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tic alcohol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크릴반응향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데리야끼소스의 적용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Krill Reaction Flavor and Its Application to Teriyaki Sauce)

  • 김경묘;박현주;남민희;김선봉;전병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5-115
    • /
    • 2013
  • 본 연구는 크릴육으로 크릴반응향을 만들어 휘발성 향기 성분을 살펴보고 이를 데리야끼소스에 적용하여 데리야끼소스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반응향 제조에 크릴육을 이용하였고 이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Grilled-type과 Boiled-type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또한, 반응향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액 20 mL로 휘발성 성분을 포집하고 이것을 GC-MSD로 분리 동정하였다. 제조되어진 3가지 데리야끼소스를 10가지 항목인 삶은 야채향, 삶은 감자향, 삶은 새우향, 구운 새우향, 비린 향, 톡쏘는 향, 탄 향, 달콤한 향, 화학취, 진흙냄새와 좋아하는 정도에 대한 순서를 살펴보았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릴육의 Grilled-type에는 35개, Boiled-type에서는 33개의 휘발성 성분이 분리 동정되었다. Grilled-type에서는 황함유화합물, aliphatic compounds, alcohol류, ketone류, pyrazine류, other aromatic compounds의 순으로 휘발성 성분이 많았고, Boiled-type에서는 aldehydes, furans, other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의 순으로 휘발성 성분이 많았다. 데리야끼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boiled shrimp, roasted shrimp, sweet한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크릴을 이용하여 크릴반응향을 만들어 이를 적용한 데리야끼소스의 제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고구마 품종인 연미, 증미, 신천미, 신율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구마 소주의 향기성분의 특성 (Aromatic Ingredients and Distinct Flavors of the Koguma-Soju Produced from Korean Sweet Potato Varieties Yeonmi, Jeungmi, Shincheonmi, and Shinyeulmi)

  • 김명희;;;이형운;김원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55
    • /
    • 2015
  • Four varieties of the Korean sweet potato, Yeonmi, Jeungmi, Shincheonmi, and Shinyeulmi, were chosen to prepare the distilled koguma-soju (sweet potato-soju).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avor of the koguma-soju and the content of monoterpene alcohols (MTAs) was studied. The MTAs investigated here were linalool, nerol, geraniol, citronellol, and ${\alpha}$-terpineol. The ranges of MTA concentrations in the koguma-soju made from the four sweet potato varieties were $14.0-16.6{\mu}g/L$ for nerol, $24.8-34.7{\mu}g/L$ for linalool, $32.8-38.5{\mu}g/L$ for geraniol, $37.8-54.2{\mu}g/L$ for citronellol, and $76.6-94.7{\mu}g/L$ for ${\alpha}$-terpineol. Geraniol, nerol, and linalool were found in lower concentrations, while ${\alpha}$-terpineol was present in a high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ir average content in the imo-shochu, a distilled Japanese sweet potato-soju. The concentrations of citronellol in the koguma-soju and imo-shochu were similar. The flavor evaluation tests revealed that the koguma-soju produced from the Yeonmi variety had a leafy vegetable or a grass-like, sharp flavor, whereas the Jeungmi-soju was characterized by a fruity or a sulfur-like sharp taste. Floral, vanilla-like, and mild flavors were predominant in the Shincheonmi-soju, while the Shinyeulmi-soju had either a fruity, citrus-like flavor or a rubber-like, rough tast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koguma-soju made from different sweet potato varieties have unique characteristic flavors.

TOL 플라스미드 세균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ly Occuring Bacteria Carried TOL Plasmid)

  • Nam, Cho-Byung;Cho, In-Sun;Rhee, Young-Ha;Ryu, Jae-Keun;Min, Kyung-H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26
    • /
    • 1989
  • m-Toluate 최소배지에서 선택적 enrichment culture를 통하여 82개의 세균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ol들 중 두 균주는 Pseudomonas cepacia, 한 균주는 P. Putida, 한 균주는 Yersinia intermedia, 그리고 한 균주는 Flavobacterium odoratum으로 동정되었다. P. cepacia SUB37은 P. putida mt-2의 TOL 플라스미드와 비슷한 크기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Flavobacterium odoratum과 Yersinia intermedia는 이보다 더 큰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었다. P. cepacia SUB37은 strept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rifampicin에는 내성을 나타내었다. 플라스미드를 갖는 P. cepacia SUB37은 탄화수소를 해당 알콜과 알데히드를 거쳐서 benzoate와 toluate 로 분해하였다. 플라스미드 제거실험으로, P. Cepacia SUB37의 플라스미드에는 탄화수소 분해과정 중 toluene과 xylene을 benzoate, toluate로 분해하는 효소와, 계속하여 meta pathway를 거치는 단계의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들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P. cepacia SUB37은 생장이 왕성하였을 때 m-toluate를 거의 분해하였다.

  • PDF

낙동강 수질중 유기물질과 독성 (Organic Compounds in the Nak Dong River and Its Toxicity)

  • 류병호;심종환;최진택;조현철;정종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rganic compounds and its toxicity by Ames test and chromosomal aberration in the water of the Nak Dong River. Six sampling sites such as Goryung, Hagueun, Maelie, Duksan, Haedong and Myungiang were selected for these pur15oses. 200 l water samples were absorbed on XAD-2 resin columns (2.5X30cm), eluted with organic solvents mixture of acetone: cyclohexane and then dried under vacuum condition. The extracts from the XAD-2 resin was injected into GC/MS and 184 organ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aldehydes, aromatic compounds, ketones, phenols, hydrocarbons, alcohols, carboxylic acids, alkanes and some unknowns. The US EPA priority pollutants such as naphth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other pollutants, 1,2-diethyl benz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and cyclohexanol were detected in these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pollutants such as 1,2-diethyl benzene, nephthal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cyclohexanol were ranged into 1.228 $\mu$g/l, 298 $\mu$g/l, 30.191 $\mu$g/l, 1.147 $\mu$g/l and 2.839 $\mu$g/l, respectively. The mutagenic activity of XAD-2 extracts were tested o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A 100, TA 1535 and TA 1537 and then exhibited strong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Amon them, bis(2-ethylhexyl)phtalate and 1,2-diethyl benzene showed the most strongest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On the other hands, chromosomal aberration of XAD-2 extracts in the human blood cells were not occurred by the sampling water at Goryung, Hagueun, Maelie and Duksan, Chromosomal aberration were also not occurred by the each concentration of 0.05, 0.1 amd 0.3 mg/l of each 1,2-diethyl benzol, bis(2-ethylhexyl)phthalate, naphthalene, phenol, cyclohexanol and benzothiazol test solution.

  • PDF

GC Olfactometry를 이용한 새우의 휘발성성분 특성평가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 (GCO))

  • 이미정;이신조;조지은;정은주;김명찬;김경환;이양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3-957
    • /
    • 2002
  • 새우를 육과 껍질 부분을 분리하지 않는 것과 폐기되고 있는 껍질부분만을 모아 SDE 장치를 이용해서 휘발성 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각각 26개와 46개의 성분이 분리된 것을 알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의 양에서도 껍질 부분을 처리한 시료에서 훨씬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시료를 마쇄하는 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추출율을 살펴보면 SSW의 경우에는 눈에 띄게 휘발성 성분의 양이 늘어난 것을 알 수가 있었다.. GC-MSD로 분리.동정 한 결과, pyrazines이 9종, acids S종, aldehydes 3종, alcohol 4종, pyridines 2종로 나타났다. SSW를 AEDA법으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GCO를 통해 sniffing test를 실시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는 진한 새우 새우냄새가 지배적이었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한 기름 냄새가 났다. GC-FID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영역에서도 고소한 향이나 부드러운 향성분이 log$_3$ FD3이상의 높은 향 인지도를 나타내었다.

$NaBH_4-(C_6H_5O)_3$B계에 의한 몇가지 유기화합물의 환원법 (Reductions of Some Representative Organic Compounds with $NaBH_4-(C_6H_5O)_3B$ System)

  • 윤능민;조병태;유지욱;김근풍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4-440
    • /
    • 1983
  • 테트라히드로프란 용액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과 붕산트리페닐을 사용해서 카르복시산, 카르복시산염, 3차아미드 및 술폭시드를 환원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카르복시산은 실온에서 6~12시간에 정량적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지방족 카르복시산염은 실온에서 6시간에 정량적으로 환원되나 방향족 산염은 $65^{\circ}C$에서 24시간이 소요되었다. 3차 아미드는 실온에서 3~6시간에 88∼100%의 좋은 수율로 환원되었으며, 조사한 대부분의 술폭시드는 실온에서 1~6시간에 98∼100%의 수율로 환원되었으나, 디페닐술폭시드는 보다 격렬한 조건에서 48시간에 환원할 수 있었다.

  • PDF

염화알루미늄 존재하에서의 수소화붕소나트륨과 대표적 유기화합물과의 반응 (Reaction of Representative Organic Compounds with Sodium Borohydride in the Presence of Aluminum Chloride)

  • 윤능민;이호준;정진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5
    • /
    • 1973
  • 유기화합물의 선택환원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소화붕소나트륨과 염화알루미늄의 3:1 혼합물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서의 환원성을 규명하였다. 49개의 대표적 유기화합물을 골라 이시약과 실온에서 작용하여 대략의 반응속도와 정량관계를 알아보았다.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에서 염화알루미늄 1몰에 수소화붕소나트륨 3몰을 가하면 현탁용액이 생기는데 수소화붕소나트륨 보다는 훨씬 환원성이 강하다. 알데히드와 케톤은 한시간 이내에 빨리 환원되고 아실유도체는 서서히 그러나 카르복시산은 매우 느리게 환원되었다. 에스테르, 락톤, 에폭시드는 수소화붕소나트륨이나 보란보다 훨씬 빨리 환원되었다. 삼차 아미드는 서서히 환원되었으나 일차 아미드는 수소는 발생하지만 환원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벤조니트릴은 30분에 환원이 완결되었으나 카프로니트릴은 느리게 환원되었다. 니트로화합물, 이황화물, 술폰등은 이 시약과 반응하지 않으나 아조, 아족시, 옥심기는 서서히 반응하고 이소시안산페닐은 도중단계까지만 환원되었다 올레핀은 쉽게 수소화붕소화 반응을 하였다.

  • PDF

분석방법에 따른 시판 게향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Crab-like Flavorants by Analyzing Methods)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243-1249
    • /
    • 2006
  • 시판 수입 게향료 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PME법과 LLCE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동정된 86개의 휘발성 화합물 중 71개가 positive하게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함황화합물류 (13종), 알데히드류(3종), 케톤류(2종), 에스테르류(26종), 알콜류(5종), 방향족화합물류(3종), 테르펜류(8종), 산류(2종) 및 기타화합물류(9종)로 구성되었다. 인조 게향의 분석 및 동정에 있어서는 SPME법이 LLCE법에 비해 검출 감도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산류를 포함한 휘발성이 낮은 화합물들은 LLCE법에서만 검출되었다 제품 A-D의 특성에 따라 화합물의 조성에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인조 게향에서는 함황 및 함질소화합물류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epropyl disulfide, e(methylthio)propyl acetate, 3-(methylthio)propanal, 3-(methylthio)propanol, 2-methyl-3-(methylthio)pyrazine, 2-methyl-5-(methylthio)pyrazine)와 에스테르류 (styrallyl acetate,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benzyl acetate, ethyl pentanoate, butyl pentanoate, isoamyl pentanoate, furfuryl acetate) 등이 대표적인 물질로 추정되었다.

유기용매(有機溶媒)의 약해유발(藥害誘發) 농도(濃度)와 그 증상(症狀)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Organic Solvents Inducing Phytotoxicity and Their Symptoms)

  • 유주현;김진석;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55-264
    • /
    • 1989
  • 1) 밭상태 경엽처리에서 비등점이 높은 용매일수록 더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으며, 방향족 용매의 약해유발 최저농도가 가장 낮았다. 용매에 의한 약해에 가장 민감한 식물은 콩, 둔감한 식물은 상치였다. 2) 밭상태 발아전 토양처리에서는 비등점이 높은 용매만이 고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다. 3) 건답상례 경엽처리는 밭상태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용매의 비등점과 약해 유발최저농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발아전 처리에서는 밭상태보다 약해유발이 심하였다. 4) 논담수상태 시험에서는 발아전처리에서 약해 유발이 심하였으며 가장 약해가 심한 것은 알콜류로 ethanol은 0.001%에서도 약해를 유발하였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Pepper Mild Mottle Virus Infection by Supernatants of Five Bacterial Cultures in Capsicum annuum L.

  • Venkata Subba Reddy, Gangireddygari;In-Sook, Cho;Sena, Choi;Ju-Yeon, Y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646-655
    • /
    • 2022
  •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one of the most prevalent viruses in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L.) is a non-enveloped, rod-shaped, single-stranded positive-sense RNA virus classified in the genus Tobamovirus. The supernatants of five bacterial cultures (Pseudomonas putida [PP], Bacillus licheniformis [BLI], P. fluorescens [PF], Serratia marcescens [SER], and B. amyloliquifaciens [BA]) were analyzed to find novel antiviral agents to PMMoV in chili pepper. Foliar spraying with supernatants (1:1, v/v) obtained from Luria-Bertani broth cultures of PP, BLI, PF, SER, and BA inhibited PMMoV infection of chili pepper if applied before the PMMoV inoculation. Double-antibody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howed that treatments of five supernatants resulted in 51-66% reductions in PMMoV accumulation in the treated chili pepper. To identify key compounds in supernatants of PP, BLI, PF, SER, and BA, the supernatants were subjected to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24 different types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from the supernatants of PP, BLI, PF, SER, and BA. The compounds vary from supernatants of one bacterial culture to another which includes simple compounds-alkanes, ketones, alcohols, and an aromatic ring containing compounds. The compounds triggered the inhibitory effect on PMMoV propagation in chili pepper plants. In conclusion, the cultures could be used to further conduct tissue culture and field trial experiments as potential bio-control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