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active volatile compound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9초

아사이베리의 향기성분 특성 연구 (Aroma Characteristics of Acai Berry)

  • 임승희;남희섭;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2-127
    • /
    • 2016
  •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SAFE와 LLC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아사이베리에서 공통적으로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2-phenylethanol, (Z)-3-hexenol과 benzyl alcohol 등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8-hydroxy linalool과 maltol은 LLCE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알코올류가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아사이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고 생각된다.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 중 ${\beta}-damascenone$은 SAFE에서 $log_2FD=4$와 LLCE에서 $log_2FD=1$을 나타냈으며 장미향과 베리향 특성을 나타내어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에 기여하는 중요한 화합물이라 생각된다. 또한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과 2-phenylethanol 등이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 동정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Burnt Beef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Extrusion)

  • 김기원;서원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1-627
    • /
    • 2006
  •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휘발성 성분 및 aroma-active화합물을 SDE-GC-MS-O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VP에 ribose, cysteine, furaneol, thiamin, methionine, 마늘 분말 및 인지질 등의 전구문질을 넣고 최적 압출성형 조건인 $160^{\circ}C$, 스크루 속도 45 rpm 및 윈료공급 속도 38 kg/hr에서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모두 68개 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숫자는 furaneol을 빼고 압출성형 시킨 반응향과 HVP만 압출성형 시킨 시료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GC-O결과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27개의 aroma-active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al과 2-methyl-3-furanthiol이 가장 중요한 aroma-active화합물로 밝혀졌다. Furaneol이 구운 쇠고기 반응향 생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오만둥이 된장찌개의 Aroma-active 화합물 (Aroma-Active Compounds in Oman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 정은정;조우진;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4-418
    • /
    • 2008
  • Volatile compounds in Omang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were analyzed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gas chromatography/mass-selective detection/olfactometry (SAFE/GC/MSD/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The GC/O analysis detected 37 volatile compounds, of which 32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included 9 aldehydes, 5 alcohols, 4 aromatic hydrocarbons, 4 ketones, 3 esters, 3 N-containing compounds, 2 acids, 1 S-containing compound, and 1 furan. Nine aroma-active odorants ($\log_3FD{\geq}3.0$) in the sample included six compounds derived from Doenjang (3-methyl(thio)propanal, tetramethylpyrazine, 4-vinyl-2-methoxyphenol, 2-acetylpyrrole, butyric acid, and 2-methoxyphenol) and three compounds from Omangdungi (2-acetyl-2-thiazoline, 9-decanol, and 6-decenol). Three compounds derived from Omangdungi (9-decanol, 6-decenol, and 6-nonenol) were thought to enhance the seafood-like flavor of Omangdungi-Doenjang stew.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 서원호;김영권;장성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3
    • /
    • 2015
  •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 김지윤;박은영;김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4
    • /
    • 2006
  •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들을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62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7개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 8개의 terpenes, 5개의 esters, 8개의 acids, 15개의 alcohols, 2개의 nitriles, 2개의 ketones,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miscellaneous compounds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특히, acids인 acetic acid와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묵은 배추김치에서 향기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및 농축 후 향 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FD$)를 구하였으며, GC-MS 및 GC-Olfactometry(GC-O)법으로 휘발성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 묵은 배추김치에서 총 16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중 시큼한 냄새,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acetic acid, butanoic acid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acids외에 높은 (FD > 9)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linalool, 2-vinyl-4H-1,3-dithin 등이 있었다.

AEDA법에 의한 한국한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2. 시판 새우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2.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9-325
    • /
    • 1999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rean salt 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 tometry(V SDE/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A total of 32 volatile com 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18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S containing compounds(5), aldehydes(4), ketones(3), N containing compounds(3), ester(1), alcohol(1) and aromatic hydrocarbon(1).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4) in salt fermented shrimp were 2,3 butanedione(sour/butter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dimethyl trisulfide(cooked cabbage /soy sauce like) and 2 acetylthiazole(grainy/nutty). Predominant free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sour and umami taste), arginine, methionine(bitter) and lysine(sweet and bitter) in evaluation of taste value.

  • PDF

Volatile Compounds of Zanthoxylum piperitum A.P. DC.

  • Chung, Mi-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29-532
    • /
    • 2005
  •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 DC.) using steam distillatio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 Forty-six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12 hydrocarbons, 8 aldehydes, 5 esters, 12 alcohols, 4 ketones, 4 oxides and 1 acid,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hopi. Un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7.2% of the total peak area. Limonene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geranyl acetate, citronellal, cryptone and ${\beta}$-myrcene. In addition, aroma-active compounds, in particular citronellal and limonene, which are related to the citrus and Chopi flavors of Chopi essential oil, were detected. The aroma of Chopi essential oil had a score of 4.8 on the preference test (neither like nor dislike) and a score of 5.97 on the intensity test (slightly strong)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시판 밴댕이젓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Eyed Herring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3-1058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alt fermented big eyed herring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 A total of 44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23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aldehydes(7), esters(5), ketones(4),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 aromatic hydrocarbons(2), alcohol(1)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1). Predominant odorants (Log3FD$\geq$5) in sample were ethyl butanoate(bubble gum /sweet candy-like), 3 methylbutyl butanoate (almond /nutt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E,E) 2,6 nonadienal(roasted wheat/grainy), dimethyl trisulfide(soy sauce /cooked cabbage like), 2 acet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and unidentified compound(RI=1867, seaweed like).

  • PDF

AEDA법에 의한 한국산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1. 시판 멸치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a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1.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2-318
    • /
    • 1999
  • Volatile compounds in salt fermented anchovy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 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V SDE/ 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8) in sample were ethyl methylbutanoate(candy like/sweet) and 2 ethyl 3,5 dimeth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Besides these compounds, 6 odorants such as ethyl 3 methylbutanoate(sweet/floral/ candy like), 3 methylbutanal(dark chocolate like), (Z) 4 heptenal(rancid/fish like), (methylthio) propanal(soy sauce /baked potato like), (E,Z) 2,6 nonadienal(melon /cucumber like) and (E,E) 2,4 decadienal(fatty/cooked soybean like) were potent in odor value of salt fermented anchovy. Seven amino acids having high taste value in sample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sour and umami taste), lysine, alanine(sweet), histidine, valine, and methionine(bitter).

  • PDF

발효기간에 따른 감동젓무 김치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according to Fermentation Periods in Gamdongchotmoo Kimchi)

  • 윤미경;권미정;이상미;김지원;조미숙;이종미;김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97-502
    • /
    • 2008
  • 감동젓무 김치의 발효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들을 SAFE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GC-MS로 분석하였다. 총 57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14개의 S-containing compounds, 22개의 terpene hydrocarbons, 13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alcohols, 4개의 miscellaneous compon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동정된 휘발성 성분들 중 S-containing compound류와 terpene hydrocarbon류가 정량적으로 주요 성분들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dimethyldisulfide, methyl-2-propenyldisulfide, dimethyltrid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vinyl-[4H]-1,3-dithiin 등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에 따라서는 시료간에 정성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동젓무 김치의 향기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용매추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후 향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 FD)를 구하였다. 이 결과 감동젓무 김치에서 총 15종의 휘발성 향기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이 중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4-isothiocyanato-1-butene과 썩은 양파향을 주는 dimethyldisulfide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이들 성분 외에 높은 FD factor($Log_3$ FD>5)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2-vinyl-[4H]-1,3-dithiin($Log_3$ FD factor 5, spicy/garlic-like)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