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Archiving Sewol Accident and its Meaning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 Received : 2015.03.17
  • Accepted : 2015.04.17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has not only induced an intense conflict in Korean society but also been developed into a sociopolitical issue. This paper divides this accident into five stages and examines the records produced at each stage. The Sewolho Citizen Archive Network and the Ansan Citizen Record Committee began the archiving of Sewol and created the 416 Archives. The records of Sewol are social and political records that hold envidencial and historical value. They can be used to rebuild and recover the wounded community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truth behind the case. Accident archiving collects materials different to the ones which public archiving does, allowing people to view the incident from a different standpoint. It is also characterized as an archiving of the current issue, social movement and regional community. Accident archiving is a method which ensures credibility and impartiality in memory. In light of Sewol archives, accident archiving can contribute to form mature democracy.

세월호 사건은 해난사고가 극심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며 정치사회적 사건으로 비화된 경우이며, 사건의 전개과정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생산되는 기록을 살펴보았다. 기록화는 안산의 시민들이 구성한 세월호참사시민기록위원회와 기록관리단체와 전문가들이 결성한 세월호시민아카이브네트워크가 시작하였으며, 두 단체는 가족대책위원회 산하로 통합되어 416기억저장소를 구성하였다. 세월호 사건 기록은 증거성과 역사성을 갖는 사회적 역사적 기록이며, 수집과 동시에 활용하고 기록전문가들이 기록을 생산하며 생산 종료 시점을 예측할 수 없는 특성을 갖고 있다. 사건 기록화는 공공기록과는 다른 내용의 기록을 수집하여 사건을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하며, 동시대의 기록화, 사회참여운동기록화, 지역사회 기록화의 성격을 갖는다. 세월호 기록은 진상 파악 뿐 아니라 공동체 재건과 치유를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사건기록화에서는 기록화 여부의 판단과 예비조사가 필요하며, 기록화를 위해서 필요한 조직을 느슨한 형태로 구성하고 교육에도 사건기록화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사건 기록화는 기록관리의 중립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며, 그런 의미에서 성숙한 민주주의를 기록학 측면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3.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4.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vol.55,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35
  5.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연구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vol.62,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9.6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