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nia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41초

아로니아 잎의 성숙도에 따른 항산화 물질 조성 및 항산화 능력 (Antioxidant composition and activity of aronia leaves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 양해조;박현정;윤형열;김영준;신영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3-138
    • /
    • 2021
  • 국내에서 재배한 A. melanocarpa 잎의 성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항산화 물질 조성 변화 및 항산화 능력과 같은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아로니아 잎의 성숙도별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melanocarpa 3품종의 잎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함량은 성숙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고, 항산화물질과 상관관계가 높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 블루베리는 잎과 열매 모두 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있으나, 아로니아의 경우는 식품의약안전처에서 고시한 식품원료목록 상 열매 부위만 등록되어 있는 실정이다. 아로니아 잎에는 chlorogenic acid와 catechol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아로니아 잎의 항산화 능력은 기타 베리류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아로니아 잎은 향후 가공 식품 이외에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Bioactive Compoun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ronia (Aronia melanocarpa ) Leaves Collec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 Thi, Nhuan Do;Hwang, Eu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204-212
    • /
    • 2014
  •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leaves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Young and old leaves were approximately 2 months of age and 4 months of age, respectively. The young leaves contained more polyphenols and flavonoids than the old leaves. Three phenolic compounds (i.e., chlorogenic acid, p-coumaric acid, and rutin) were detected by HPLC.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reducing power of aronia leaf extract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0{\sim}100{\mu}g/m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80% ethanol extract was greater than that of distilled water extract. The high phenolic compound content indicated that these compounds contribute to antioxidant activity.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aronia leaves contain bioactive compounds, and that younger aronia leaves may be more favorable for extracting antioxidative ingredients because they contain more polyphenols.

베리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Berries Ethanolic Extract)

  • 이화;정종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6
    • /
    • 2015
  • Edible berries are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acids, compounds that posses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other b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ive berries including acaiberry (Euterpe oleracea Mart.), Aronia/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black currant (Ribes nigrum L.), and cranberry (Vaccinium macrocarpon) were assessed. The Aronia G (prepared by GreenField s.c.)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s shown in total phenolic (138.81 mg CAE/g), flavonoid (3.68 mg QE/g), and anthocyanin (20.31 mg/g)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berries. It also showed the strongest scavenging activities such as DPPH (69.69 mg vitamin C/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57.79{\mu}mol$ trolox/g). Aronia G exhibited stro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553.98{\mu}mol$ vitamin C/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820.92{\mu}mol$ trolox/g). In addition, black currant and Aronia showed stronger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 than the other berri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ronia and other edible berries have notably high level of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y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식초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n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희전;정소희;윤해훈;정지혜;송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2-79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Alcohol content of aronia wine was 13.1% after alcohol fermentation of aronia frui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were determined by five levels of initial aronia alcohol content, initial acetic acid content, and acetic acid bacteria,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acetic acid yields, residual alcohol contents, pH, and color values (L, a, b) of acetic acid fermentation products were very significantly different ($p{\leq}0.01$), and were 26.34~57.82 g/L, 0.80~1.53%, 3.19~3.43, 47.58~71.00, 31.77~51.15, and 18.45~48.57, respectively. For the results, the optimal condition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aronia were 7.78% of the initial alcohol concentration, 1.58% of the initial acetic acid, and 19.39% of the acetic acid bacteria.

Sensory Attributes of Market Milk, Yogurt, and Kefir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Powder: A Preliminary Study

  • Kim, Se-Hyung;Chon, Jung-Whan;Song, Kwang-Young;Jeong, Dongkwan;Seo, Kun-H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08-114
    • /
    • 2019
  •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powder containing various bioactive compounds is widely used in the food industry. We examined the sensory attributes (taste,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market milk, yogurt, and Kefir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ronia melanocarpa powder. In market milk, the scores of all categories except color were the same or lower in market milk containing 0.5%, 1.0%, 1.5%, or 2% Aronia melanocarpa powder than the control group (0%).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color and flavor was observed between Kefir and yogurt.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As the content of Aronia melanocarpa powder increased,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generally decreased. Yogurt and Kefir, with the addition of 1% Aronia melanocarpa powder, displayed the highest scores.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 황은선;이예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20-12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즙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제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수분함량은 29.5~31.2%로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pH는 6.0~5.2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산도는 0.2~0.5%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당도는 아로니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5.3{\sim}5.6^{\circ}Brix$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과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양갱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와 황색도(b)는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아로니아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경도가 1.6배~2.6배까지 증가하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대조군 및 각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모든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radical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나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에서 맛, 색,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AJ 100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는 새로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이며 아로니아즙을 첨가하여 기능성 양갱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아로니아즙의 양은 AJ 100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ulgidduk Prepared by Addition of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 황영란;황은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52-4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분말의 함량을 달리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품질특성, 관능적 특성, 기능성 성분의 함량, 항산화 활성 및 미생물 생육 정도를 측정하여 아로니아 분말 첨가 설기떡의 최적 배합비를 선정하고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설기떡의 수분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인 조직감은 경도, 탄력성, 부착성, 응집성, 깨짐성은 대조구에 비해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탄성은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로니아 분말 첨가 설기떡의 색도는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은 낮아지고 a값은 증가하였다. 총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아로니아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도 아로니아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설기떡을 4일 동안 저장하면서 일반세균과 대장균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아로니아 함량이 높은 설기떡에서 이들 균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관능적인 특성은 아로니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맛, 향, 전반적인 선호도 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제품화 가능성은 긍정적이라 생각되며 아로니아 분말 첨가 설기떡의 제조시에는 쌀가루 대비 5%의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품질, 항산화활성, 미생물 생육억제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Aronia melanocarpa depending on drying methods)

  • 이슬;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18-1025
    • /
    • 2016
  •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물질을 비교하기 위해, 진공동결건조,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측정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와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은 각각 진공동결건조에서 0.72 mg/mL, 0.38 mg/mL로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6.19 g GAE/100 g, 3.10 g QE/100 g, 2.46 g TE/100 g으로 열풍건조와 냉풍건조보다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 시 생과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진공동결건조에서는 약 4.5배 증가하였다.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6.21 g CE/100 g>열풍건조 3.18 g CE/100 g>냉풍건조 2.60 g CE/100 g>생과 0.71 g CE/100 g 순으로 나타났다. Chlorogenic acid 함량 및 neochlorogenic aicd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180.08 mg/100 g, 125.09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실험결과, 진공동결건조가 아로니아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일 것으로 생각된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Juice added Yogurt Dressing)

  • 박기봉;권순용;문정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06-217
    • /
    • 2015
  • 본 연구는 아로니아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요구르트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해 아로니아즙을 각각 10~40%를 첨가하여 요구르트 드레싱을 제조한 다음,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드레싱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아로니아즙을 첨가할수록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등이 증가하고, Tartaric acid와 Lactic acid는 감소하였다. 점도는 대조군(4,296.67 cP)이 아로니아즙 첨가군(1,466.67~3,496.67 cP)보다 높게 나타났다. pH는 아로니아즙 10% 첨가군(3.83)이 다른 첨가군(3.59~3.74)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아로니아즙 10% 첨가군($5.17^{\circ}Brix$)이 다른 첨가군($2.47{\sim}3.47^{\circ}Brix$)보다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였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이 7.42%이었으며, 아로니아즙 첨가군이 26.30~69.86%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걸쭉한 정도, 맛, 입안에서의 느낌,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아로니아즙 2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로니아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 시 아로니아즙 첨가량은 20%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 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09-111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로니아는 유효성분으로 예상되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745.4{\pm}3.7\;mg/g$, $74.63{\pm}2.2\;mg/g$으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당히 낮은 농도($6.15{\pm}0.343\;ppm$, $6.99{\pm}1.26\;ppm$)에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47.07{\pm}0.15\;ppm$으로, EGCG의 $IC_{50}(15.83{\pm}0.98\;ppm)$보다는 높았지만 아로니아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여 다른 천연물들의 $IC_{50}$값과 비교하였을 때 5-LO를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1과 COX-2의 저해 비율 비교를 통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만큼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아로니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 관련 질병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