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k shell shell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식단의 식품배합을 통한 단백질의 질적상승효과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Protein Quality by Food Combinations in Korean Diet)

  • 김성애;이양자;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262-272
    • /
    • 1984
  • A study on the balance of essential amino acids in Korean diet and further investigation on quality of protein through optimum combination of foods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based on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optimum gross combin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s of the Korean diet was found to be methionine and cysteine based on both whole egg and FAO/WHO (1973) provisional score patterns. 2)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beef, chicken, pork, rabbit meat are 7 : 3, 4 : 1, 4 : 1, and 3 : 1. The amino acid score and the least amino acid are 100(phe+tyr), 99(thr), 111(trp), and 109(leu) for each combin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pork and rabbit meat can be high quality protein sources for the rice eating people. 3) Weight ratios between rice and anchovy, saury, ark shell, pollack, cuttle fish, tuna and herring are 2 : 1, 5 : 1, 3 : 2, 3 : 1, 3 : 1, 4 : 1, and 3 : 1. 4) Weight ratios between potato and rice, wheat flour are 8 : 1 and 24 : 1. Lysine, the limiting amino acid of rice and wheat flour can be complemented by combining these with potato. 5)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idea on typical Korean dishes. For example, in case of soybean-sprout rice the optimum combinations of rice : soybean-sprout : pork and rice : soybean-sprout : beef are 4 : 1 : 1 and 11 : 1 : 5.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ursue further more desirable combinations with more complex food items and transform the result obtained by the computer analysis into more practical terms for practical use.

  • PDF

영일만 형망어업 어획물의 종조성 및 분포 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roperty of dredge fishery in Yeongil Bay, Korea)

  • 홍성익;배재현;박창두;박종명;윤병선;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1호
    • /
    • pp.48-55
    • /
    • 2016
  •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catches by dredge gear in the Yeongil Bay, Korea were investigated on a seasonal basis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5. Total catches consisted of 44 species and 35 families. They were 13 species of fish, 10 species of crustacea, 5 species of echinodermata, 5 species of gastropoda, 4 species of cephalopoda and 3 species of bivalvia. Major catch species was shellfish and had seasonal variations in catch. In spring and winter, the catch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was increased. Adversely, the catch of admas venus clam (Callithaca adamsi) increased in sunmmer and autumn. Species diversity indices was high as the value of 1.99 in spring, and low to the value of 0.34 in summer. In addition, multi dimentional scaling (MDS) indices also was high in spring as the value of 1.99. In summer, the index was low as the value of 0.34.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species data was transformed by fourth root. With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and MDS analysis, specie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as Group A consists of winter and spring species and another was Group B made of species in summer and winter.

한국연안의 Vibrio vulnificus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Vibrio vulnificus the Coast of South Korea)

  • 김영만;신일식;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1-600
    • /
    • 1987
  • 1986년 3월부터 10월 사이에 부산지역을 비롯하여 포항, 충무, 여수, 군산 및 시화만에서 해수 138개 해산물척추동물 102개 시료를 채식하여 시료별, 지역별로 V. vulnificus 분포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수 138개 시료 중 31개에서 V. vulnificus가 검출되어 약 $22.5\%$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외항수보다 내항수에서 검출율이 높았다. 2. 해산물척추동물 102개 시료중 16개중 V. vulnificus가 검출되어 $15.7\%$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게와 피조개에서 그 검출율이 높았다. 3. 시기별로 수온이 높은 8월에서 10월 사이에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9기이 $40\%$의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4. 지역별로는 염분농도가 낮은 서해안의 군산이 검출율이 가장 높았으며 남해안에서는 부산지역의 광안리와 해운대에서 검출율이 높았다.

  • PDF

Genetic Variations of Three Tegillarca granosa Populations Investigated by PCR Technique

  • Yoon, Jong-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1
    • /
    • 2016
  • The selected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BION-32, BION-33, BION-35, BION-38, BION-40, BION-46 and BION-58 generated the shared loci, specific loci,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and shared loci by the three T. granosa populations in Beolgyo, a Chinese site and Wonsan, respectively. The bandsharing value between individuals' no. 03 and no. 04 was 0.816, which was the highest value identified within the Beolgyo population. The primer BION-35 generated the most loci (a total of 70), with an average of 10.0 in the Wonsan population. On average,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generated 16.1 specific loci in the Beolgyo population, 22.3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39.3 in the Wonsan population. 126 unique shared loci to each population, with an average of 18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Beolgyo population, 63 loci, with an average of 9 per primer, were observed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49 loci, with an average of 7 per primer, and were observed in the Wonsan population. The oligonucleotides primer BION-32 generated 14 unique loci to each population, which were identifying each population in the Beolgyo population. Interestingly, every primer had not distinguished the shared loci by the three populations, major and/or minor fragments of sizes, which were identical in almost all of the samples. As regards average bandsharing value (BS) results, individuals from Beolgyo population ($0.717{\pm}0.057$) exhibited higher BS values than did those from Wonsan population ($0.552{\pm}0.104$) (P < 0.05). The dendrogram resulted from truthful seven oligonucleotides primers, representing three genetic clusters comprising group I (BEOLGYO 01, 02, 03, 04, 05, 06 and 07), group II (CHINESE 08, 09, 10, 11, 12, 13 and 14) and group III (WONSAN 15, 16, 17, 18, 19, 20 and 21). In three T. granosa populations,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0.874)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also between individual no. 02 within the Beolgyo population and individual no. 12 within the Chinese population. Relatively, individuals of the CHINESE population were fairly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WONSAN population.

곰소만에 있어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의 출현에 관하여 (Epizootiology of Perkinsus sp. Found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Komsoe Bay, Korea)

  • 박경일;최광식;최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09
    • /
    • 1999
  • 이 연구를 통하여 바지락 대량 폐사가 발생한 전라북도 곰소만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 바지락, R. philipinarium, 굴 C. gigas, 피조개, S. broughtonii, 피뿔고둥, R. venosa, 등을 대상으로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 감염 여부 및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바지락포자충의 감염 진단은 Ray(1952)의 방법에 따라 혐기성배양액인 FTM(Fluid Thioglycollate Media)을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Rugol's iodine으로 염색한 후 해부현미경 하에서 검사하였다. 바지락포자충의 감염 정도는 Mackin (1961)의 기준을 따랐으며 일부 시료는 Choi et al. (1989)의 정량적인 방법에 따라 NaOH로 처리한 후 혈구 계수기로 계수하였다. FTM 분석 결과 곰소만에서 채집된 모든 바지락 개체들은 바지락포자충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나 감염율 (prevalence)은 $100\%$였다. Mackin의 기준에 따른 감염 정도 판정에서 평균 2.87로 나타나 중간 정도의 감염 정도를 나타냈다. 바지락 육중량 1g 당 바지락포자충의 개체수는 평균 709,028 개체였으며, 바지락 1개체당 최고 4,091,667 개체의 바지락포자충이 발견되었다. 곰소만에서 채집된 패류를 대상으로한 FTM 검사 결과, 굴에서는 바지락 포자충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새로막과 피뿔고둥에 대한 조사에서는 피조개 2 개체에서만 각 각 6, 10 개의 바지락 포자충이 발견되었고 피뿔고둥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관찰결과 바지락 아가미의 연결조직에서 무정형의 결절에 쌓여있는 직경 $6\~10\;\mu$m의 tropozoites를 발견하였다. 바지락의 비만도는 개체의 각장이 클수록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바지락 포자충의 감염정도는 각장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바지락포자충은 개체에서 개체로 감염되는 관계로 바지락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그 전염 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대량폐사의 원인 중 하나는 밀식으로 판단되었다.

  • PDF

고감도 HPLC에 의한 시판 중인 패류 및 멍게의 마비성 패류독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by Highly Sensitive HPLC from Commercial Shellfishes and Sea Squirts)

  • 장준호;김병윤;이종백;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15-923
    • /
    • 2005
  • 패류의 안전성 확보와 국가 독성 감시 페계 확립을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울산, 포항, 마산 ,통영, 거제, 사천 등 총 9개 도시에서 유통 중인 패류 및 그 가공품, 수입 패류와 그 가공품 등 총 36종 850점을 2004년 3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10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4월과5월은 2회),수입산과 가공품은 5월, 7월, 9월에 각 1회씩 수거하여 독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패류에는 조사를 시작한 3월부터 마비성 패류 독소가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며 ,독소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양식장에서 진주담치의 채취가 금지된 4월 셋째 주에는 $72.9\%$의 독 검출율을 나타내어(70개의 시료 중 51개의 패류에서 독소검출)가장 높았고, 이 후 급감하여 5월 셋째 주에는 $3.7\%$이 었으며 ,6월과 7월에는 산발적으로 독소가 검출되었고, 8월 이후는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독성은 모두 기준치 (4 MU/g) 이하로, 마우스 검사로 독성이 검출된 것은 4월 마산의 굴(1.9 MU/g)과 사천의 진주담치(1.8MU/g),그리고5월 첫째 주 사천의 개 조개(2.1 MU/g) 뿐이며 , 나머지 시료는 1 MU/g 이하로 모든 시료가 식위생상 안전하였다. 그러나 원산지가 확실하지 않은 수입산 가리비와 피조개의 일부에서는 5월, 9월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료가 있었으며, 국내산에서 검출되지 않는 7월, 9월에도 독성이 검출되고 있어 철저한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패류 가공품은 마른 진주 담치에서 흔적 정도(0.01 MU/g이하)만 검출되고 나머지는 모두 무독이었다.

가막만 양식장과 자연 서식지에서의 대형저서다모류 군집구조 차이 (Differences in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ic Polychaetes from Farming Grounds and Natural Habitats in Gamak Bay)

  • 장소윤;신현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7-309
    • /
    • 2016
  • 본 연구는 가막만에 위치하는 양식장과 자연 서식지(비양식장해역)에서의 저서환경과 저서다모류군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연 서식지에서의 조사 정점은 가막만 전 해역에 고르게 분포시켰으며, 양식장 해역은 가막만의 대표적인 양식장인 담치양식장, 굴양식장, 피조개양식장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연 서식지 해역과 양식장해역의 퇴적상은 대부분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평균 유기물함량은 자연 서식지에 비해 양식장해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양식장해역보다 자연 서식지 해역에서 저서다모류군집의 출현종수와 평균서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우점종은 양식장과 자연 서식지 모두 잠재적 유기물오염지표종인 Lumbrineris longifolia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주요 우점종은 지역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집괴분석 및 nMDS를 이용한 군집구조 분석 결과 지연 서식지 해역은 지역적으로 그룹이 나뉘었으나, 양식장해역의 경우 북서 내만역의 무생물정점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정점이 한 그룹으로 묶였다. 또한 상관분석 및 PCA 분석 결과, 자연서식지의 경우 퇴적환경과 저서다모류군집간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양식장의 경우에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가막만 양식장해역에 형성되어 있는 저서다모류군집은 다량의 유기물 유입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건 하에 놓여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막만은 생물상이 극히 빈약한 북서내만역과 함께 양식장해역 역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어패육에서의 Vibrio vulnificus의 증식에 관한 연구 (The Growth of Vibrio vulnificus in Meat Homogenates of Fish and Shellfish)

  • 김영만;허성호;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0-84
    • /
    • 1988
  • 방어, 참돔, 피조개, 굴 4종의 어패육에 V. vulnificus M-8을 접종하여 저장온도와 시간에 따른 균수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V. vulnificus의 저온저항성은 $-20^{\circ}C$$1.5\%$ 식염-인산완충희석수에서는 32시간에 거의 사멸하였으며, 방어육 균질액에서는 인산완충희석수에서 보다 감소가 완만하였고 72시간 이후에도 균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4^{\circ}C$ 저장에서도 균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이 균의 저온저항성은 약하지만 단시간 냉동 및 냉장에 의한 균의 사멸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어패육에 접종하여 $30^{\circ}C$에 저장한 시료중의 V. vulnificus의 증식은 일반적으로 16시간만에 최대균수에 달하였으나 피조개의 경우는 12시간으로 약간 빨랐으며 특히 방어육에 있어서는 초기에 감소하는 특징과 더불어 균의 증식속도가 완만하였다. 그리고 가열처리육보다 생육에서의 균의 증식이 빠르게 나타났다.

  • PDF

어패류 및 종에 내재되어 있는 ${\beta}-Galactosidase$의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Endogeneous Activities of ${\beta}-Galactosidase$-like Enzyme in Several Finfishes and Shellfishes)

  • 김대희;정창화;남윤권;민광식;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5-452
    • /
    • 1996
  • 어류 및 폐류내에 내재하는 내재성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를 분석함으로서 외래유전자의 이식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어류 6종 및 패류 4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행하였다. 어류에 있어서의 X-gal 염색 결과 혈청 및 근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모두 positive ( + ) 염색 양상을 보였다. 패류에 있어서도 어류와 같은 양상을 보여 근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모두 positive 염색 양상을 보였으며 더욱이 참굴에 있어서는 폐각근 및 근육에 있어 매우 진한 염색 반응을 보였다. 근육으로 부터 DNA를 추출한 후 PCR을 수행한 결과 모든 종에서 positive (+)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어패류간 그리고 각 개체간 차이는 없었다. 각 장기별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 측정결과 모든 종에 있어서 혈청의 활성도는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고, 근육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미꾸라지와 잉어에서는 신장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틸라피아는 소화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해산어인 넙치의 경우 돌가지미, 문치가자미의 경우에 비해 간에서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돌가자미 및 문치가자미인 경우 신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패류에 있어서는 소화맹낭에서 가장 높은 활성값을 나타내었고 폐각근 및 외투막에서 매우 낮은 활성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참굴에 있어서는 참전복, 피조개 및 진주조개 보다는 상대적으로 폐각근 및 외투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설사성 패류독의 LC-MS/MS에 의한 분석 (Detection of Diarrhetic Shellfish Poisons by LC-MS/MS)

  • 윤소미;장준호;신일식;이종옥;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926-931
    • /
    • 2007
  • LC-MS/MS법에 의하여 설사성 패류독소 7종(okadaic acid, dinophysistoxin-1, -3, pectebotoxin-1, -2, -6, yessotoxin)의 동시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고, 2006년 3월부터 9월까지 매월 5종의 이매패(굴, 진주담치, 반지락, 가리비, 개조개, 6월부터 9월까지는 가리비 대신 피조개)를 정기적으로 통영시장에서 구입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마우스 검사법과 비교하였다. 마우스 검사법으로는 총 35종 시료 중 3월의 굴과 진주담치에서 0.05${\sim}$0.1 MU/g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이미 알려진 설사성 패류독소는 전혀 검출되지 않아 다른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LC-MS/MS법에 의하여서는 6월 진주담치에서 dinophysistoxin-1(DTX1)이 0.05 ${\mu}g/g$ 검출되었으며, 8월의 모든 시료에서 okadaic acid(OA)가 0.01${\sim}$0.02 ${\mu}g/g$ 검출되었다. 이들은 외국의 기준치[0.05 MU/g(일본), OAs(OA+DTX1) 0.16 ${\mu}g/g$(EU)]보다 매우 낮은 함량으로 식품 위생상 안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