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essment tool

검색결과 2,616건 처리시간 0.039초

중년 여성의 식생활 중심 건강상태 판정 도구 개발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Development based on Dietary Patterns in Middle-Aged Women)

  • 이혜진;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7-52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middle aged women's health status based on dietary patterns, which will have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working field of health and hygiene, aiming at improving the middle aged women's quality of life through their health improvement. Methods: As a first step,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the original data of '2008~2009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reanalyzed. This analysis identified 65 preliminary questions that may be relevant to the study.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by experts, the 65 questions were reduced into 51 questions. In order to secure higher validity of the candidate items, verification of their clinical validity was conducted among women aged between 45 and 60 years. Finally, an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by applying weight and scoring. Results: Selected 51 questions were used to verify clinical validit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20 questions were relevant, nine questions ('regular meal time', 'regular amount of meal', 'intake frequency of dairy products', 'intake frequency of fruits', 'intake frequency of meat products', 'intake frequency of high cholesterol foods', 'intake frequency of salty foods', 'appetite', 'eat breakfast everyday') were related to dietary life. Eleven other questions ('self-rated health status', 'deep sleep', 'smoking', 'frequency of drinking', 'stress levels', 'health-related fitness levels', 'pounding of the heart', 'strange feelings on the skin', 'interfere with daily life', 'menopause will bring you a chance to see the life in a different perspective', and 'body mass index') were selected as valid questions. For the response scale for each question, 5 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make total 100 point score.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a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for middle aged women based on their dietary patterns. We conclude that this tool is expected to be a useful and practical tool in the field.

재가장애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사정도구 개발과 욕구추출 알고리즘 과정 연구 -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tool and Extraction Algorithm Fitting for Individuals in Car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in Home)

  • 김영숙;정국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2호
    • /
    • pp.155-173
    • /
    • 2008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재가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 환경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 중심의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재가 장애인 200명의 사정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제공을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크게 사정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활용한 욕구추출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도구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포커스집단과 전문가들을 통하여 사정도구의 주관적 호소와 욕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인 검증과정을 거쳤다. 검증결과 본 도구는 <표 2>와 <표 3>의 결과처럼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 도구를 활용하여 욕구추출 알고리즘 요약을 <표 5>와 같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사정도구와 알고리즘은 재가 장애인의 객관적 욕구를 사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화재위험도 평가 Tool에 의한 물류창고 공사장 적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for a Warehouse Construction Site using a Fire Risk Assessment Tool)

  • 서용구;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73-688
    • /
    • 2023
  • 연구목적: 공사 중에 발생하는 화재는 빈도는 적으나 그 피해가 크다. 최근 물류유통산업의 성장으로 신축하는 물류창고의 공사장이 증가하고 있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화재예방을 정량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화재위험도 평가 Tool의 개발을 통해 공사현장의 재난을 줄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공정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분류하여 연소의 3요소에서 제어가 어려운 공기(산소)를 제외한 가연물과 점화원을 등급별로 구분하고, 피난안전성을 추가로 대입하여 종합적인 화재위험평가 Tool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정립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하여 제시한 화재위험도 평가 Tool을 이용하여 화재위험도가 낮은 굴착공사와, 화재위험도가 중간정도인 설비공사, 화재위험도가 높은 마감공사를 샘플링하여 결과값(CGI)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화재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Tool의 개발로 위험도 평가에 따른 물적조건(가연물)과 에너지조건(점화원)을 제어하여 구체적인 예방대책의 수립과 피난안전성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향후 건설현장의 화재위험도 평가Tool의 적용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공정의 계획 수립과 소방설비의 적응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우리 나라 가정.방문간호 사업을 위한 가정간호요구 사정도구 개발 - 자가간호개념에 근거한 가정간호진단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 Home Care Need Assessment Tool - Focused on Home Care Nursing Diagnoses based on Self Care -)

  • 소애영;조병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3-443
    • /
    • 200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r home care and a Home Care Need Assessment Tool. Method 1. Identifying common domains in the provision of home care. 2. Charts of 253 home care clients were reviewed to obtain a classification of the nursing diagnoses. 3. A focus group methodology was used to develop the domains. 4. The tool was applied to 439 home care clients.(Kappa value=0.460-1.000, sensitivity, 0.444-1.000: specificity, 0.743-1.000). 5. Some refinements and extractions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Results Home Care Need Assessment Tool consists of three parts; -Part I : factors related to basic conditions -Part II : a screening component that enables home care nurses to assess 30 multiple domains of 53 nursing diagnoses. -Part III : summative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need intensity for the clients. Conclusion This tool provides a comprehensive assessment that helps the recognition of many strengths as well as problems of the clients. It will be usefully utilized in scheduling home care nursing plans and evaluating client outcomes.

  • PDF

말기암환자의 가정간호 사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Homecare Nursing Assessment Tool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 김혜영;정현숙;전병학;조영이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8-11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mecare nursing assessment tool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tes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Methods: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tool was developed in four stages: first,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Gordon' functional health pattern model; second, a panel of specialists reduced the number of preliminary items using validity tests for content; third, final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a pre-test. Finally, from August 4th, 2011 to August 26th,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using a sample of 125 terminal cancer 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The final tool consisted of 39 items, with Cronbach's ${\alpha}$ 0.70. Using factor analysis, 10 factors were extrac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se was over 0.3. Conclusion: The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having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Given this, the tool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implementing and improving home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PDF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 김용국;김영현;유예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0-1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를 개발하는 것이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 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시범 평가를 통해 국내 공원 여건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정제하였다. 셋째, 시범 평가를 통한 공원성능평가도구(PPAT)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평가표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를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22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 환경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공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열악한 질의 근린공원이 다수 발견되었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는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공원 정비사업 우선순위와 사업추진방식 선정, 우수 공원 인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년기 요양 환자의 건강사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Assessment Tool for Middle-aged Adults in Long-term Care Settings)

  • 박윤진;김남초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
    • /
    • 2017
  • Purpose: This was a methodological study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health assessment tool for middle-aged adults in long-term care settings (HATMAL). Methods: At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initial 56-items HATMAL were derived via literature review, survey for needs assessment,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t the second stage, 54 items HATMAL were finalized via content validity test with 5 experts and a pilot study with 30 nurses. At the third stag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100 middle-aged patients in a long-term care hospital.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3 factors; functional assessment, symptom assessment, and comfort assessment. These 3 factors explained 83.8% of total variance and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Test-retest reliability was .67 for appetite changes, .76 for regulating for behavior problems, and 1.0 for other item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HATMAL is valid and reliable to assess the health for middle-aged patients in long-term care setting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vide more effective personalized treatment and care for middle-aged patients in long-term care settings consider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진단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 Assessment Tool for Digital Literacy Competence)

  • 양길석;서수현;옥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현재와 미래사회를 대비한 핵심역량의 하나라는 판단 하에 이를 자가진단하거나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효과성 검증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2개 영역, 8개 구인, 총 4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구성하였다. 약 3천 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후 적합성 판단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도구는 일차적으로 초중등학교 및 성인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 도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각 개인의 자기계발에 필요한 교육 정보를 제공한다면 우리 국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An Assessment of the Information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박명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90
    • /
    • 2005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평가지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이론과 과정을 고찰하였고, 대학 단위, 지역 전문대학 단위, 주정부 단위, 고등학교 학군 단위에서 개발한 미국의 평가 도구를 분석하여 우리 고등학생의 정보활용 능력 평가 도구를 제시하였다.

  • PDF

간호학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 Self-Assessment Tool in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Education)

  • 김현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elf-assessment tool to evaluate program outcomes of nursing students in Korean nursing undergraduate education. Methods: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consisted of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and item validation. A total of 117 item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ing. Data was gathered from 302 nursing students in Korea and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To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were used, and 12 factors, with a cumulative explanatory variance of 69.16%, were determined from 79 item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Cronbach's ${\alpha}$ was .91. The half-split reliability results were .84 and .85, and the ROC curve showed an optimal cutpoint at 227.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used for scoring. Conclusion: This instrument was found to have fair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self-assessment tool for nurs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evaluate program outcomes indirectly in nursing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