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ve network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디지털 사진행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협업적 자기민속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How to Understand the Digital Photography -A Cooperative Autoethnographic Study)

  • 김지영;주형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7권
    • /
    • pp.62-87
    • /
    • 2014
  • 이 연구는 현재의 디지털기술과 연결된 사진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협업적 연구이며 동시에 자기민속지학 방법을 이용해 연구의 자기 치료적 효과와 지식의 권력관계를 엿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두 연구자는 디지털 카메라, SNS,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하는 사진행위가 갖는 의미를 개인의 정체성 구성, 개인적 삶의 다큐멘터리 만들기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그 결과, 디지털 사진을 다큐멘트가 아닌 아카이브로 볼 수 있으며 디지털 사진행위를 ANT의 관점에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네트워크 형성과 변화의 과정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 PDF

모두를 위한 플랫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소셜미디어 플랫폼 기반 일상 아카이브 설계 (Archival Platform for Everyone : Archival Design with Social Media Platform Based on User Experience Design)

  • 양인호
    • 기록학연구
    • /
    • 제66호
    • /
    • pp.157-201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기록의 전통적인 수집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일상기록의 수집과 소통의 방안으로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셜 아카이브'를 제안하였다. 소셜 아카이브는 다양한 사람이 모여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광장'을 지향한다. '기록'을 매개체로 일상을 기록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기초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자와 연구자, 연구자와 생산자 등 다양한 이용자 간의 소통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일상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창의적인 방법론',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연구자를 위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유지방안'으로 정리하고,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중심으로 소셜 아카이브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의 가능성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보면서 소셜 아카이브의 일부 기능을 설계하고, UX 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보존서고 분석에 기초한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Repository Librar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servation Library at the Chungcheongnam-do Public Library)

  • 곽승진;노영희;강은영;김정택;곽우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1-2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공공도서관 보존서고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한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의 협력체계 및 이용서비스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보존자료관의 협력 방안 구축과 서비스 제공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현재 충남도내 공공도서관 62개관의 장서 현황과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보존서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보존자료관 운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은 참여주체간의 협정 또는 협의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와 더불어 공동보존자료관의 운영 또한 참여 주체간의 체계적 협력체계 하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충남도서관 공동보존자료관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협의체(협력네트워크)인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관기준 등 공동보존자료관 운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은 공동보존자료관 운영위원회의 협의를 통해 규정화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Data Archive Project of 44-year Full Disk CaII K Images at Kyoto University

  • Kitai, Reizaburo;Uenoi, Satoru;Asai, Ayumi;Isobe, Hiroaki;Hayashi, Hiroo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90.2-90.2
    • /
    • 2011
  • At Kyoto University, a continuous solar full-disk observation in CaII K line had been done during 44 years of 1926 - 1969. The observation was done with a Askania spectroheliograph on daily base. The images were taken on photographic plates. We started a project to archive these image data into a digital database which will be open to the public for scientific researches. One of the scientific usage of the database is to study the long term variation of the solar chromospheres. Since the area of CaII K plage area is a measure of solar chromospheric heating, we can do comparative study of the sunspot cycle and the chromospheric heating cycle of the sun. Another interesting field of scientific utilization of the database is the long term variation of the heating of terrestrial upper atmosphere. As was shown by Yokoyama, Masuda and Sato (2005), the area of the CaII K plage is a good proxy measure of solar EUV irradiation onto the upper atmosphere of the earth. Thus the completion of our database will serve to supply a basic and long-span data for upper atmospheric heating issues by the cooperative study with the Inter-university Upper atmosphere Global Observation NETwork (IUGONET) developed in Japan.

  • PDF

초고속 대용량 자료저장 시스템(Petascale Epoch Data Archive, PEDA)의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용 시험

  • 박선엽;강용우;노덕규;오세진;염재환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25.2-25.2
    • /
    • 2009
  •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우주전파관측망(Korean VLBI Network, KVN)에서 도입하여 시험운용중인 VLBI 상관서브시스템(VLBI Correlation Subsystem, VCS)은 한일공동 VLBI 상관기(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의 핵심 장비로서, 최대 16 관측국의 관측국 당 최대 8Gbps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관처리장치이다. VCS의 상관처리 결과는 총 4회선의 10GbE 광케이블을 통하여 UDP 프로토콜로 출력된다. 이 상관처리 결과는 광케이블 하나당 8개씩 총 32개의 상관 처리 블록(correlation block)으로 구성되며, 최대 출력속도는 1.4 GBytes/sec이다. 이 출력은 초고속 대용량 자료저장 시스템(Peta-scale Epoch Data Archive, PEDA)을 이용하여 저장하고 후속 자료처리를 위해 가공된다. PEDA는 총 4대의 고성능 자료 전송 및 저장 서버(writing server) 및 대용량 하드디스크 어레이로 구성된다. 상관처리 과정에 맞추어 PEDA의 writing 서버를 연계하여 제어하는 자료 전송 및 저장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핵심이 되는 전송 및 저장 프로세서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서로 구성된다. 전송 및 저장 프로세서는 개개의 상관 처리 블록에 대한 전송과 저장을 전담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총 32개의 상관 처리 블록을 처리하기 위하여 전송 및 저장 프로세스를 32개를 실행하고 각각의 상관 처리 블록에 해당하는 개별파라미터를 전달하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 자료전송 및 저장 제어 소프트웨어의 설계 구성과 테스트 내용을 소개한다.

  • PDF

심리스 핸드오버를 위한 L2 이벤트 제안 (Proposal of layer 2 event for seamless handover)

  • 장종민;김동일;이유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85-588
    • /
    • 2007
  • 엑세스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점점 더 다양한 엑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엑세스 기술들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상황에 따른 적시 핸드오버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속 및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1, 2 계층과 3, 4 계층을 분리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할 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IEEE 802.21 WG 이나 IRTF의 MobOpts (IP Mobility Optimizations) 연구그룹에서는 여러 계층이 통신하고 협력하여 핸드오버를 할 수 있도록 이벤트 기반 통신을 통한 핸드오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의 핸드오버를 위하여 요구되는 L2 계층의 메시지의 종류와 속성에 대해서 제안한다.

  • PDF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The Process of Archiving Sewol Accident and its Meaning)

  • 안병우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217-241
    • /
    • 2015
  • 세월호 사건은 해난사고가 극심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며 정치사회적 사건으로 비화된 경우이며, 사건의 전개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생산되는 기록을 살펴보았다. 기록화는 안산의 시민들이 구성한 세월호참사시민기록위원회와 기록관리단체와 전문가들이 결성한 세월호시민아카이브네트워크가 시작하였으며, 두 단체는 가족대책위원회 산하로 통합되어 416기억저장소를 구성하였다. 세월호 사건 기록은 증거성과 역사성을 갖는 사회적 역사적 기록이며, 수집과 동시에 활용하고 기록전문가들이 기록을 생산하며 생산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없는 특성을 갖고 있다. 사건 기록화는 공공기록과는 다른 내용의 기록을 수집하여 사건을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하며, 동시대의 기록화, 사회참여운동기록화, 지역사회 기록화의 성격을 갖는다. 세월호 기록은 진상 파악 뿐 아니라 공동체 재건과 치유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사건기록화에서는 기록화 여부의 판단과 예비조사가 필요하며, 기록화를 위해서 필요한 조직을 느슨한 형태로 구성하고 교육에도 사건기록화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사건 기록화는 기록관리의 중립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며, 그런 의미에서 성숙한 민주주의를 기록학 측면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연구소프트웨어의 공유, 재사용 및 인용과 관련된 현재 관행의 의미 (The Implications of Current Practices Relating to the Sharing, Reuse, and Citation of Research Software for the Future of Research)

  • 박형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5-8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구소프트웨어의 공유, 재사용, 인용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연구소프트웨어는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연구소프트웨어의 인용이 일반적인 관행이 아니거나, 적어도 데이터인용색인(DCI)이 연구소프트웨어의 인용과 재사용을 제대로 인덱싱하지 못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소프트웨어인용은 주요 레포지토리(prominent repositories)에서 발견되었다. 소프트웨어인용이 많은 레포지토리는 CRAN(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과 Zenodo였다. 연구소프트웨어가 재사용되는 경우, 비공식 소프트웨어인용(informal software citation)과 공식 소프트웨어인용(formal software citation)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비공식 소프트웨어인용은 연구소프트웨어가 논문의 본문에서는 언급되지만 참고문헌에는 없는 경우였고, 공식 소프트웨어인용은 참고문헌에도 있는 경우였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연구소프트웨어의 자기 인용(self-citation) 현황을 설명했다.

Data Clustering Using Hybrid Neural Network

  • Guan, Donghai;Gavrilov, Andrey;Yuan, Weiwei;Lee, Sung-Young;Lee, Young-Koo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57-458
    • /
    • 2007
  • Clustering plays an indispensable role for data analysis. Many clustering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of them suffer poor performance of learning. To archive good clustering performance, we develop a hybrid neural network model. It is the combination of Multi-Layer Perceptron (MLP) and Adaptive Resonance Theory 2 (ART2). It inherits two distinct advantages of stability and plasticity from ART2. Meanwhile, by combining the merits of MLP, it improves the performance for clustering.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our model can be used for clustering with promising performance.

  • PDF

한반도 일원에서 발생한 Event 특성 (Characteristics of local events occure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2002)

  • 전정수;제일영;지헌철;박윤경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12-15
    • /
    • 2003
  •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KIGAM) is operating Wonju Korea Seismic Research Station(KSRS), 29 regional seismic research stations and 5 Korea-China joint seismic stations in China. Also KIGAM is operating Korea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KEMS) to archive the real-time data stream and to determine event parameters (epicenter, origin time, and magnitude) by the automatic processing and analyst review. To do this, KEMS used KIGAM's regional seismic network and other institute's network in a near real-time base. From Dec. 1, 2001 to Nov. 30, 2002, 3,827 seismic events were analyzed in a automatic processing procedure and finally 3,437 events were analyzed by analyst and archived. But problem is this event catalog includes not only natural earthquake, but also artificial events produced by the blast. More than 80 % events were concentrated in daytime and many ev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confirmed blast sites, Pyeongyang, Pocheon, Yeongjong-do, Donghae city, etc. Because these artificial events are a major potential cause of error when estimating the seismicity of a specific region, discrimination procedure has to be developed in the first pl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