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al drawings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과 중국의 궁궐어원(御苑)의 상석(賞石) 비교연구 (A Study on the Stone Figures in the Palace Gardens of the Palaces in Korea and China)

  • 박경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227-239
    • /
    • 2003
  • Korea and China can find the common feature derived from the mutual cultural exchanges,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the East Asia. It also applies to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both countries. In case of Korea in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there are few of them existing in Kyungbok Palace, Changduk Palace, and Changkyung Palace of the Chosun Dynasty, and most of them were washed away, there are hardly any records remaining and transmitted, and there are hardly any materials of drawings and pictures of them. On the contrary, in case of China, although there are those washed away, there are vast numbers of real objects, and records and materials of them. Therefore, for the study on the stone figures of Korea, the method to analogize the research lacking regarding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Korea from those of China after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ose existing and those of China, may be available. I consider that although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s of Chosun Dynasty of Korea had been the restoration project oriented toward the buildings until now, it will be the phase where one should have more interest toward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 gardens in the future, an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 gardens should be made centered on the landscape architectural structures, deviated from the restoration project attaching weight to the restoration of the trees. Above all, I consider that the interest should be turned to the restoration of the stone figures where the view toward the nature of the Orientals are expressed well. For the restoration of the stone figures in the Changduk and Changkyung Palace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rough locations and shapes is possible based on the Dongkwol Drawings being transmitted, and that the research on the shapes, characters, pedestals, characteristics, etc. of the specific stone figures is possible as far as it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China.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에 관한 연구 -국가기록원 소장 학교건축 도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ecialized Classrooms of Governmental Secondary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ed on Architectural Drawings for Collect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76-2483
    • /
    • 2014
  •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총독부 생산의 학교건축 도면 분석을 통해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의 계획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시 일본의 과학교육 진흥책의 영향으로 과학교과용 특별교실은 필수시설들 중의 하나로 계획되었으며 이화학교실과 박물교실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 이들 교실에는 준비실, 기계실, 표본실 같은 부속실이 설치되며 이론 강의 및 실험시연을 위한 계단교실이 별도로 설치되기도 하였다. 3) 과학 교과 특별교실은 설비 및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시설들과 이격하여 계획하는 경향이 강했다. 4)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중 도화실은 남녀학교 모두 설치 빈도가 높은 편이나 음악실의 경우 여학교에서는 특별한 건축 계획적 고려 하에 만들어진데 비해 남학교에서는 설치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가사교과용 특별교실은 여학교에서는 남학교의 과학교과 특별교실만큼 비중이 있는 시설로 계획되었다. 6) 기타 교과용 특별교실로 한국인에 대한 실업교육 위주의 차별적 교육정책을 상징했던 수공실이 설립년도가 빠른 한국인 학교들에서 계획되었으며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일부 일본인 학교에 지리역사교실이 계획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은 관립 중등학교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특별교실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당시의 교육시설 상황을 고려하면 국내 학교 건축에 특별교실이 이입되었던 초기 양상들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IM기반 Algorithm을 활용한 APR1400 설계기준 통합관리 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Integrated Design Bases Management System of APR1400 Using BIM based Algorithm)

  • 신재섭;최재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2-60
    • /
    • 2019
  • APR1400은 1992년 1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약 10여년에 걸쳐 국가선도 기술개발과제를 통해 개발된 1,400MWe급 차세대 원자력발전소 노형으로, 건설을 위해서 약 6만 5천 장의 도면이 생산된다. 또한 수많은 도면 간 일치성 유지를 설계기준(Design Bases)에 따라 가장 높은 수준의 설계기준도면(Design Bases Drawing)를 작성하여 후속설계에 가이드라인 역할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설계기준도면이 문서기반으로 생산 관리되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파편적으로 운영되어 설계기준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후속설계에 정확하게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서기반의 설계기준도면의 한계를 인식하고, BIM 기반의 설계기준 통합관리 체계를 도입하여, 설계기준 정보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후속설계에 반영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특히 DBIL(설계기준정보층)개념을 도입하여 5가지 설계기준(물리적방호, 화재방호, 내부비산물방호, 내부침수방호, 방사선방호)을 적용하여 DBIL생성 및 속성을 분석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DBIL set와 Datasheet에는 실(Room), DBIL, 설계기준 속성, 빌딩 데이터(벽 바닥 슬라브, 문 창문, 수직 수평관통부)를 통합 추출하여 후속설계 자동화 및 설계검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APR1400 DBIL에 적용되는 5가지 설계기준의 속성을 분석하여 후속호기 및 차세대 노형과의 비교를 통한 경제성 분석 등에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혼합현실 도입 오피스 건물 리모델링 프로젝트 설계 의사결정 지원 (A Study on Supporting Design Decision Making in Office Building Remodeling Projects by Introducing Mixed Reality)

  • 한무열;백관엽;이경태;고선주;김주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12
    • /
    • 2021
  • 리모델링사업에서 건축적 전문 지식이 없는 클라이언트의 경우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 결과, 시공자와 설계자는 요구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클라이언트의 의도와 다른 설계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3차원 모델링 방법이 도입되고 있지만, 향후 지어질 결과를 가상으로 보여주는 이러한 방식도 한계가 있다. 리모델링 프로젝트의 경우 남겨진 구조물에 새로 지어질 부분을 더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을 도입할 경우 프로젝트 참여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층 오피스 건물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혼합현실을 도입했을 때 클라이언트가 설계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원활하게 내릴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행연구를 통해 클라이언트, 프로젝트참여자가 2D CAD 도면, BIM, 혼합현실을 각각 체험한 후 12가지 의사결정 준거별로 어느 정도 지원 효과가 있는지 분석했다. 혼합현실의 경우 현실감 향상을 통해 향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된 반면, 바닥과 같은 일부 부위의 경우 패턴 인식에 어려움이 있었고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단점이 파악되었다.

건축공사 현장의 공사관리를 위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과 효과 분석 (Application and Effects Analysis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Construction Management of a Construction Field)

  • 최재현;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5-121
    • /
    • 2015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되고 비정형화됨에 따라 기존의 2차원 도면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고 설계오류파악, 공사 물량과 공사비 오차의 발생, 시공오류의 예측 부재, 기둥, 보, 기계설비 배관 등의 부재간의 충돌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건설 현장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건설 공사 현장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BIM의 사용법을 교육하고 평가하여 실질적인 구현 방법을 충분히 숙지하게 한 이후에 BIM을 공사 현장의 공사 관리 업무에서 사용하게 하여 BIM 사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BIM의 교육, 평가, 실시에 따른 공사현장에서 BIM의 효과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철근 수량산출 간소화 방안 (A Study on the Simplification of Quantity Calculation of Reinforcing Bar)

  • 조영호;윤석헌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1-527
    • /
    • 2019
  • 국내 철근콘크리트공사 현장에서는 철근량을 산출하기 위해 2D도면을 이용하여 복잡한 식을 사용한다. 내역서상의 철근 내역이 전체 철근량으로 작성되는 것을 고려했을 때, 현행 철근량 산출방식은 다소 비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청사, 학교, 공동주택 각 유형별 10개의 프로젝트에 실적데이터를 바탕으로, 콘크리트량 대비 철근량 비율을 산출하여 사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AACE가 제시한 상세견적 단계의 정확도 범위 안에 포함되었으며, 프로젝트 전체 철근량은 상세견적 단계 오차율범위에도 포함 되는걸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부재별 유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보정 값을 산출하여 오차범위를 줄여 부재별 철근 산출량 오차율이 상세견적단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사동 194번지의 도시적(都市的) 변화(變化)와 18세기 한성부(漢城府) 구윤옥(具允鈺) 가옥(家屋)에 관한 연구 -장서각 소장 이문내(里門內) 구윤옥가도형(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about the Diachronic change of Urban tissue and Architecture in Seoul - from analyzing of Gaokdohyung drawn in Joseon Period -)

  • 정정남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43
    • /
    • 2008
  • Seoul has been watched at its symbolic image which is the capital of one nation. since then Joseon was established. So, most of study about Seoul placed too much emphasis on like next; urban organization, palace, government office and public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it is lacking in study of the individual building,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change of building-lot. This study is to make up a deficiency from study of Gaokdohyung(家屋圖形site and floor plan). Gaokdohyung(家屋圖形) is drawings of building lots & houses existed in Hanseongbu漢城府(modem Seoul). It is possessed in Jangseogak and all 24 sheets. It is merely 24sheets but has many urban information in that. Housing of number 116 expressed in Gaokdohyung are consist on the house of Sadaebu士天王(noble class) Joongin中人(middle class) Sangmin常民(commoner), Villa(Byeolseo別墅) and connecting stores etc. Houses in Gaokdohyung has characteristic that most building lot is very specious and owners are variety of social position. The study of Gaokdohyung will progress through analyzing diachronic change of individual building lot & house. In the ev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find out change of urban tissue & architecture. So, i intend to seek for entity of urban tissue and urban house in Joseon Period differ from now, and to study out those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forward now.

  • PDF

구한말(舊韓末) 범어사(梵魚寺)의 복원도(復元圖) 작성(作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storation Plan of Beomeosa Temple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 윤석환;한삼건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4호
    • /
    • pp.137-155
    • /
    • 2005
  • This study was started with its consideration as materials showing original shapes of temple building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which contained in $\ulcorner$A Survey Report of Korean Architecture$\lrcorner$ made by Sekino Tadashi through his survey for 62 days(July 5${sim}$Sep. 4, 1902).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eomesa temple experienced frequent changes in building layout including the transfer and removal of buildings. Such frequent change began in spring, 1936 when a Buddhist monk of Beomeosa temple, Cha Woon Ho moved Gwaneumjeon, originally located to the light of the main building, to the left of the building and, on its original site, built up a 7-storied sarira tower. Though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tudy provides everything about Beomeosa temple,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study would be the very basis on which changes in the building layout of the temple since the late period of Chosun can be researched.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above mentioned restoration plan would help originally restore or enlarge temples, further transmitting such restored or enlarged establishments as valuable cultural remain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expects such restoration plan to be made in continuous and more detailed ways.

  • PDF

과쓰미 씨걸의 주거건축에서 보여지는 공간 및 형태의 입체적 구성에 관한 연구 - 단독주택 작품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paces and Forms in Residential Architecture by Gwathmey Siegel - Focused on Single family House Projects -)

  • 전용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95-1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chitecture designed by Gwathmey Siegel in terms of their way of composing spaces and forms. Charles Gwathmey, one of the founders of Gwathmey Siegel, is a worldly famous architect who actively developed Neo-Modernistic architecture in his career. For this study, 15 major houses designed by Gwathmey Siegel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approaches on how to compose various spaces and forms, and how these approaches evolved as time passed. The analysis was mainly based on the drawings and photos of the houses published. The main characteristics foun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levated LDK level, split-level composition, use of framing structure, layered space, and linear galleries as a spine of circulation with collaged volumes attached. It turned out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faded away, or evolved affecting each other. In early days, Gwathmey often elevated LDK level from ground level for providing privacy, views, and also for separating private rooms. Soon they composed spaces by splitting levels. It not only helped provide privacy where needed effectively, but made space composition more interesting. As sizes of the houses they designed grew, Gwathmey came up with the framing idea for expressing his original architectural language in larger scale. With the split-level composition, the framing method represented Gwathmey's in 70's. This framing introduced layers of interior spaces, and the layers started to break down the monumental framing into individual volumes by bringing in linear spine of circulation. These characteristics helped Gwathmey Siegel develop their own architectural language.

  • PDF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 건물의 공간구조와 특징 (The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jeon around Jongno in Hanseong-bu(漢城府) in the Early 20th Century)

  • 정수인;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7-1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 Sijeon (Licensed-Markets) established around the Jongno and Namdaemun-ro Avenues in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th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tructures of Hanyang City. By investigating the excavation results of the Cheongjin and Gongpyeong areas, drawings, photos, and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the c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building types in the Jonggak area. As a result, since the 19th century, the basic form of Sijeon with 2 Gan(間, bay) in the front facade and 3 Gan(間) on the side, in other words, 5M in the front and 8M in the side was arranged in parallel, and it was a type with a corridor-type courtyard inside. The inner sides of Jongno Avenue had an atypical flat shape that suited the more free lot, and a courtyard-type plan with a single entrance was also confirmed in the one or two Bang(房, district). This study reflecte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ijeon buildings b between the one unit and the other units, which affected the internal spatial structures, and it found that the size and style of the Sijeon buildings were closely relevant to the size of the lots near Jongno Aven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