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wetland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4초

자연형 하천 식생복원을 위한 달뿌리풀, 물억새, 솔새, 수크령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for the Rehabili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 최규창;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0-77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for the rehabilitation of Close-to-Nature River and artificial wetland. The results on the revegetation methods by seeding and sodding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eed germination of Phragmites japonica was 76.3% at $30^{\circ}C$, that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was 68.7% at $20^{\circ}C$, that of Themeda triandra germinated 52.3% at $25^{\circ}C$,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and that of Pennisetum alopecuroides germinated 86.7% at $30^{\circ}C/20^{\circ}C$ alternating temperature. Seed germination of Pennisetum alopecuroides exceeded 80% at $20^{\circ}C$, $25^{\circ}C$, $30^{\circ}C$ constant temperature and $25^{\circ}C/15^{\circ}C$ alternating temperature. At 60 days after seeding, the ground coverage of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reached 81%, 81 %, 74%, and 86% respectively in the soil media of vermiculite and peatmoss(1 : 1 by volume). In the results of sod experiment,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meda triandr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were formed sod completely in soil composition type of vermiculite and peatmoss(1 : 1, v/v). Thus this media seems to be best sad production media for rehabilitation works of Close-to-Nature River and man-made wetlands. Phragmites japonica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ot height and the number of tillers by different planting distance for the first one year of experiment. Pennisetum alopecuroides shows high possibility to be used for Close-to-Nature River rehabilitation works by seeding.

  • PDF

우리나라 생태복원분야 정착의 전망과 과제 (View and Subjects on the Settling the Area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Korea)

  • 문석기;구본학;남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7-79
    • /
    • 2001
  • According to the new general movement of ESSD in Korea, the role, background, and subjects, etc. of Ecological Restoration Area were studied to find out the way for this area to be settled as one kind of industry. Questionnaire and literature study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and to find out the way of the area settlement with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definition of it. The related sub-areas studied were 1. regulations and standards including design and construction 2.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ound the area 3. related curriculums applying in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4. present situation of the industry.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everal proposals for the area to be settled in Korea with the other related areas. 1. The boundary of Ecological Restoration could be defined as the concept of preservation(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ecosystem with ecological planting - including the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areas of slope, artificial foundations, watersides and wetlands, with in bio-diversity and eco-forests for these areas. 2. It seems that the more investments needed for the elaborate and professional techniques to be developed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works to the contrary that the base of this area be matured already in the several sub-areas. 3. For the successful work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defining the new industrial branch -independent from existing construction industry- is recommended through the law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will be better if professional officer system in governmental organization could follow up this. 4.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echnical expert qualifying system to train the Ecological Restoration Professionals should be induced for the effective practice of the area.

  • PDF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 강방훈;손진관;이상화;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48
    • /
    • 2009
  • A palustrine wetland is a type of a wetland that prevails in Korea as well as an ecosystem that provides various ecological functions and has affluent biod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a palustrine wetland by analyzing a life form and naturalized plants, in order to present th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 of a small wetland. A total of 249 taxa including 76 families, 188 generics, 209 species, 38 varieties and 2 forma were found at six investigated wetlands.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ratio analysis, Therophytes (37.8%) with 94 taxa and Hemicryptophytes (31.3%) with 78 taxa were in order of life form, and Gramineae (14.1 %) with 35 taxa and Compositae (11.2 %) with 28 taxa were in order of family level. These were deemed representative vegetation in a palustrine wetland. Equosetum arvense, Phragmites communis, Commelina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Arenaria serpyllifolia, Stellaria media,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ere found continuously for a period of investigation in all sites. Equosetum arvense, Phragmites communis and Persicaria thunbergii were specie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Especially, Persicaria thunbergii was construed high in a cover ratio in May as it develop first among Hydrophytes and form a canopy sooner than anything else. We found that a degree of naturalization and an urbanization index appear comparatively high in Yeongok-ri, Cheonan, Gangjang-ri, Asan and Yodang-ri, Hwasung, which is construed due to artificial interference, such as fanning, fishing, swimming and green-tour program. These results would be used to utilize in restoring a deserted and damaged wetland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in creating a wetland as follows.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Bio-block의 비점오염물질 제거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Elimin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Waste Sewage Sludge Bio-blocks)

  • 한상무;김도형;정병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63-368
    • /
    • 2021
  • On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removability of bio-block using waste sewage sludge, at the reactor's initial operation stage, the removal efficiency of COD was slightly unstable. However, after the reactor was stabilized, the COD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in the reactor filled with bio-blocks compared to the reactor filled with broken stones. In terms of nitrogen and phosphorus, their removal efficiency was unstabl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reactor operation. This phenomen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bio-block elution experiments. Results indicated that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eluted from the bio-blocks affecting their removal at the initial operation. Furthermore, based on elution tests conducted after the dry ashing of the waste sewage sludge, part of the nitrogen and phosphorus was eluted similar to the bio-block elution test results, although considerable amou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reduced compared to the sludge cake. Prior to the use of the waste sewage sludge bio-blocks as a filter medium to remove non-point source pollutants, a stabilization period of 10 days was required. After the stabilization process, results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as general aggregates. Moreover, to use the bio-block as a filter medium for the non-point pollutant removal, the filling ratio of 75% was the most suitable as it resulted in the highest nitrogen removal efficiency after the stab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aste sewage sludge can be suitably recycled as a mixed raw material for the bio-blocks, with satisfactory application as a filter medium in artificial wetlands, stormwater runoff problems, stream water pollutants to eliminate non-point source pollutants.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ecophysiological and growth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a Korean endangered plant, in a smart farm facility

  • Park, Jae-Hoon;Lee, Jung-Min;Kim, Eui-Joo;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161-171
    • /
    • 2022
  • Background: Epilobium hirsutum L.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plant in South Korea located in Asia, due to the destruction of its habita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wetland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 light condition suitable for the growth and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those of this plant under treatment with various light qualities in a smart farm were measured. Result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nd growth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according to the light qualities, the treatment with light qualities of the smart farm was carried out using the red light: blue light irradiation time ratios of 1:1, 1:1/2, and 1:1/5 and a red light: blue light: white light irradiation time ratio of 1:1:1. As a result,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s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temperature, transpiration rate, net photosynthetic rate,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to light qualitie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reatments with light qualities. The increase in the blue light ratio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f temperature an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the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and decreased the transpiration rate and the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On the other hand, the white light treatment increased the transpiration rate and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and decreas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eaf temperatur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and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Conclusions: The light condition suitable for the propagation by the stolons, which are the propagules of Epilobium hirsutum L., in the smart farm, is red, blue and white mixed light with high net photosynthetic rates and low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temperature.

E-GIS 기반의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Wetland Based on an E-GIS)

  • 장용구;김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1011-1017
    • /
    • 2006
  • 습지 생태계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다. 습지는 육상과 수상생태계의 전이지대이며 인간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습지의 보전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습지 분포지역의 명확한 위치정보, 속성자료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Environment-GIS(E-GIS)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원에 대한 통합 DB로서 습지관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기준점 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를 규정하였고 습지분포 수치지도 영역을 표현하였다. 이로써 지리정보를 이용한 GIS DB로 전환하여 도형, 속성정보를 수치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습지정보를 기반으로 연구범위 내 환경부 지정 대표 보존습지의 구성인자인 지형, 지질, 동 식물상 분포를 분석하여 발견되지 않은 습지 분포지역을 예측 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식생 및 정화식물 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purified plats in artificial wetlands)

  • 박구성;정우석;남귀숙;강의태;이규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1-491
    • /
    • 2022
  • 최근 농업용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사업으로 수질개선시설들이 조성되었으나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정화효과 검토와 시설물 운영에 대한 관리만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농업용수 수질개선사업은 자연친화적 공법인 인공습지가 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및 정화식물에 대한 조사 및 영향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인공습지 내 정화식물 이외의 우점 식물종(침입 식물종)에 대한 현황 및 관리방안 검토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총 6개 저수지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식물상 및 군락특성을 조사하여 인공습지 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인공습지 내 수질 정화식물 현황 분석 결과는 조사의 여건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3단계를 나누어 관리지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식생도에 반영하였다. 또한 인공습지 내 정화식물(갈대, 부들, 꽃창포 등) 이외의 우점 식물종(침입 식물종)을 분석하고 침입 식물종 특성 및 관리 방안을 분석하였다. 인공습지에 대한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 27과 59속 63종 7변종 1아종으로 총 71류군이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습지에서 우점종으로 갈대, 부들이 확인되었으며, 일부 습지의 경우 줄, 큰고랭이, 마름 등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7과 23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인공습지 내부보다는 주변의 나대지, 제방사면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귀화식물 중 환경부에서 지정한 생태계교란식물은 양미역취,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물참새피, 가시상추가 조사되었다. 귀화식물 종수가 10~12종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3.1~3.7%로 나타났으나 출현 종수가 적어 귀화율은 29.4~44.0%로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경우 동물과 달리 계절에 따라 출현하는 종의 차이가 더욱 크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계절에 따른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식재모듈을 활용한 조름나물(Menyanthes trifoliata L.) 인공서식지 조성의 효과 (Effects of an Artificial Habitat Creation of Menyanthes trifoliata L. Using Planting Module)

  • 허진옥;김흥태;김철민;배연재;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61
    • /
    • 2015
  • 멸종위기종인 조름나물의 인공서식지 조성을 위해 식재 모듈을 이용하여 호수의 가장자리에서 개방수면으로 생장하는 조름나물의 서식 유형을 재현하였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의 서식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메조코즘 실험을 수행하고 3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조름나물 식재 모듈이 사용된 메조코즘이 수서 대형무척추동물에게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식재 모듈은 상토와 펄라이트, K-SOIL(바텀애쉬를 활용한 인공경량토양)로 기질 조건을 달리하였고, 이 모듈은 크기가 다른 2종류의 습지박스($1170{\times}2250{\times}300mm^3$, $900{\times}1360{\times}190mm^3$)에 설치되었다. 모니터링 결과 조름나물은 잎의 수와 피도에 있어서 기질 조건과 습지박스 크기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잎의 수는 상토(평균 23개)와 K-SOIL(평균 28개) 조건에서는 유사한 생육상태를 보였지만, 펄라이트(평균 2개)에서는 생육이 불량하였다. 또한 큰 습지박스의 조름나물이 작은 습지박스의 조름나물에 비해 더 많은 잎을 가졌다(p=0.015). 피도와 지하경의 길이, 지하경의 수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1,145개체를 포함한 수서 대형무척추동물 21개 분류군이 조름나물 메조코즘 내에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양도 지수 및 정착 지수 값 또한 주변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름나물 메조코즘은 수서 대형무척추동물에게 충분히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재 기질로 상토와 K-SOIL을 사용하고, 조름나물이 생장할 수 있는 개방수면이 확보되도록 모듈을 설치하며, 수심이 약 30cm가 되도록 관리한다면 식재모듈을 이용한 조름나물 서식지 조성은 성공적일 것이다.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지상강우의 보정방법 연구 (Calibration of Gauge Rainfall Considering Wind Effect)

  • 신현석;노희성;김연수;이씨든;김덕환;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3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량계로 측정한 강우량이 실제 지표면에 떨어지는 강우 값에 근접하도록 보정함으로써, 유출해석 및 기타 수문분석에 적용할 경우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지상우량계로 관측한 강우량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기상관측소인 추풍령기상대에 설치된 바람막이의 유(有) 무(無)에 따른 우량계와 기준우량계의 자료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강우를 단순선형회귀 모형과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지상강우를 보정하였으며, $Vflo^{TM}$모형을 이용한 유출모의를 통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단순선형회귀 모형을 사용한 보정 강우량은 실제 관측된 강우량보다 5%~18%가 큰 강우량을 나타냈으며, 강우획득에 있어 바람의 영향은 1.6~3.3m/s의 풍속구간에서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귀모형에서는 풍속구간 5.5m/s이상일 경우 자료의 개수가 전체자료의 0.7%로 매우 작고, 이상치가 획득됨으로써 회귀모형 적용의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에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지상강우의 보정은 전체적으로 관측 값보다 10~20% 가량 강우가 적게 추정되었다. 통계분석결과, 전체적으로 편차가 크고 평균 강우획득량이 클수록 신경망 모형의 적용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획득한 강우량의 극치값이 크게 나타날수록 선형회귀 모형의 적용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신뢰성 높은 강우보정을 위해서는 지역별 강우 특성에 따른 적합한 보정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의 수문해석에 있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강우 보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수문해석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형 도시하천의 식생 및 어류 다양성과 특성 평가 (An Assessment on Vegetation and Fish Diversity in Natural Urban Stream)

  • 김홍배;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64
    • /
    • 2006
  •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생태도시를 지향하면서 도시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시키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B시의 상동천을 대상으로 하여 인공하천으로 조성 한 후 식생 및 어류생태계의 모니터링과 어류의 습식에 의한 조류의 제거 특성을 평가하고 하천생태계의 복원과정과 조류의 제거로 인한 수질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초적인 하천생태계는 조성된 후 4년이 지난 시점에서 건전하게 재생 복원되고 있었으며, 식물상 및 식생군락은 모두 관속식물 문으로 44과 73속 79종 14변종으로 총 9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어류는 총 3과 8종 354개체로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에 내성이 강한 참붕어, 잉어, 붕어 등이 우점 하여 출현하였으며 상대풍부도를 비교할 시 참붕어가 50.5%, 잉어 21.2%, 붕어 20.9%, 버들매치 7.1%, 미구라지 0.3%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하천 특성상 조류의 이상 증식에 따른 어류의 식이물에 대한 분석 결과 조류를 잉어(Cyprinus Carpic)는 90%이상, 붕어(Carassius Auratus)는 30%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판명 되었다. 표본에 대한 개략적 분석에서 체장 약 34cm 개체의 잉어가 습중량 43.2g의 조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대형개체의 잉어가 조류의 제거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실험하천의 수목과 수생식물은 조성 당시에 임의로 식재되어 하천생태계의 식생 특성과 수질정화 효과를 크게 기대 할 수 없었으며 앞으로 자연형 하천은 조성 당시부터 생태하천공학적인 수질 및 수리 모델링에 의하여 설계한 후 조성이 이루어져야 수질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류생태계는 잉어를 비롯한 대형개체의 도입으로 인하여 고차 소비자의 생체량이 증가함으로서 먹이사슬의 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어류에 의한 조류제거는 일부 식이특성에 따라 습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큰 효과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