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ying teaching model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1초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iming at Training Creative Engineers: focused on the SICAT

  • KWON, Sungho;OH, Hyunsook;KIM, Sungm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27-4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ly the newly developed SICA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the actual scen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raw a point of discussion for utiliz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y uncover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the inhibiting/facilitating elements when using the model. SICAT(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Activity with Technology; from here on SICA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ustom-built for engineering education, was developed, as more and more people paid attention to the demand for creative engineers. It was developed from the basis of PBL(Problem Based Learning), includes three sub-typ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theory, design, and experimentation fields within engineering education. The three sub-types, which are ARDA(Analysis-Reasoning Activity & Discussion-Argumentation Activity), CoCD (Collaboration Activity & Capstone Design Activity), and ReSh(Reflection Activity & Sharing Activity), respectively support deductive and argumentation activities, creative design and collaboration activities, and retrospection and sharing activitie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are inhibiting or facilitating elements in the application procedure, or what the rate of satisfaction for students is, when applying the SICAT model, which was newly developed to innovate existing engineering education, to the actual sit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this research applied three types of SICAT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the theory, design, and experimentation classes at the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t Hanyang University for eight weeks. After application, the students, teachers and tutor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and then the results analyzed in order to uncover inhibiting/facilitating elements and the rate of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rate of students from the SICA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3.78(in a perfect score of 5: The A type-3.65, The C type-3.80, The R type-3.90), and inhibiting/facilitating elements were drawn from the aspects of learning activities, support system. In conclusion, they can be contributed for implications of SICAT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niversal use at engineering education in University.

초등학교 6학년 과학과에서 프레어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of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Learning)

  • 양치훈;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2-163
    • /
    • 2015
  • In this study, to rais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to learn science concepts meaningfully fo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rayer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Frayer model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To this end, the 6th grade classroom of 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gwipo-city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26 patients). And the other 6th grade classroom in the same school was selected to the comparative group (27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pplying the Frayer model. Comparison group has been conducted less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cience class teacher guide. Was through a pre-tes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can be assumed in the same group.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y conducting a post-mortem examination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had the effect of to improve the scientific motivation. In particular, attention (p <.01), association (p <.01), confidence (p <.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e Frayer model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Frayer model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 achievement post-test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1). The above findings,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Frayer model can be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applying the Frayer model of elementary science class could be useful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pplying the Frayer model classes will be able to derive a meaningful learning also subjected to a number of fields and areas.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분야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E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omai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상봉;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1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OE(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teaching-learning mode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E teaching-learning model is a three stage process modeling scientific inquiry : Prediction, Observation, and Explanation.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he POE method in earth science class by applying this simple practical strategy out of various methods in science teaching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was found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Second,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using the POE strategy in science clas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of learners compared with the general sci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It also shows to be highly recommendable for use in science class.

  • PDF

국어 교과 지원을 위한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CT Teaching-Learning Model for Supporting Subject of Korean)

  • 김영기;한선관;김수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31-339
    • /
    • 2003
  • 본 연구는 국어 교과를 지원하는 ICT활용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우선 국어 교과에서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모형 개발의 유형을 3가지 제안하고, 국어 교과에서 적용되는 교수 학습모형 및 ICT 활용유형 등의 문헌연구 및 교과분석을 통하여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ICT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국어과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은 다른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단순히 매체를 이용한 흥미유발의 수준에서만 ICT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단계에서 적절한 ICT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국어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창의적 교수법 활용 사례: '국가 위협요인' 학습 과제 (A Case Study of Using Creative Teaching Methods: 'National Threats' Learning Task)

  • 백진욱;정주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73-379
    • /
    • 2023
  • 창의적 교수법은 수업에서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일부 특정 학습 과제의 경우에는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해당 학습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선행학습을 충분히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과제 결과물의 신뢰성이 낮거나 의미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충분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학습 과제를 수행할 때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하는 교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 위협요인'이라는 학습 과제에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연구 절차로서, 해당 학습 과제에 적합한 교수법 모형과 세부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학습 과제에 제시한 교수법을 적용했을 때 의미 있는 결과물을 도출한 학업 성과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분야 외에도 교육과 안보와 같은 융합 연구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CT를 활용한 PBL 코스웨어 설계 방안 -중등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A Method to Design PBL Courseware Using ICT)

  • 김재현;이윤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1-110
    • /
    • 2006
  • 오늘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법인 PBL에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들이 과학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수업 지도안을 만들 때 ICT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적 과학수업 모형을 PBL의 문제해결모형 내용에 적용하고, 수업 진행 단계별로 ICT의 교과내용 결합 정도와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수업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 활용이 가능한 PBL 코스웨어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모든 절차를 파악할 수 있는 PBL 패키지 개발 절차 8단계와 PBL수업 지도 5단계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 정보통신윤리 교육수준 제고를 위한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 연구 (A Triple Connected Teaching & Learning Model to Improve the Educational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n Elementary School)

  • 이대호;조기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45-353
    • /
    • 2011
  • 정보통신은 편리하기도 하지만 일면 심각한 부작용이 존재한다. 특히, 가치관이 정립되지 못한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확립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고 있는 대표적 방법인 수업을 통해 초등 정보통신윤리 교육수준을 제고하고자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을 제안한다.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은 임의의 수업모형 3가지를 선택하여 차시별로 내용을 연계하여 각각의 수업시간에 독립적으로 적용하는 형태이다. 수업모형 3가지는 수업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에 맞게 선택 가능한 형태이다. 본 실험에서는 배려모형, 가정연계모형, 가상체험모형을 연계하였다. 실험은 동일한 조건 속에서 적용되는 모형을 달리하여 실행한다. 정보통신윤리 수준 제고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3중 연계교수학습모형이 단일 교수학습 모형에 비하여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 함양 및 실천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프로그래밍 실습을 위한 플립드러닝 교수법 적용 전략 연구 (Study on Strategy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Method for Programming Practice)

  • 김현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53-761
    • /
    • 2023
  • 본 연구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과목에 플립드 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교과목에 대한 학습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을 연구한다. 전통적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수법, 학습 설계모형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율적인 학습 모델을 설계하는 것에 대하여 연구한다. 학습자 중심의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현장 적용하는데 효과적인 적용 방법에 대한 전략을 모색한다. 또한 본 대학의 교양 수업 중 컴퓨팅 사고 교과목에 플립드러닝 교수법의 효율적 적용 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혁신 교수법의 하나인 플립드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교과목 수업의 질적 개선과 실습교육의 효율성 및 학습자 성취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수법, 학습 설계 모형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효율적인 학습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페인어 교양수업에서 액션러닝을 통한 소통 강화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panish Teaching Model Applying Action Learning through Strengthening Communication)

  • 강필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7
    • /
    • 2021
  • 본 연구는 스페인어 학습자를 위한 액션러닝을 활용한 소통강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스페인어 수업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1일부터 12월20일까지 교양 스페인어 수강생 91명을 실험반과 통제반으로 나누어 동일한 조건 하에 진행하였지만 실험반의 경우에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소통강화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하였다. 즉, 교사주도하의 개인적 쓰기활동으로 이루어진 통제반과는 다르게 실험반은 팀별 자유로운 토의와 협력활동을 통해 쓰기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두 반 모두 쓰기 능력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향상되었지만, 액션러닝을 적용한 실험반의 학습자들이 글의 내용, 표현, 유창성 측면에서 더 유의마한 결과를 나타냈고 정의적 영역 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다. 학습자 중심 융합 활동에 필요한 이러한 수업모형의 개발은 비단 스페인어 의사소통의 향상뿐만 아니라 다른 외국어 수업활동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for Engineering Education

  • 권성호;신동욱;강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8-128
    • /
    • 2009
  • 본 연구는 차세대 공학인재의 사고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세대 공학인재가 필요로 하는 사고와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학 교육, 특히 핵심소재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적 교수학습 모델로 테크놀로지의 지원을 통한 과학적 탐구와 창조적 활동을 강조한 SICAT(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Activity with Technology) 모델을 개발하였다. SICAT 모델은 교수 학습 목표에 따라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ARDA, CoCD, ReSh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SICAT 교수 학습 모델에 대한 교수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개발, 제공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모델의 교실 현장 적용과 효과성 분석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공고히 하고 지속적으로 공학교육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