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orchard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7초

과수원용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적외선 측거 장치개발 (Development of Infrared Telemeter for Autonomous Orchard Vehicle)

  • 장익주;김태한;이상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5권2호
    • /
    • pp.131-140
    • /
    • 2000
  • Spraying operation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in an orchard management and it is also hazardous to human body. for automatic and unmanned spraying , an autonomous travelling vehicle is demanded. In this study, a telemeter was developed using infrared beam which could detect trunks and obstacles measure distance and direction from the vehicle travelling in the orchard. The telemeter system was composed of two infrared LED transmitters and receivers, a beam scanning device for continuous object detection , two rotary encoders for angle detector, and a beam level controller for uneven soil surface. The detected distance and direction signal s were sent to personal computer which made for the system display the angular and distance measurements through I/O board. According to a field test in an apple farm, the system detected up to 10m distance under 12 V of transmitted beam intensity, however, it was recommended that the proper beam transmit intensity be 7 v at the 10 m distance, because of the negative effect to human body at 12 V. The error rate of this system was 0.92 % when the actual distance was compared to measured one. The system was feasible at the small error rate. The developed telemeter system was an important part for autonomous travelling vehicle provided the real time object recognition . A direction control system could be constructed suing the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system c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farm vehicle.

  • PDF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Paraquat 잔류와 흡착능 (Residue and adsorptive capacity of paraquat in orchard soils)

  • 전재철;김성은;박남일;임성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0-95
    • /
    • 1998
  • Paraquat 토양 잔류량을 사과원, 배원, 포도원 및 복숭아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과수원은 각 과수별 주산 단지에서 15개소씩을 선정하였다. 한편 과수원별 토양의 paraquat 흡착능을 밀 뿌리 생육 50%를 저해하는 농도(Strong adsorption capacity measured using wheat bioassay, SAC-WB)로 산출하고, 총 SAC-WB (SAC-WB값+paraquat 잔류량)에 대한 paraquat 잔류 수준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 60개소의 paraquat 결합성 잔류량은 평균 6.9 ppm이었다. 잔류량이 가장 높았던 토양은 사과원 토양의 20.2 ppm이었으며, 사과원 토양의 paraquat 평균 잔류량은 다른 과원 토양의 거의 두 배 정도의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잔류량이 높았던 상위 5개소 양에 대한 치환성 잔류량은 0.5 ppm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SAC-WB 값은 평균 276.1 ppm이었으며, SAC-WB 값과 점토 함량,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 치환 용량간에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었다. 한편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총 SAC-WB 값 대비 paraquat 잔류 수준은 평균 2.43%이었다.

  • PDF

사과 중소과 생산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ducing Medium Size Fruits on the Profitability of an Apple Orchard)

  • 정혜웅;이재영;박무용;최병순;이재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13
  •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사과주산지 상업사과원에서 왜성대목을 이용한 '후지'와 '홍로' 사과원에 대하여 사과원 경영형태와 이에 따른 과실특성과 수익성을 조사하였다. '후지' 품종의 사과는 300g 이상의 과실을 '홍로' 품종의 사과는 330g 이상의 과실을 대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착과밀도와 유효수량을 비교한 결과 '후지' 품종의 사과나무는 주간 단면적당 3.28개, 0.96kg의 과실을 '홍로' 품종의 사과나무는 4.04개, 1.01kg의 과실을 생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과원경영형태를 대과생산, 중소과생산, 병행으로 구분하여 단위면적당 전체 수량과 과실 등급별 수량을 비교한 결과 착과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면적 당 수량은 증가하였다. 반면 착과밀도의 증가는 대과생산량을 저하시키고 중소과생산을 증가시켰다. 생산된 과실을 과중에 따라 구분한 후 과실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중은 과실특성에 유의한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대과 생산과 비교하여 중소과 생산은 과원 경영을 위한 투입비용을 감소시켰고 그 결과 과원경영에 의한 소득구조를 개선시켰다.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 김향미;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9-90
    • /
    • 2021
  •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Potential for Augmentation of Fruit Quality by Foliar Application of Bacilli Spores on Apple Tree

  • Ryu, Choong-Min;Shin, Jung-Nam;Qi, Wang;Ruhong, Mei;Kim, Eui-Joong;Pan, Jae-G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64-169
    • /
    • 2011
  •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the management of phyllosphere pathogens by leaf and root-associated microb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the foliar application of three strains of Bacillus spp. on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The application of a bacilli spore prepa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leaf growth parameters such as leaf thickness and photosynthesis capacity, indicating that bacilli treatment directly promoted leaf growth. In addition, foliar treatment resulted in an improvement in the key indicators of fruit quality including water,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foliar spraying of beneficial bacilli is a potential treatment of wide ap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pple quality. Foliar application of bacilli preparation as effectiv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broadens the spectrum of their availability for orchard application.

Effects of Organic Apple Production Systems on Foliar Macronutrient Concentrations

  • Choi, H.S.;Rom, C.;Lee, Y.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65-168
    • /
    • 2011
  • An organic apple (Malus ${\times}$ domestics Borkh.) orchard was established to study the interaction effects of ground cover management systems (GMS) and nutrient sources (NS) on soil and tree nutrient status and tree growth. Trees received one of four GMS: 1) green compost (GC), 2) wood chips (WC), 3) shredded paper (SP), and 4) mow-and-blow (MB). Across all GMS, one of three NS was applied: A) a commercial organic fertilizer (CF), B) poultry litter (PL), and C) control (NF). Overall, GMS had greater effects on the variables than did NS. GC mulch supplied greater nutrients, followed by WC, SP, and MB mulches. SP trees had lower foliar [N] in the first two years than the GC and WC trees. GC-and WC-treated trees had larger trunk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SP and MB trees.

Seven Unrecorded Species of Ascomycota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Apple and Pear Trees in Korea

  • Hyeongjin Noh;Hyun Uk Cho;Jun Woo Cho;Seong Jae Ahn;Seong Hwan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71-490
    • /
    • 2023
  • Soil is a rich source of saprobic and pathogenic fungi in crop cultivation areas. Compared with that of the fruit trees, scarc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fungi present in orchard soils in Korea. We sampled rhizosphere soils of apple and pear trees from several orchards in Cheongju, Anseong, and Cheonan, Korea. During the processing of soil fungi, seven unrecorded species of the phylum Ascomycota were isolated. These included Acrocalymma walkeri, Clonostachys krabiensis, Coniella vitis, Cosmospora diminuta, Lasiobolidium spirale, Penicillium vallebormidaense, and Pseudothielavia arxii. All the specie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ITS1-5.8S-ITS2 region and the large subunit of nuclear ribosomal RNA gene and partial β-tubulin gene (BenA) sequences.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과수화상병 저항성 사과대목의 MR5보유 대목별 비교 (Comparison of the Apple Rootstock Cultivar with the MR5 Resistance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 권영희;최원일;김희규;김경옥;김주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48-48
    • /
    • 2020
  •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Burrill), is a destructive disease of apple that damages blossoms, shoots, and woody plant organs. The fire blight disease is a worldwide problem for pome fruit growers because all popular apple cultivars are susceptible to the disease. Recently, fire blight of apple rootstocks has become a serious economic problem in high-density orchard systems in korea. The most commonly used dwarfing root stocks, M.9 and M.26, are highly susceptible to E. amylovora. The objective of the apple rootstock-breeding program has been to develop pomologically excellent rootstocks with resistance to abiotic and biotic stresses, including fire blight. Budagovsky 9 (B.9) apple rootstock is reported to be highly susceptible when inoculated with E. amylovora, although results from multiple trials showed that B.9 is resistant to rootstock blight infection in field plantings. So we tried to collect the apple rootstocks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The apple genotype Malus Robusta 5 (MR5) represents an ideal donor for fire blight resistance because it was described as resistant to all currently known European strains of the pathogen. The PCR for detecting the MR5 gene using the primers Md_MR5_FL_F/Md_MR5_FL_R.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confirmed some apple rootstocks traits of fire blight resistance showed the MR5. Furthermore, this gene is confirmed to be the resistance determinant of Mr5 as the transformed lines undergo the same gene-for-gene interaction in the host-pathogen relationship MR5-E. amylovora.

  • PDF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Alopecurus aeg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 정재식;이재석;최충돈;정종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1998
  •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