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pplication guidance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7초

사용자 위치 기반의 모바일 길 찾기 어플리케이션 (Mobile Way-Finding Application of User Location Base)

  • 정명범;고일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05-2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의 GPS 기능과 Mapkit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에 길 안내를 전달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아이폰의 GPS 기능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얻을 수 있으며, Mapkit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지도에 각각의 위치를 표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안내가 필요한 지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 기록한다. 사용자는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기록된 내용을 Google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목적지로 찾아올 다른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데이터를 받은 다른 사용자는 카메라의 Overlay 위에 나타나는 다음 위치 아이콘으로 목표 위치를 보거나, 지도 화면을 확인 하면서 목적지로 가기 위해 이동해야 할 다음 위치를 쉽게 안내 받을 수 있다. 즉, 제안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처음 가는 길 임에도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손쉽게 길을 안내하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웹기반 과정 중심 독서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cess Oriented Reading Education System)

  • 엄정화;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7-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강화 및 독서 흥미를 높이는 데는 효과적이었으나 독서의 결과 지도에만 치중하여 장시간을 요하는 독서 과정에서 웹기반 시스템의 활용도는 극히 미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서교육을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기반 독서 전략들을 개발하여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전문가 협력학습, 문제해결학습 등 국어과의 교수-학습 유형에 따른 전략의 적용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정규 교과 시간의 독서 지도가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 PDF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가청, 비가청 신호 기반 피난방향 탐지 기법 연구 (Study on the direction detection based on audible and non-audible signals using smart devices)

  • Hyun, Byeongchun;Yun, Younguk;Park, Yohan;Kim, Young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발생 시 지향성 스피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피난 방향 탐지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연기, 소음 등의 원인으로 출구 방향조차 알 수 없는 최악의 재난 환경에서 지향성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가청 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안내 방송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수신함으로써, 피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는 기법이다.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평가는 대형 실내공간에서 제조사가 다른 3종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소리 신호의 방향을 탐지하여 스피커가 설치된 출구 방향을 탐지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거리별 신호 세기와 주파수 특성을 통한 신호검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가 스피커로부터 최대 20m까지 떨어져 있더라도 신호의 송출 방향 탐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로 8kHz와 20kHz 신호 검출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술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경구용 속방성 성형제품의 허가 후 변경사항을 다루는 SUPAC-IR에 대한 검토 (Scrutiny Made to SUPAC-IR Dealing with Postapproval Changes in Immediate Release Sold Oral Dosage Forms)

  • 사홍기;박상애;윤미옥;강신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1호
    • /
    • pp.57-71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SUPAC-IR and its application in handling postapproval changes to immediate release solid oral dosage forms. Originally, SUPAC-IR was aimed at reducing the regulator burdern of the industry when they were making postapproval changes, but still at maintaining the formulation quality and performance of a drug product. The postapproval changes that were covered under SUPAC-IR included variations in the components ad composition of formulation, the site of manufacturing, batch size,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 guidance defined levels of changes, based on the likelihood of risk ocurrence and potential impact of postapproval changes up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drug product I suggested what a type of fing report should be submitted to the FDA for each level of change. Chemist, manufacturing, and control tests to be executed were also recommended for each change level The important tests specified in the guidance included batch release, stability, in vitro dissolution, and in vivo bioequivalence tests. However, there have been strong demands on revising the current SUPAC-IR in order to resolve some issues and to improve its usefulness in evaluating postapproval changes to immediate release solid oral dosage forms. In particular, the rigorous requirement of case C dissolution test and the definition of batch size were challenged by both academia and the industry. A revision work was in progress to reflect these inputs and to expand the utility of SUPAC-IR. As a result of these concerted efforts, an updated 2nd version of SPAC-IR would be likely to be issued ver soon to the public.

Mobile Guidance System for Evacuation based on Wi-Fi System and Node Architecture

  • Raju, Timalsina;Kim, Woo Su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5호
    • /
    • pp.41-56
    • /
    • 2019
  • Recently great loss of life and property is occurring because of fire, natural disaster, earth quake, tsunami and so on. People spend 80~90% of their time indoor environment like office, supermarket, campus. Therefore Indoor navigation and guidelines system became so essential for most of all. Incase of emergency we must be careful earlier, in such a cases 5G kind of new technology may also cannot work. So immediate action and quick routing notification for guidelines and protection is the most. Considering this issue We proposed indoor evacuating guidance system based on microcontroller Wi-Fi board for Indoor APP using mobile. Focusing various kind of technology like, ok google, voice search APP we purposed node architecture based system. When we listen fire alarm while living inside the room. Then to be safe we connect with server and start Arduino UNO+IoT ESP8266 Wi-Fi shield version1-IoT module to store data in MySQL DB server. We make application to escape out from the building up-to the three exits giving information from source point to destination. Our program can send information to the users emergency location and situations. For this when the user get sound or vibration in their mobile device it indicate fire out near by. At that time we update message from Arduino to DB server for the fixed current position inside the building which give routing signal for that fire out location by changing values from 0 to 1. We have user in point 10 where user is near by. Later we detect Wi-Fi signal form Nodemcu as room of each floor and try to connect with user.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ave life of people in short time and find out the shortest path up to nearest exits in the time of emergencies and rescue them.

낭종에 의해 변위된 영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ENCE OF THE TEETH DISPLACED BY CYSTIC LESIONS)

  • 박창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1
    • /
    • 2001
  • 어린이에서 낭종이 발생하는 경우. 종종 계승 영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아들은 일반적으로 맹출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치아의 맹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해 주는 경우, 치아는 저절로 정상적인 위치에 맹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낭종의 처치와 함께 변위된 치아의 맹출 유도과정이 요구된다. 낭종의 제거를 위해 많은 외과적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낭종이 크거나 영구치를 변위시킨 경우에서는 적출술에 비하여 조대술이 추천된다. 조대술을 시행함에 있어서 그 개구부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경우, 낭종의 처치와 함께 변위된 치아를 정상적으로 맹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증례는 낭종에 의해 계승 영구치가 변위된 경우로서, acrylic obturator를 이용한 조대술을 시행하여 변위된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남종의 치유가 적절히 이루어 졌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Scheme for 3D Lan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 박준구;조우석;노명종;송낙현;김민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9-99
    • /
    • 2008
  • 우리나라는 2004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0개 지자체에서 3차원 국토공간정보를 제작완료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많은 지자체에서 구축 중에 있다. 현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지침은 2005년 3차원 공간정보구축 시범 사업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2006년 구축방법론과 관련 규정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지자체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에 현 지침의 적용 결과, 3차원 공간정보 제작방법, 표현 정확도 등에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결점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을 위하여 기 수립된 구축지침의 문제점을 분석 도출하여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항목의 재정립 및 제작방법의 표준화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3차원 국토공간정보 개선방안은 표준화된 양질의 3차원 국토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ified Tourtainment Service Platform)

  • 이득우;조병상;황호성;김세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53-158
    • /
    • 2017
  • 최근 급속히 진화하고 있는 정보기술 융합과 더불어, 관광분야에 지역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창조관광 모델이 요구된다. 창조관광모델 실현수단으로서, 공간정보, 콘텐츠, 게임, 디바이스, 무선인터넷과 같은 여러 산업분야의 핵심 기술 융합을 통해 지역 관광객 증가 및 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틀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객 맞춤형 투어 가이던스를 제공하며, 아웃도어를 대상으로 동기부여 재미 경쟁 보상과 같은 게임화된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을 제시한다. 본 서비스 플랫폼은 지역 관광객 증대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게임화된 새롭고 즐겁고 유용한 창의적 투어테인먼트 서비스를 창출 및 제공할 수 있는 틀이며, 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스마트 폰 서비스 실증 구현 모델을 제시한다.

우리나라의 현행 의약품분류체계에 대한 고찰 및 개선 방안 (Current Drug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Its Improvement)

  • 손현순;오옥희;김종주;이소현;변선혜;신현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9-148
    • /
    • 2005
  • Appropriate drug classification is important fur rational drug consum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drug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 possible ways for improving the system. Nonprescription drug market has been decreased. Since total 27,962 products had been classified (prescription 17,187 vs. nonprescription 10,775 products, 61.5% vs. 38.5%) in July 2000 for implementing separation of drug prescribing and dispensing system, there are no classification changes. Reclassification is not motivated by product holder and regulatory system did not lead classification change either. Consumers' ease access to some nonprescription drugs is demanded. But point of public awareness and cultural and health environmental views, saff drug use rather than advantages from broad supply of nonprescription drugs is more critical. We concluded that current 2-categorized (prescription and nonprescription) drug classification system is appropriate, and addition of general sale category should be approached carefully with long term Preparations such as establishment of better nonprescription drug consuming infrastructure by public information provision and education for improving public medicinal knowledge and strengthening self medication guidance, and review of current classification status of marketed drugs and switching possibilities. For systemizing and encouraging reclassification, introduction of regulatory renewal system as a continuous reevaluation program which is the best way to review appropriateness of drug classification as well as provision of detailed guidance for industry including policy, requirement and process fer reclassification application, are necessary.

  • PDF

산재근로자 직장복귀를 위한 사업장내 보건관리자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of the Health Manager to Return-to-work of Workers Injured by Industrial Accidents)

  • 윤순녕;이현주;윤주영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how the health manager use to be easy return-to-work of injured worker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health managers working at the 103 companies over medium size in Incheon, Gyoung-gi and Seoul through interview and report by themselves and analyzed by SAS V8 through t-test. Result: 1. The health managers are consisted of 2 kinds, one is health manager such as physician(10%) or nurse(81%) and the other is safety manager. The former works at the manufacturing company(62.9%), the latter at the service one(42.4%). 2. Management and counseling of occupational and non-occupational diseases, and high risk workers, health education, emergency care, worksite rounding, guidance of personal protector use,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were highly performed by health managers. Comparing to these, safety managers performed guidance of job safety, safety management. The difference of two kinds of manager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not only the aspect of general job but also related job to the workers of return-to-work after accident. Conclusion: This result shows that health manager can function as a care manager to the workers after return-to-work for adaptation to their job and rehabilitation bio-psycho-socially. But health managers don't have any regulations of encouraging injured workers to get their job again offici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