right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user requirements in developing autonomous vehicles and service technologie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User requirements were derived for the wheelchair disabled and the walking disabled. Through focus interviews, a total of 58 requirements were derived for wheelchair-using disabled people and 53 requirements for walking disabled people. A Kano survey was conducted on 33 wheelchair disabled and 34 walking disabled. After that, the quality types of functional requirements in terms of autonomous vehicles and service environment development were analyzed using the Kano model. Prior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wheelchair disabled and the walking disab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user function requirements in the early stages of autonomous vehicle and service technology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