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henticity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6초

품질을 활용한 브랜드 진정성 구축에 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Brand Authenticity Building Utilizing Product Quality)

  • 고인곤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235-243
    • /
    • 2020
  •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진정성이 있는 것으로 느낄수록 브랜드 이미지는 좋아지고 구매의도도 높아지므로,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브랜드 진정성을 구축하고자 한다. 한편, 성능이나 내구성, 소재 등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종합적으로 지각하는 제품의 품질은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케팅 관점에서 품질과 브랜드 진정성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실증분석함으로써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품질과 브랜드 진정성을 이론적으로 정의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후, 궁극적으로 이들 개념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총 286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제품의 품질과 브랜드의 진정성 및 브랜드 이미지를 알아보았고, 조사대상 제품은 S전자의 최신 휴대폰인 S20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품질이 브랜드 진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정도는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 또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정도도 컸지만, 브랜드 진정성을 함께 고려한 경우에는 품질에 비해서 브랜드 진정성의 회귀계수가 더 컸다. 이는 브랜드 진정성의 부분매개효과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이 브랜드 이미지 및 구매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품질에만 초점을 두는 것보다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감안하여 브랜드 진정성을 함께 구축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마케팅 관점에서 소비자가 품질을 통하여 지각하는 브랜드 진정성과 브랜드 이미지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용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안하고 있다.

Patient Fidelity to Medical Services: The Roles of Authenticity and Affective Trust

  • LEE, Changjoon;KIM, Soohy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11호
    • /
    • pp.19-28
    • /
    • 2020
  • Purpose: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medical services continue to increase as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changes. Consequently, competition among medical institutions is intensifying and hospitals must establish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medical services they pro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uthenticity of doctors is a factor in improving medical-service quality and examines the effect authenticity has on the affective trust and satisfaction of patients. Design, methodology, and approach: The study utilized previous studi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potential variables, established hypotheses and used a questionnaire to confirm thes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patients who had visited a hospital in the previous six months. Responses were analyzed empir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ndings: The analysis found that a physician's authentic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trust of patients. While patients' affective trust does not have a similar strong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physician authenticity do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and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oles of authenticity, affective trust, and patient satisfaction in doctor-patient relationships in the medical services field.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is that physician authenticity is a prerequisite for patient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존재론적 층위에서 건축의 제주성 (The Ontological Thinking of Authenticity in Jeju Architecture)

  • 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99-1104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제주건축이 가지고 있는 지역성에 대해 살펴보고, 건축개념으로서 건축의 제주성이 가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먼저 제주건축에서 논의되고 있는 지역성에 대해 정리하고, 이 논의들이 가진 한계를 살펴보았으며, 이후 칸트의 판단력 비판과 루이스 칸의 건축 존재론을 통해 건축의 제주성에 대한 새로운 층위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제주의 현대건축이 지향해야할 지역성의 토대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서비스 종업원의 진정성, 소비자의 감성지능, 레포 그리고 고객충성도 : 조절된 매개모형 (The Effect of Employee Authenticity on Customer Loyalty via Rapport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정기백;최석봉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61-37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uthenticity and customer loyalty.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rapport positively mediated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address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uthenticity and rapport. By developing moderated a mediation model, we addressed indirect conditional effect of custome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uthenticity and customer loyalty via rapport. Methods: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customers who used various services in Korea. The main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questionnaires administered to 292 customers. Results: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employee authenticit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loyalty. We have also found that rapport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uthenticity and customer loyalty.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uthenticity and rapport,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customer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organizations and managers who want to improve customer loyalty.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th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패션 브랜드 진정성의 속성과 내부 구조 확인을 위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for Investigating the Attributes and Internal Structure of Fashion Brand Authenticity)

  • 서상우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181-1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ributes and internal structure of fashion brand authenticity, a new concept of brand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22 samples of consumers and professional groups were selected to implement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uthenticity of fashion brand included various sub-dimensions. Attributes that constituted the authenticity of fashion brand, consisted of these following 8 dimensions: heritage, authority, relationship to place, consistency, non-popularity, trend-leading, originality and sustainability. 2) sub-dimensions of the fashion brand authenticity were once again categorized into core attributes and promoted attributes. Dimensions such as heritage, authority, relationship to place, consistency and non-popularity dimensions were inherent attributes of the brand, formed at a comparatively long time. Subsequently, these were categorized as core attributes of the authenticity of fashion brand. The trend-leading, originality and sustainability can form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y accepting the change, so it was categorized as promoted attributes which were created at the front stage with the consumers.

SNS 패션 인플루언서 진정성이 팔로워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팬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NS Fashion Influencer Authenticity on Follower Behavior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nship-)

  • 김우빈;추호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3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NS fashion influencer's authenticity on the followers' relationship maintenance intention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fanship. In addition, influencer's attractiveness is proposed as a moderator affecting the authenticity on fanship; in addition, authenticity is operationalized as honesty and expertise. A written survey is developed for 181 female Instagram users. The analyses of the data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honesty has a positive effect on fanship, relationship maintenanc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expertise affects fanship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intention, b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honesty and expertise have a positive effect on follower behavior intention through the partial mediation of fanship. Third, social attractiveness and physical attractiv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nship. However, al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uthenticity and attractiveness are not significant. Unlike authenticity, attractiveness has no direct effect on follower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verifies the critical role of authenticity for an influencer in the context of SNS marketing and commerce, as this factor leads to followers behavioral intention as well as fanship in both direct and mediated paths.

메타버스 서비스 진정성 구성 요인과 효과에 관한 연구: 메타버스 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Factors and Effects of Metaverse Service Authenticity: Focusing on the Metaverse Education Service)

  • 최대봉;송상연;배준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6호
    • /
    • pp.53-68
    • /
    • 2023
  •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systems has surged, leading to an increased prevalence of virtual interactions across various domains, such as tasks, meetings, orders and deliveries, and even student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interest in the metaverse platform has been on the rise, with metaverse services like Zepeto, Roblox, and Minecraft expanding beyond gaming to encompass educational fields as well.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uthenticity factors influencing metaverse platform-based educational services and examine their impact. The authenticity components are defined as integrity, empathy, interactivity, presence, and uniqueness.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se authenticity components on both service value and servic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involving 320 metaverse users was conducted, and the model was subjected to statistical valid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underscore that perceiving metaverse education service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introduction, as authentic educational methods for learners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service.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lays the theoretical groundwork for enhancing the authenticity of educational services in virtual space. It defines and proposes authenticity elements for customer satisfaction in metaverse educational services, which are still in their nascent stages. Moving forward, it is anticipa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enhance the value of metaverse education services and achiev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as customer experiences evolve and deepen.

진정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uthenticity Scale)

  • 김영준;김영일;이흥철;김경일
    • 인지과학
    • /
    • 제32권3호
    • /
    • pp.141-167
    • /
    • 2021
  • 진정성은 철학에서 위선이나 기만적인 삶의 반대 개념이다. 진정성에 기초해 인간이 삶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긍정적 요인들이 해외에서는 연구되어 온 반면, 진정성 측정을 시도한 국내 연구들은 대부분 한국 문화의 특징들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특정 분야의 사용 목적으로만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연구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정성 척도를 개발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진정성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과 사회적 관계를 중요시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문항들을 통합했다.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진정성은 자기 인식, 행동 진정성, 관계 진정성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HEXACO, 사회적 바람직성, 자기조절초점, 정서다양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진정성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라는 것을 의미하였고, 일상에서의 진정성에 대한 경험적 개인차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과 관련된 브랜드 속성 (Brand Attributes Related to the Perceived Brand Authenticity)

  • 김상훈;박현정;이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98-4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지각 관련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브랜드 속성들이 실제로 진정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제품 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속성들이 소비자의 진정성 지각 형성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도 살펴보고, 진정성 지각이 브랜드 성과와 연결되는지, 즉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브랜드 속성들이 진정성 지각을 형성한 후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진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속성은 우수성, 자연성, 유행 반영성, 일관성, 지역 관련성, 윤리성의 여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연성은 사적제품에서, 유행 반영성이나 지역관련성은 공적제품에서 더욱 진정성 지각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정성 지각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개회귀분석 결과 진정성 지각은 우수성과 유행 반영성 차원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자연성, 일관성, 윤리성 차원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함을 파악하였다.

1인 미디어 콘텐츠의 인플루언서 요인이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luencer Factors in Personal Media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

  • 유현주;김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5-59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의 공신력(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및 콘텐츠 진정성이 브랜드 진정성과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응답자에게 실제 유튜브에서 제공되고 있는 인플루언서의 임베디드 콘텐츠를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콘텐츠 진정성이 브랜드 진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브랜드 진정성은 구매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구매 의도와 콘텐츠 진정성의 사이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 1인 미디어 및 미디어 콘텐츠의 실증적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마케팅 분야에서 진정성 개념과 관련된 연구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 및 이들과 협업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