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roximate cost estim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6초

3차원 형상·지식정보를 활용한 마감공사 개산견적 프로세스 (Schematic Estimation Process for Finishing Work using 3D Geometry-Knowledge Information)

  • 박상헌;박형진;구교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0-212
    • /
    • 2013
  •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es during the design phase becomes the standard to judge profitability and validity, and is very important in various decision-makings by project owner. However, since approximate costs are quoted when many parts are undecided in the early stage of project, differences are bound to occur between the construction cost calculated through approximate quotation and that put into construction actually. Also, since in existing quotation works, quantity calculations have been dependent on the staff's manual work, involving error potential, and thus differences are likely in quantity calculation depending on the quotation staff's method of calculation.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creating space model to deduce 3D geometry information for approximate quotation in association with knowledge information and the expression for calculation of finishing area were proposed.

  • PDF

제주도 내 회전교차로의 초기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Construction Cost Estimate Modeling of Roundabout at Preliminary Design Stage in Jeju)

  • 안진홍;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99-1306
    • /
    • 2014
  • 최근 들어 교통사고 예방 및 교통지체 해소는 물론 도로이용자 교통편의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회전교차로 설치공사가 많이 발주되고 있다. 그러나 회전교차로 공사에 대한 개략적인 공사비를 예측하는 기준이나 단가가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전교차로 공사 초기 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주도내에 설치된 회전교차로를 중심으로 공사현장의 여건을 고려한 공사 초기단계에서 회전교차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내 25개 회전교차로공사의 설계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개략공사비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으며, 매우 예측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회귀방정식에 대해서 검증한 결과 회귀방정식을 통한 추정금액과 설계금액과의 오차율이 2.3%, 3.7%, 5.8%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매우 예측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업 수행 단계별 강박스거더교 공사비 산정 모델 제시 및 검증 (Suggestion and Verification of Assessment model on Construction Cost of Steel Box Girder Bridge in Project Performance Phases)

  • 전은경;경갑수;박진은;강신화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5-65
    • /
    • 2010
  • 공공 건설공사에서 공사 단계별 합리적인 공사비를 산정하는 것은 국가 예산의 효율적 확보 및 집행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예정가격은 대상 구조물의 설계 종료시점에서 산출된다. 그러므로 대상 구조물의 구체적인 상세 단면이 주어지지 않은 기획단계 및 설계초기단계에서 교량 구조물에 대한 단순 정보만을 가지고 개략공사비를 추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문제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의 61개의 강박스거더교 공사비 분석에 의해 효율적이고 적절한 기획단계 및 설계초기단계의의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의 제시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사비 산정 모델에 의해 얻어진 추정공사비는 기존에 사용된 방법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ROCESS RESEARCH FOR DEVELOPMENT OF STRUCTURAL COST ESTIMATING MODEL BASED QUANTITY - FOCUSED ON PUBLIC OFFICE BUILDING PROJECT -

  • Soo-Min Kim;Jung-Kyu Seo;Sung-Uk Kim;Chang-Hyun Shin;Yung-Jin Kim;Jae-Youl Ch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70-1175
    • /
    • 2009
  • When managers estimate exact construction cost at early stage and design phase, they can reduce construction cost in a more efficient way than to predict at construction stage. But, the current of public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and management is concentrated almost after detailed design phase. Therefore,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in design development phase to generally use approximate estimating is not correct. Also, the existing construction cost used the method that estimated by gross floor area-based cost estimates at design development phase. So, it is difficult to show the specific amount of materials and basis about the estimated cost of the construction. This study derived problems and limits of construction management at design development phase in case of public office building projec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urrent survey, and suggested estimating process model process of structural construction cost go improve these matters.

  • PDF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I) - 공사비 변동 모델 및 검증 - (A Standard Section-Based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on Tunnel (II) - Cost Variance Index Table and Test -)

  • 조정연;김상귀;김경민;김경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77-684
    • /
    • 2008
  • 본 연구는 터널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터널 공사비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사비 영향요인의 변화에 따른 공사비 변동 지수표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공사비 추정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수행된 실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제시된 터널 공사비 추정모델의 적정성을 검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표준단면 및 공사비 변동비를 바탕으로 한 공사비 예측에 있어 실제 프로젝트를 통한 검증결과 실제 설계 예정가격과 비교하여 -5% ~ +11%의 범위에서 추정되었다. 제시된 모델은 기획단계에서 사업의 기본적인 조건을 바탕으로 사업비를 추정하고,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설계 대안에 대한 경제성 평가, 설계조건, 지반조건, 시공환경의 변화, 공법, 자재, 장비의 변경에 따른 공사비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분야 BIM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실적공사비 산정모델 구축 (An Estimation Model of Historical Cost Using BIM Library for Road Project)

  • 문현석;주기범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31-442
    • /
    • 2015
  • Currently, a BIM-based quantity takeoff (QTO) system is mainly focused on architectural projects. To perform this, diverse quantity takeoff methods such as an object-based automatic quantity takeoff, manual quantity and base functions of calculation have widely been utilizing. However, since BIM library for road projects includes structural elements associated with align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st estim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historical cost using 3D library by each unit length.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st estimation model with using a historical cost approach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construction planning based on the BIM library for road projects. For this, based on the BIM library for road, the standardized quantity is estimated, and a process for calculating historical cost and a verification model with a 5D simulation was developed by mapping a WBS code with each BIM library object. This can be applied during the approximate cost estimation process in a project planning and an initial design phase for road projects. Beside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 constructing an optimal historical cost estimation process for project libraries.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확대 리모델링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asic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for Expans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 Remodeling in Apartment Housing)

  • 정은빈;구충완;김태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42-52
    • /
    • 2021
  • 공동주택 주차장 리모델링 공사비는 전체 리모델링 공사비의 대략 20%를 차지한다. 지하주차장 공사비를 알면 전체 공사비 예측이 가능한 것이다. 공사비 산정 시 참고하는 표준품셈은 리모델링 공사비 산정에 적용하기 곤란하여 리모델링 공사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공사비 산정 모델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의 특징 및 설계 요소를 반영하여 개략 공사비를 산정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확대 리모델링의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의 Activity를 37개 도출하였다. 리모델링 설계도면이 확정되기 전 개략 공사비를 산정할 수 있도록 Activity 별 물량 산출식 및 단가를 제시하였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공사비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개와 요인 별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리모델링 사례단지 3개를 개략 공사비 산정 모델에 적용한 결과, 정확도는 평균 93%로 나타났다.

사업기획단계에서의 현수교의 물량추정을 위한 모델연구 (Estimation Model for Approximate Construction Quantities of Suspension Bridge in Early Stage)

  • 박원태;천경식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4-29
    • /
    • 2015
  • Bridge construction cost estimates have generally been conducted by using historial unit-price(per meter or square meter). The traditional estimating method based on unit-price references can never completely reflect the specialty of cable supported bridge.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the system for supporting the approximate construction cost and the quantity estimation based on 3D model information in the pre-project planning phase of 3-span continuous suspension bridge with 2-pylons. First of all, we'd analyzed the design information (such as structural design report, blueprint and quantity) and the real cost data from the existing suspension bridges and derived the design variables of the bridges. We developed the BIM wizard that generates a suspension bridge model parametrically based on derived design variables. The principle material quantities of suspension bridge are calculated directly from 3-dimensional bridge model built by using the BIM wizard. We have established the syst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estimated more specific than the traditional estimating method.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 - 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Standard Section and Cost Variance Index (I) - Analysis Of Critical Cost Factors -)

  • 조정연;김경주;김경민;김상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65-675
    • /
    • 2008
  • 본 연구는 터널공사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단계에서 터널공사의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를 신속히 추정하고, 사업이 진행되면서 상황변화에 따른 사업비 측면에서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개략적 터널공사비 추정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터널공사의 수행에 있어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사비 영향요인별 공사비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공사비 영향요인은 천공방식, 굴착방법, 기폭장치, 적재장비 용량, 버력의 단위중량 및 토량환산계수, 터널 연장을 포함하는 7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영향요인의 변화에 따른 공사비 변동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획단계에서 사업의 기본적인 조건을 바탕으로 사업비를 추정하고,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는데 필요한 공사비 추정모델의 구축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축 구조체 공사비 산정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 분석 -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 (Analyzing Data for Development of Structures Cost Estimating Model - Focused on Government Building Project -)

  • 김수민;조재호;이종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2-215
    • /
    • 2008
  • 건축공사의 공사비 절감은 시공단계보다 사업초기단계 및 설계단계에서 정확한 공사비 예측을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하지만 현행 공공 건설공사의 공사비 산정 및 관리는 실시설계 이후로 집중되어 있어, 계산견적을 중심으로 실시되는 기획 및 기본설계단계에서의 사업비관리는 매우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사비 산정 방법의 문제점 및 실적공사비 사례정보 분석하여 기본설계단계에서 구체적 비용 계획을 세우고 이에 부합되는 설계가 진행되는지 검토 가능한 공사비 산정모델 개발을 위한 예비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