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 compound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닥나무 열매( 저실자)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Volatile Aroma Components and Fatty acid in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윤숙자;변명우;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0-136
    • /
    • 1994
  • Voltaile aroma components and fatty acid in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were investigated .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41 volatile components . Forty one compounds , including 4 hydrocarbons(2.45), 7 aldehydes (20%), 3 ketones(1.0%), 7 terpenes(18.05), 8 acids (42%), 4 alcohols (4.2%) and 5 phenols (9.85) were identified. The content of crude lipid was 28.5% . Fatty acid composition were mainly consisted of linoleic (91.61%) and followed by oleic(3.525) , palmitic (3.40%), stearic (0.855) and linolenic acid(0.39%)

  • PDF

배전 및 원두 커피의 향기성분 (Studies on the Aroma Components of Roasted and Ground Coffee)

  • 백희준;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18
    • /
    • 1996
  • 국내외 시판되고 있는 roasted and ground 커피 20종에 대해서 맛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신맛이 강한 R & G 커피의 평균 pH는 5.02, TA는 3.98, 배전색도는 54.7이었으며, 신맛이 약한 R & G 커피의 평균 pH는 5.40, TA는 2.27, 배전색도는 34.6으로 향기성분중 2-methylfuran은 커피의 거친맛(harshness)과 관계하며 배전정도가 강할수록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므로 이들 관계는 측정치에서 산출된 회귀식 Y=4.45-0.06 X에 의해서 이 관계를 71.2%정도 설명할 수 있다.

  • PDF

산지별 마늘의 향기 항산화활성과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 정지영;우관식;황인국;윤향식;이연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637-1642
    • /
    • 2007
  • 생마늘과 열처리에 따른 마늘의 향기 특성과 향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한지형 마늘 3종(단양, 서산, 의성마늘)과 난지형 마늘 3종(남해, 남도, 대서마늘), 중국산 마늘에 대하여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방법으로 향기 성분을 추출하여 GC/MS로 동정하고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마늘의 주요 향기성분은 allyl methyl sulfid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2-ethylidene-1,3-dithiane, methyl-2-propen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및 2-vinyl- 4H-1,3-dithiin 등으로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및 di-2-propenyl trisulfide 등은 중국산 마늘보다 한지형 마늘이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열처리시 2-propanone, allyl mercaptan, methyl formic acid, 2-methyl butanal 2-methyl thiophene, methyl pyrazine, 2,2-dimethyl-1,3-dithiane 및 2-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새롭게 생성되었으며, allyl methyl sulfide, allyl alcohol 및 allyl sulfide 등의 분자량이 작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산지별 생마늘의 향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단양, 남해 및 중국산은 각각 20.07, 34.62 및 9.7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고, 열처리 후에는 각각 79.90, 93.59 및 77.26%로 증가하였다.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Natural Flavor Substances

  • Jun, Mi-Ra;Jeon, Woo-Sik;Ho, Chi-T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29-338
    • /
    • 2006
  • The study of health promoting and disease preventing compounds in food or by themselves, so called nutraceuticals or functional foods, has become a major field of research in food science. Natural flavor compounds are usually present in food, essential oils, spices, and herbs. These compounds can produce aroma, not only by themselves, but also in combination with other compounds. Today, however, greater interest is being paid to the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natural flavor substances rather than their flavoring properties. In fact, a number of naturally occurring flavor compounds that possess health promoting and disease preventing properti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identified. The beneficial properties of natural volatile flavor compounds as well as non-volatile substances in spices and herbs discussed in this review include antioxidant, anticarcinogenic, anti-inflammatory, and immune enhancing activities.

건조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혼합한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Aroma Characteristics of Dried Citrus Fruits-Blended Green Tea)

  • 전주연;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5
    • /
    • 2011
  •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밀감과 녹차를 1:1(w/w)로 혼합한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2종을 동정하였다.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limon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s의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유자와 녹차를 1:1(w/w)로 혼합한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3종을 동정하였다. 유자-녹차에는 건조유자의 향기성분 44종과 녹차의 향기성분 21종 및 공통으로 포함된 16종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유자의 향기성분으로는 건조밀감과 거의 유사하게 달콤한 과일향을 띄는 terpene hydrocarbon류인 limonene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Effects of cooking method and final core-temperature on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aroma volatiles of Hanwoo brisket

  • Utama, Dicky Tri;Baek, Ki Ho;Jeong, Hae Seong;Yoon, Seok Ki;Joo, Seon-Tea;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293-30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cooking method and final core temperature on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aroma volatiles,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aroma volatiles of Hanwoo brisket (deep pectoralis). Methods: Deep pectoralis muscles (8.65% of crude fat) were obtained from three Hanwoo steer carcasses with $1^+$ quality grade. Samples were either oven-roasted at $180^{\circ}C$ (dry heat) or cooked in boiling water (moist heat) to final core temperature of $70^{\circ}C$ (medium) or $77^{\circ}C$ (well-done). Results: Boiling method reduced more fat but retained more moisture than did the oven roasting method (p<0.001), thu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cooking loss. However, samples lost more weight as final core temperature increased (p<0.01). Further, total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p = 0.02) while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p = 0.03) as final core temperature increased. Regardless the method used for cooking, malondialdehyde (p<0.01) and free iron contents (p<0.001) were observed higher in samples cooked to $77^{\circ}C$. Oven roasting retained more inosinic acid, inosine and hypoxanthine in samples than did the boiling method (p<0.001), of which the concentration decreased as final core temperature increased except for hypoxanthine. Samples cooked to $77^{\circ}C$ using oven roasting method released more intense aroma than did the others and the aroma pattern was discriminated based on the intensity. Most of aldehydes and pyrazines were more abundant in oven-roasted samples than in boiled samples. Among identified volatiles, hexanal had the highest area unit in both boiled and oven-roasted samples, of which the abundance increased as the final core temperature increased. Conclusion: The boiling method extracted inosinic acid and rendered fat from beef brisket, whereas oven roasting intensified aroma derived from aldehydes and pyrazines and prevented the extreme loss of inosinic acid.

한국(韓國)의 11개(個) 주요(主要) 산지(産地)에서 채집(採集)한 송이(松栮)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leven Major Sites in Korea)

  • 조덕현;이경준;한심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90-497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향기성분을 구명하고, 주요송이산지간에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북의 봉화, 울진, 고령, 청도지역을, 경남의 창녕, 하동, 함양지역을, 강원도의 양양, 인제지역을, 충북의 괴산지역과 전북의 남원지역의 총 11개 송이산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향기성분은 dynamic headspace법을 이용하여 $40^{\circ}C$에서 질소로 purge(분주)한 후 휘발성 성분만을 포집하여 GC-MSD(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ic detector)로 동정하였다. 총 25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은 1-octen-3-ol 이었다. 송이 향기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왔던 methyl cinnamate는 어느 버섯에서도 검출되지 않아서 이 향기가 천연적인 휘발성 물질이 아님을 입증하였다. 봉화의 송이는 총 향기성분이 다른 산지보다 2배에서 18배까지 많았으며, 주성분은 3-methyl 1-butanol 이었다. 향기의 총량은 봉화, 청도, 인제, 함양, 울진, 양양 순으로 감소하였다. 향기성분의 총량, 향기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서 11개 산지를 다음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봉화형은 향기의 총량이 월등히 많고, 3-methyl 1-butanol이 주성분이며, 다른 성분도 골고루 높다. 2)함양형(청도, 양양, 인제 포함)은 1-octen-3-ol이 전체의 2/3 가량을 차지하며, 두 번째 주성분은 3-methyl butanal 이다. 3)울진형은 1-octen-3-ol이 94% 이상을 차지하며, 다른 성분은 거의 없다. 4)괴산형(고령, 남원, 창녕, 하동 포함)은 향기의 총량이 다른 형보다 적다.

  • PDF

LC-MS/MS를 이용한 담배 중 Amadori Compounds의 분석 (Analysis of Amadori Compounds in Tobacco Leaf by LC-MS/MS)

  • 민혜정;김영회;이정민;장기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7
    • /
    • 2011
  • Amadori compounds(1-deoxy-1-amino-2-ketoses) are important precursors of color, flavor and aroma produced in foods. Amadori compounds occur naturally in tobacco. The contribution of amadori compounds to smoke quality has been (of) interest because of their roles of the Maillard reaction in the leaf chemistry. The amounts of these compound in tobacco are affected by the processes of aging, drying and storage conditions. In this study, eight compounds were chemically synthesized because amadori compounds (have not been sold commercially these days.) were not available for obtaining commerci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alytical method of amadori compounds in tobacco leaf by the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using triple quadrupole analyzer(LC-MS/MS). This method was simple,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and eight amadori compounds were simultaneous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within 20 minutes. This method showed excellent accuracy and precision. Recovery rates of amadori compounds ranged from 86% to 102%,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RSD) ranged from 2.6% to 5.9%. This method was applied to analysis of amadori compounds contents of tobacco leaves in different varieties. Furthermore, it was expected that the method could be extended to the analysis of other amadori compounds.

인스턴트커피에 커피크리머, 탈지분유, 설탕의 첨가가 휘발성향기성분과 맛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Coffee Creamer, Dried Skim Milk and Sugar on the Volatile Aroma Compound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in Instant Coffee)

  • 민지숙;권혜민;박승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7-144
    • /
    • 2015
  • 인스턴트커피는 보통 커피크리머 또는 탈지분유와 설탕을 섞어서 커피믹스라는 불리는 형태로 사용된다. 커피믹스의 맛은 커피에 혼합하는 성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피믹스의 제조 시에 혼합하는 성분이 커피의 향기와 맛에 미치는 영향을 GC-HS-SPME로써 분석하고, 맛을 평가하는데 있었다. 8종의 시판 커피믹스와 각각에 사용된 블랙커피 8종을 제조회사로부터 제공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커피믹스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혼합 성분인 커피크리머나 탈지분유 등 커피 whitener 는 자체의 향기는 매우 약해서 향기성분의 정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이들을 블랙커피에 넣었을 때에는, 블랙커피일 때와 비교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두 가지 종류의 커피 whiteners에서 확인하였으나 탈지분유보다는 지방이 많고 점성이 높은 커피크리머에서 더 잘 보여주었다.

GC-olfactometry를 이용한 돼지간의 비린내불쾌취 성분 연구 (Study on Fishy Off-flavor in Porcine Liver by GC-O)

  • 임성임;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53-358
    • /
    • 2003
  • 지금까지 거의 보고되지 않은 동물간의 비린내 불쾌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속수증기증류에 의해 얻어진 가열돼지간의 휘발성 농축물중에 포함된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여, 가열에 의해서도 없어지지 않고 잔존하는 비린내물쾌취를 검토하였다. 또한, GC 분석시, GC-O를 이용하여 각 휘발성화합물의 냄새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간은 가열하는 것에 의해 특이적인 비린내불쾌취가 소실되지 않으며, 여전히 잔존함이 확인되었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비린내를 갖는 (E,E)-2,4-heptadienal(fishy) 및 금속취를 갖는 1-octen-3-one, hexanol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열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E)-2-nonenal(cardboard-like), (Z)-4-decenal(cardboard-like), (E,E)-2,4-decadienal(deep-fried) 등 낮은 한계값을 갖는 aldehyde 류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40종류의 성분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가열 돼지간의 휘발성성분으로 동정되었다. 1-Octen-3-one, hexanol, (E)-2-nonenal, (Z)-4-decenal, (E,E)-2,4-heptadienal 등은 특징적인 냄새를 나타내며, 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있어 중요한 화합물로 사료된다. 이들 alkanal, alkenal 및 alkanone류는 돼지간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반응생성물로, 그 일부는 가열처리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