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ja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흑삼 및 흑마늘을 이용한 블랙잼 유동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for Rheological Properties of Black Jam Produced by Black Ginseng and Black Garlic)

  • 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83-191
    • /
    • 2020
  • 본 연구는 흑삼과 흑마늘을 이용하여 블랙잼을 제조하면서 물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해 보았다. 블랙잼의 배합 조건은 흑삼(X1, 30-54 g), 흑마늘(X2, 75-135 g), 펙틴 4.5 g, 사과페이스트 270 g 및 프럭토올리고당 360 g이며, 반응 변수로는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깨짐성 및 부착성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깨짐성 및 부착성에 대한 회귀식의 R2는 각각 0.8948, 0.9103, 0.9032, 0.9097, 0.8561로 5~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블랙잼의 탄력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탄력성은 흑삼 함량 54.00 g 및 105.83 g에서 194.39%로 나타났으며, 탄력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탄력성은 흑삼 함량 31.48 g 및 119.43 g에서 164.11%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응집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응집성은 흑삼 함량 48.85 g 및 129.62 g에서 40.96%로 나타났다, 응집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응집성은 흑삼 함량 50.06 g 및 82.77 g에서 32.96%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씹힘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씹힘성은 흑삼 함량 42.95 g 및 106.83 g에서 43.19 g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깨짐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깨짐성은 흑삼 함량 32.10 g 및 88.04 g에서 16,874 g로 나타났으며, 깨짐성이 가장 낮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깨짐성은 흑삼 함량 50.53 g 및 83.91 g에서 678 g로 나타났다. 블랙잼의 부착성이 가장 높은 흑삼 및 흑마늘 배합조건과 그 부착성은 흑삼 함량 32.91 g 및 124.60 g에서 14.06 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삼과 흑마늘의 배합비와 블랙잼의 물성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서 건강기능성 소재를 이용하여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는 블랙잼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미역줄기를 이용한 잼의 제조조건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 안창범;신태선;남택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23-430
    • /
    • 2000
  • 건조미역 또는 염장미역의 제조부산물로 얻어지는 미역 줄기를 이용하여 기호성이 뛰어난 미역줄기잼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잼의 주원료인 미역줄기 페이스트는 자숙, 염장한 미역줄기를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homogenizer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30{\~}50\;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줄기잼은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HM pectin (또는 LM pectin) 및 유기산 (또는 유기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인공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sucrose, pectin,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줄기 페이스트에 sucrose $65{\%}$ (w/w), HM pectin $1.0{\%}$ (w/w) 및 citric acid $0.3{\%}$ (w/w) 또는 sucrose $65{\%}$ (w/w), LM pectin $1.0{\%}$ (w/w) 및 calcium lactate $0.08{\%}$ (w/w)를 첨가하여 $62 {\cdot}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시판 과일잼 (딸기 및 사과잼)과 유사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인공 딸기향을 사용한 결과 $0.06{\%}$ (v/w) 이상 첨가하여 만든 제품이 시판 과일잼과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손색이 없는 제품이었다.

  • PDF

해당화 열매 첨가 사과잼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zation of Apple Jam with Rosa rugosa Thunb. Fruit)

  • 김미현;김명희;윤선주;이병용;이창원;김보애;장기효;이재철;서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67-3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해안지역 특산물인 해당화 열매를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잼에 첨가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특화 제품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해당화 열매와 설탕 첨가량을 달리하여 10종의 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10종의 잼을 관능검사로 평가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잼의 관능적 특성 중 시각, 후각, 미각에 의해 인지되는 특성인 색, 광택, 이취, 단맛, 신맛은 설탕의 첨가량에 의해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탕 자체의 단맛 뿐 아니라, 가열 공정이 주를 이루는 잼 제조 공정 중, 일부의 설탕 분자가 열에 의해 분해되는 caramelization반응이 일어나, 기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향미물질(flavor compounds)과 색소(pigments)를 형성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관능검사 항목 중 물성 특성인 끈기(되직한 정도)와 발림성은 해당화 열매 첨가량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당화 열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완성된 잼의 수분함량이 증가하였고, 이는 덜 되직하고 부드럽게 잘 발리는 관능적 특성으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는 기계적 물성 평가로 얻어진 각 잼의 경도(hardness), 점착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의 경향과도 일치하였다. 즉, 해당화 열매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당의 함량이 증가하고, 당의 높은 물결합력은 펙틴 분자끼리의 상호 결합을 촉진시켰으며, junction zone안에 더 많은 물을 보유하게 함으로써 내부적 결합력이 강하고, 부드러운 물성의 잼을 형성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5점 평점법으로 평가된 관능검사 결과에서 모든 항목이 3점 이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여 만족도(desirability)가 높았던 설탕 첨가량 60%에서 제조된 3종의 잼(해당화 첨가량 0%, 10%, 20%)을 기계적 물성 평가와 관능평가로 비교분석 하였을 때, 해당화 첨가량이 10%인 잼이 색, 광택, 끈기, 발림성 항목에서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물성 또한 개선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순응도가 비교적 높은 사과잼에 그 기호도와 물성의 유의적 저하 없이 해당화 열매의 기능성이 추가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당유도체 감미료의 갈색화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of Sugar Derivative Sweeteners)

  • 이철호;한복진;김나영;임재각;김봉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56
    • /
    • 1991
  • 대체감미료로 상용이 증가되고 있는 당유도체 fructo-oligo 당, HMS, sorbitol 및 maltitol의 갈색화 반응성과 첨가된 식품의 색도변화를 관찰하였다. Fructo-oligo 당과 HMS는 설탕에 비하여 가열($80{\sim}120^{\circ}C$)에 의한 갈색화 경향이 큰 반면 당알콜류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음을 spectrophotometer의 $230{\sim}700\;nm$ 사이의 분광 scanning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가열용액의 pH가 산성으로 낮아짐에 따라 HMS와 설탕의 흡광도가 크게 증가하여 산에 의한 안정성이 낮음을 나타내었다. 마이얄 갈색화 반응도 당알콜이나 설탕에 비하여 fructo-oligo 당과 HMS에서 크게 일어났으며 이러한 성질은 이들 당유도체들을 대체사용한 식품의 색도변화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사과잼과 캔디에서 모두 fructo-oligo 당과 HMS는 황색도가 진한 제품을 만든 반면 당알콜류는 색도가 연한 제품을 만들었다.

  • PDF

과일류 가공 중 잔류농약 가공계수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processing factors of pesticide residues during fruits processing)

  • 임무혁;지유정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3호
    • /
    • pp.189-201
    • /
    • 2016
  • 과일류 가공 중 농약의 가공계수는 과일 가공품의 농약 기준 설정에 사용된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JMPR의 가공식품 중 잔류농약 가공계수 자료를 고찰하였다. 사과의 세척, 건조, 통조림, 주스, 소스, 퓌레 및 Pomace 가공 중 19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하였다. Pomace를 제외한 사과가공품은 대부분 가공계수가 1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포도의 세척, 주스, 포도주, 건포도 및 Pomace 가공 중 21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평가하였다. 건포도의 가공계수는 대부분 1 이상으로 나타났다. 오렌지의 주스, 오일 및 마말레이드 등 가공 중 19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평가한 결과, 오일의 가공계수가 1 이상으로 나타났다. 토마토의 주스, 퓌레 및 페이스트 등 가공 중 27종 농약의 가공계수를 비교한 결과, Pomace를 제외하고 페이스트의 가공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두의 세척, 건조 및 퓌레 과정 중 12종 농약의 가공계수는 건조에서 대부분 1 이상으로 나타났다. 농약의 지용성과 휘발성 같은 물리적인 특성과 과일 가공 중 가공계수는 사과 주스, 오렌지 주스, 토마토 퓌레와 페이스트 및 딸기잼 가공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정시설 소년수용자와 일반 고등학교 남학생의 식습관, 식품 섭취 및 기호 비교 (A Comparison of Eating Habit, Food Intake and Preference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 박순서;박모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92-40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ating habit, food intake frequency and preferred food and taste of juvenile delinquents (100 number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100 numbers), using questionnaires from August to October 2004. 1) It was shown that the juvenile delinquents took more unbalanced diet (p<0.05), smoking (p<0.001) and drinking (p<0.001) than general students, while general students had more eating between meals (p<0.01). 2) The intake of foo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ite rices (p<0.01), bibimbab (p<0.001), kimbab (p<0.001), fried rice (p<0.001), ramen (p<0.001), jajangmyun (p<0.001), jambong (p<0.001), hamburger (p<0.001), pizza (p<0.001) and breads (p<0.05). The juvenile delinquents took more major food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in all the items except for white rice. It was observed, then, that the juvenile delinquents showed more intake of such subsidiary foods as bulgoki (p<0.001), roasted thin pork chops (p<0.001), grilled pork belly (p<0.001), pork cutlet (p<0.01), sweet and sour pork (p<0.001), chicken with ginseng (p<0.001), fried chicken (p<0.001), kimchi pot stew (p<0.01) and zucchini (p<0.05) than general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taking more kimchi (p<0.01) and fried or boiled soybean curd (p<0.01). The intake of desser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yogurt (p<0.01), orange juice (p<0.001), cola (p<0.001), soft drinks (p<0.001), ion drinks (p<0.001), coffee (p<0.001), apple (p<0.01), banana (p<0.001), orange (p<0.001), cake (p<0.001), hot dog (p<0.001), ddokbokgi (p<0.01), mandu (p<0.001), fried fish paste (p<0.05), steamed korean sausage (p<0.001), fried foods (p<0.05), hem & sausage (p<0.001), cheese (p<0.001), ice-cream (p<0.001), candy (p<0.01), chocolate (p<0.001), mayonnaise (p<0.05), jam (p<0.01) and butter & margarine (p<0.01). Then, the juvenile delinquents were shown to entirely have more intake of all the dessert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3) Regarding preference of foods, it was shown that the juvenile delinquents preferred cereals (p<0.05), grilled pork belly (p<0.001), chicken with ginseng (p<0.01), anchovies and small fish (p<0.05), chicken with ginseng (p<0.05), seasoned spinach (p<0.001), seasoned zucchini (p<0.001), milk (p<0.05), coffee (p<0.001) and butter & margarine (p<0.05) while general students did egg (p<0.01), soybean sprout soup (p<0.001), boiled or fried potato (p<0.05), seasoned soybean sprout (p<0.05), boiled or fried soybean curd (p<0.01), fried foods (p<0.01) and snack (p<0.05). For their preference of tastes, hot taste (p<0.01) was higher in the juvenile delinquents. 4) Under general environments there was a change of the difference in their behaviour of pork cutlet (p<0.01) intake in accordance with other family and of milk (p<0.001) and butter & margarine (p<0.05) preference in accordance with growth in a big city betwee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