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ateway Server Authorization System(GSAS) presented in this thesis is a database authorization system. GSAS is responsible for user\`s authorization, and privilege management, audit service. Only users that are filtered in GSAS can access the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through middleware. GSAS is located at the DBMS and already contains an authorization record for user accessing a specific DBMS. GSAS on consists of several components, namely an authorization manager, a privilege manager, and an audit manager. As an authorization manager and a privilege manager can only approve a pass at the same time, a user can get accessibility for DBMS.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제2권2호
/
pp.128-131
/
2004
We suggest resource authorization system based on RBAC admitting someone to access resources. In existing grid environment, The authorization mechanism on user's resource is to give users an authority on the basis of DN(Distinguished Name) of proxy certificate and map file mapped in local system ID by one-to-on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y i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each accounting management, memory resource, and disk resource, if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use them is in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we specify the role of user's task in extension fields of his proxy certificate instead of the authorization mechanism of user's ID and propose resource authorization system being able to access his resource.
Client-to-Gateway 형태의 IPSec-VPN 시스템에서 IPSec-VP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접근 제어를 위해서는 통상 ID/Password 검증 방식 또는 IPSec-VPN 클라이언트가 인증되면, 묵시적으로 IPSec-VPN 게이트웨이가 IPSec-VPN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 접근 제어가 수행된 것으로 간주하는 묵시적 사용자 접근제어 방식이 있다. 그러나 ID/Password 검증방식은 ID/Password 정보의 전송 방법이 용이하지 않고, 묵시적 사용자 접근제어 방식은 보안상 취약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lient-to-Gateway 형태의 IPSec-VPN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으로써,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을 제안하고, 사용자 접근제어 엔진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IPSec-VPN을 위한 사용자 접근제어 방안은 기존의 IPSec-VPN 시스템에 구현이 용이하고, 다른 IPSec-VPN 시스템과의 상호 호환성이 보장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설계, 구현한 사용자 접근제어 엔진은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임의적 접근제어, 역할기반 접근제어 뿐만 아니라, SSO(Single Sign-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pp.355-360
/
2004
With the growing acceptance of XML technologies, XML will be the most common tool for all data manipulation and data transmission. Meeting security requirements for privacy,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is essential in order to move business online and it is important for security to be integrated with XML solutions. Many policies require certain conditions to be satisfied and actions to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a decision is made. Binary yes/no decision to an access request is not enough for many applications. These issues were addressed and formalized as provisions and obligations by Betti et A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horization model with provisions and obligations in XML. We introduce a formal definition of authorization policy and the issues involving obligation discussed by Betti et Al. We use the formal model as a basis to develop an authorization model in XML. We develop DTDs in XML for main components such as authorization request, authorization policy and authorization decision. We plan to develop an authorization system using the model proposed.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safety authorization system for light rail transit(LRT) through investigating safety certification & safety authorization in foreign country and aviation field in Korea. The safety authorization system proposed by the government these day was also investigated.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KOTSA) have conducted safety validation process on Busan-Gimhae LRT before its revenue service during three months since Jan. of 2011. We describe the overview of these validation activities, results and safety certification issued. Learning from this process, we propose the standardized safety validation process including checklists which can be applied to common unmanned light rail system. This study will be a basis of railway safety authorization for LRT and will be continually improve its application ability by the future study.
The Technical Standard Order articles are the parts and appliances for which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designates as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for the expedited certification process and aviation safety. TSO articles were used on the type certified aircraft as replacement parts in the early days of TSO authorization system, but those articles are widely used on the newly developed aircraft as well in these days.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TSO authorization systems between FAA and EASA, and proposed the rulemaking items to improve Korean TSO authorization system and to contribute to growth of aviation industry.
Diameter base protocol is intended to provide an AAA framework for applications such as IP mobility. Currently Diameter base protocol is standardized to RFC 3588, but there are some problems. One of them, path authorization is already argued at IETF WG Mailing List. According to RFC 3588, path authorization function causes inefficient data traffic and conflicts with RFC 3588 itself. In this paper, we analysis these problems about path authorization function and propose more improved solution.
Now, mathematics textbook is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qualified textbook reflecting 'differentiated education' concept be developed and published. But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of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to develop 'such' textbook. Many authors of textbook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creative and qualified textbooks in their own way. In this paper, we deal with what the authors should keep in mind and could reflect related on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in developing textbook. For this purpose, focusing on new 'content principle' of mathematics textbook authorization, the paper presented its educational background.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가 시행된 지 5년이 넘었지만, 동 제도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 연구는 민간자격 국가공인사업의 전반적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공인민간자격이 자격취득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효과, 경제외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간자격 공인 후, 자격 취득자의 취업촉진에 다소 긍정적 영향은 있으나, 임금, 승진 등의 경제적 효과는 없었다. 경제외적 효과에 있어서도 고용불안 감소와 같은 심리적 만족은 있으나, 직무수행능력 향상, 인력의 전문성 향상 등과 같은 실질적 부분의 긍정적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그리드 사용자 인가 시스템은 해당 로컬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많아지게 되고, 사용자 프록시 인증서의 subject DN(Distinguished Name)과 로컬 시스템의 ID를 일대일로 매핑할 경우, 계정 관리 문제와 메모리 자원, 디스크 자원의 관리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기존의 그리드에서는 여러 subject DN이 하나의 로컬 ID를 공유하는 형태로서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하나의 로컬 ID를 공유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는 수많은 그리드 사용자의 모든 요구사항을 적용하는데 있어 더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D 기반이 아닌 인증서 기반의 사용자 인가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앞서 설명한 기존의 ID 매핑 방식의 인가 시스템 대신에 인증서내의 확장 필드에 사용자의 권한 등급을 추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원에 대한 접근 제한 등급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