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orized textbook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 분석 및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 비교 (Analysis of the Case of Separation of Mixtur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4th Grade Authorized Textbook and Comparison of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Mixtur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122-135
    • /
    • 2024
  • 본 연구는 2022년에 4학년을 대상으로 처음 초등학교에 적용된 7종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그 구조를 분석하고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의 혼합물 개념에 관한 이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검정 교과서에 제시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3차례에 걸친 클렌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9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2명의 응답을 받았으며, 2022년에 검정 교과서로 혼합물의 분리 단원을 학습한 경기도 소재 4학년 92명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고체의 경우 전체 96개의 사례 중 54개(5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학생들의 발달 특성에 맞게 가장 많고 다양한 사례가 제시된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생물, 액체, 기타 물체 및 물질, 기체 순이었다. 혼합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추출된 96개의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들의 구조와 상호관계를 도식화하였고, 각 키워드가 서로 혼합물의 사례로 관련성을 갖는 연결을 분석하였다.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복잡한 혼합물의 분리 사례를 부분적이었지만 바르게 이해한 경우가 있었으나, 학생의 경우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설문으로 제시한 7개의 분리 사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개념 이해를 분석한 결과 혼합물의 분리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라 개별 사례의 특성별로 다르게 응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혼합물의 분리 개념을 학생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보다 명확한 사례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지구과학 I 교과서의 단열변화 정의, 삽화, 실험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반응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sponses on Definitions, Illustrations, Experiments of 'Adiabatic Change' in Earth Science I Textbooks)

  • 채동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762-77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I의 단열변화 주제에 관한 교과서별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교과서 집필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8종의 고등학교 검인정 과학 교과서 중, 일선 학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6종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과서 분석에는 전주시 소재의 교원 양성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5명이 참여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사전에 6종의 분석대상 교과서를 살핀 후, 분석관점을 단열변화에 대한 개념 정의, 단열변화에 대한 삽화, 단열변화에 대한 실험의 세 부분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6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후 각 범주별로 가장 우수한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단열변화에 대한 개념정의는 교과서 A, 단열변화에 대한 삽화는 교과서 C, 단열변화에 대한 실험은 교과서 B가 우수한 것으로 선정되었으며, 6종의 교과서 모두 불완전한 부분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과서의 부정확성, 부적절성은 학생들이 단열변화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오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단열변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하며, 완전한 내용이 담겨지도록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중학교 미술교과서 애니메이션 단원의 구성 및 오류 분석 (The analysis of configuration and errors in animation section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

  • 함종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89-107
    • /
    • 2009
  • 영상매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애니메이션 분야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은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2001년도부터 출판되어 사용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검인정 미술교과서 7종 21권의 애니메이션 단원에 대한 구성 및 오류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분석해낼 수 있었다. 우선, 애니메이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량의 차이가 집필진에 따라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기내용은 대부분 초기의 실험영상기기의 제작에 머무르고 있었으며, 설명 및 용어, 그림에 대해서는 비효과적인 제작과정을 제시한다거나, 부정확한 개념과 용어를 사용하는 등의 오류가 있었다.

  • PDF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The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n Clothing Construction Area i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 이경화;이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8호
    • /
    • pp.1274-1285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help the authorized textbooks on home economics be selected and used effectively, to provide basic data that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o suggest a next curriculum on home economics. In the study, eight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6th Curriculum developed by Ministrv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wide differences in degrees of diversity and accomplishment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omparison, it was unfolded that three areas, "family", "home resource management" and "consumer" ,occupied much larger portions than other areas. About 81 percent of the author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professors. A contents analysis on the clothing area showed that every textbook includes costume culture, clothing materials, clothing maintenance, and clothing construction. The presentation coverages and relative difficulties of textbooks were, however, diverse. It is somewhat noticeable that, while fewer professors majoring in clothing construction participated in writing, generally more pages were allocated to clothing construction than other areas. While presentations on anthropometrics method, construction theory, draft theory, usage of sewing machine and fitting theory were insufficient most textbooks were dealing with drafting of basic slopers and sewing procedure, etc. Making-up techniques on the apparels ite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en's pants, pajamas, shirt vest skirt, pants, apron and Korean pouch were handled closely in each textbook.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한 저작권 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Copyright Education in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for Middle School)

  • 김인옥;한건우;이수정;이철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정보 교과에 대한 저작권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저작권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2007 개정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검정 교과서, 지도서를 분석하여 정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저작권의 내용과 체계를 추출하였다.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저작권 교육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물을 살펴보고 저작권에 대한 관심, 이해, 이용, 실천의 내용 체계에 맞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저작권 교육은 정보사회와 정보기술의 2단계에 집중되고 있으며 선택교과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다양한 영역에서 저작권 교육이 직간접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에서 저작권 교육의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제안하고 이를 통해 저작권 교육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박형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8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검인정제에 따른 초등 교사의 수학 교과서 관심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Authorized and Approved Mathematics Textbooks)

  • 김효정;이광호;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15-124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 발행 체제 전환이라는 수학 교육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 3-4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참여자 199명의 응답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는 정보적 관심과 개인적 관심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 개인의 최고점 관심을 보인 단계는 강화적 관심과 운영적 관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개인 변인에 따라 수학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 교육 연수 경험, 수학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수학 교육 전공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 교사들은 검정 수학 교과서에 대한 특징, 장단점, 자료 등에 관한 정보적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고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인적 관심이 높게 나타난 것은 검인 정제 전환 목적에 따라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교사 개인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최고점 관심 단계 분석 결과 강화적 관심 단계인 교사가 많은 비율을 나타냈으므로 교사의 창의적인 수학 교과서 사용과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09년 검정교과서로 채택된 '정보' 교과서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ry Tendency in 'Problem-Solving Method and Process' Sections in the 2009 Authorized Informatics Textbooks)

  • 김자미;윤일규;김용천;최지영;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53-264
    • /
    • 2011
  • 정보교과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정보'로 과목의 명칭을 통일하고,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문제해결 능력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변화를 거듭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이 학생들의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정도의 탐구적 경향을 보이는 지 알아보았다. 검정 교과서 중 채택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Romey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문 분석에서는 1개 교과서만이 탐구적 경향을 보인 반면, 교과서 활동 지수는 각 교과서마다 충분한 정도의 탐구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들이 상용이거나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귀속되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교과서의 선택만으로도 내재적 불평등의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으므로 교과서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되어야 하고 특정 학습 환경에 종속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방송통신고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in Korea)

  • 이소영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287-304
    • /
    • 2005
  • Since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ACHS) in Korea was established in 1974, it has been serving many people who couldn't take the opportunities for learning in the regular high school due to several reasons. Regardless of the rapid change in technologies and educational needs during the past 31 years, however, ACHS hasn't changed much. Concerns have been recently made about the validity of the unchanged school system and many issues have been discussed relating to the innovation of the school system. Focus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ith respect to the school system, this paper examines the 7th English Curriculum for ACHS. The paper also investigates the textbooks used in ACHS to see how closely they align with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ACHS' instructional method by employing McDonough and Shaw's(1993) framework for textboo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urrent curriculu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ACHS's characteristics, which leads to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inappropriate textbooks in terms of overall coherence, proficiency level, etc.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ACHS should be based upon the students' needs and their level of proficiency rather than depend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intended for the relatively homogeneous school-age learners.

  • PDF

한국사 서술 방향의 '표준화' 시도와 그 문제점 (The Characteristics to Establish Guidelines in History Textbooks)

  • 최병택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1호
    • /
    • pp.1-16
    • /
    • 2017
  • 제3차 교육과정은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을 기본 방향"으로 삼아 역사 교과서 서술에 일종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형태를 띠었다. 당시에 제시된 역사교육의 목표는 "개인의 발전과 국가의 융성과의 조화"라는 것으로 권위주의 정부가 지향하던 '한국적 민주주의'와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역사교육의 성격과 목표는 이후 교육과정에서 제대로 비판을 받아본 적 없이 되풀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3차 교육과정 이후 역사적 사건에 대해 의미를 부여함에 있어 "국민의 총화"라는 뚜렷한 기준이 등장했고, 이를 기준으로 적극적인 해석이 내려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특정한 시각에 따른 사건 해석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에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학문적 연구성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게 되어 버렸다. 이 경향은 교육 당국이 발표한 '내용 전개의 준거' 혹은 '집필 기준'을 통해 강화되었다. 국가가 제시하는 기준에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점차 고정되었다. 교육과정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좀처럼 없어지지 않았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과 집필기준은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하여 일부 교과서 서술을 개선할 수 있는 방편을 모색하고 있지만, 아직 그 시도가 본격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