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arel company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 의류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소비자특성 중심으로- (A study about factors influencing on internet advertising effects -Focus on consumer characteristics-)

  • 고은주;목보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283-30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및 의류광고 사용현황을 조사하고,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인터넷 광고 효과룰 조사하며 소비자 특성(성별, 연령)과 인터넷 광고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인터넷 동호회의 회원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152부(30.4%)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및 ANOVA와 사후 검정으 로 Dunca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사용 현황으로 주 사용 장소의 경우 집, 회사, 학교. PC방 순으로 나타났고, 1주일 평균 사용 시간의 경우 3시간 이상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주사용 목적의 경우 정보탐색, 메일 및 PC통신, 프로그램 다운로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주일 접속 횟수의 경우 하루에 2번 이상은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광고의 이용 경험은 매우 높았으며, 광고를 본 후 바로 구매하는 경우도 3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 의류 광고를 보고 난 후 인지도에 관한 내용으로 사진이나 그림의 브랜드 이미지가 둘째, 소비자 특성(연령, 직업)과 인터넷 광고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연령과 직업의 경우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연령에서는 20대가, 직업의 경우 전문직에서 다른 집단보다도 제품에 대한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특성(연령, 직업)과 인터넷 광고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훌륭 분석한 결과 소비 자 특성과 인터넷 광고 유형의 주효과만이 나타나 이들 변수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광고 효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매유통시장에서의 이상현상에 관한 연구: 의류소매점 매출의 요일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omaly in Retailing Market: Focused on the day of the week effect of Sales Volume in Fashion Apparel Products Retail Store)

  • 남상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7-141
    • /
    • 2006
  • 최근 우리나라는 주5일 근무제가 확대 실시되면서 여가가 많아지는 한편 각 업종별 소매점포에서의 요일별 매출도 예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요일별 수요 패턴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요일효과라고 하는데, 요일 마케팅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소매업종에서의 요일효과 존재여부와 그 크기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소매업의 마케팅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성복 소매시장에서도 요일효과가 존재 하는지의 여부와 만일 존재 한다면 각 요일별 그 차이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표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요일효과 등의 이상현상에 관한 마케팅차원의 연구가 전무하여 주로 재무관리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개별 수요를 변화시키는 일반적 수요이론과 주식시장에서의 요일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토대로 이상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 하여 소매유통시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실증분석에 있어서는 국내 남성복 소매업체인 P사의 과거 5년간 매출 자료를 토대로 데이터 정제와 통계처리를 통하여 요일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복 소매시장에 있어서도 요일효과는 존재하며, 월요일에서 일요일로 갈수록 양(+)의 요일효가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요일효과는 계절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소매업을 경영하는 기업들이 보다 효율적인 소매점포 운영방안을 강구할 수 있는데 유익한 시사점이 제공되리라 기대한다.

  • PDF

중국 동북 3성 스트리트 패션 분석(제1보) -2006년 봄 대련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reet Fashion in Northeast 3-Sung, China(Part I) -Focusing on 2006 Spring in Dalian-)

  • 배수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54-1564
    • /
    • 2007
  • In apparel industry, the production of clothing for the global market, has it#s origin in i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hands on working style,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a fashion industry. These days, however, the globalized production is unable to keep pace with the short cycle of production due to the unpredictable change of the taste or demands in the local area,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come to take a focus o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circumscribed region. In this stream, the northeastern area, specially, Dalian which is renowned for a center of fashion was designated as a city of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uniqueness, ask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individual local area on the part of Korean fashion company desiring to launch into China fashion marke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style, color, and items of street fashion in Dalian. I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n northeastern area, thereby, affording a fundamental resources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in China. The period of investigation is about 5 weeks from 14 May 2006 until 18 June 2006, with combined use of camcorder and digital camera. The site was Victory Shopping Plaza, in center of city, also with Mycal, Ansung, Dasang department store situat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ferred clothing styles are casual styles(68%) rather than formal styles(32%). In the casual styles, sports casual(36.0%), character casual(29.5%), jean casual(2.6%) were listed. All kinds of clothes are tightly fitted due to the stretched fabric and knit fabric. 2. Preferred colors are white(31.1%), red(16.6%), black(15.8%) khaki(7.8%) and blue(7.6%) for tops, and black(34.6%), blue(27.2%), white(15.4%), brown(14.6%) for bottoms. 3. Preferred clothing items are T-shirt(36.5%), jumper(33.6%), jacket(20.0%), blouse(8.7%), etc.(1.2%) for tops, pants(91.4%), skirts(8.6%) for bottoms. In the pants, cigarette pants(34.6%), bell bottom pants(21.0%), cargo pants(19.9%), straight pants(15.9%) were listed respectively. In the skirts, flare skirt(3.9%), tight skirt(2.2%), semi tight skirt(1.7%), pleats skirt(0.8%) were listed.

대구(大邱) 여성복(女性服) 생산업체(生産業體) 디자이너들의 직무실태(職務實態) (Job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Designers of Women's Wear Industries in Taegu)

  • 김순분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4호
    • /
    • pp.83-9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useful references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erms of providing on analysis of job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s working in the women's wear industr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2 fashion designers working in women's wear industrie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s of frequencies and percentiles for comparative stud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designers are; unmarried (80.4%), working less than 2 years (20.2%), completion of junior college(68.6%), majority ages between 20-24 yrs(43.1%). An average length of working in one company war less than 6 months. 2. The ratio computer usage of the design room was approx. 52.0% especially in the management of sales (52.9%) and the ratio in fashion design was approx. 17.6% in merchandising planning. 3. 76.4% of respondents was working 10 hours a day, and 50% of them was dissatisfied on the job caused by excessive working hour (31.4%) and job over load (35.3%). In the developing fashion design with the relation of actual job, insufficient knowledges of the concerned technical and production fields (68.6%) were indicated as the most difficult area. In addition, fashion magazines were considered as the most helpful resource(94.1%). 4. It was noted that the target age groups for the brand were clearly divided into two groups, notably the early and middle of twenties and the early and middle forties. Among the produced items, formal wears were accounted for 52.9%. 5. As far as the contents of job are concerned, the fashion designers are mostly engaged in purchasing textile, collecting informations of fashion, quality control, whereas their actual job is apparel design. 6. The training that the fashion designer received beside formal education includes attendance of private institutes(62.7%), OJT(7.8%), seminars(4.9%). Regarding formal education, the respond indicated that they had least opportunity to received computer training. 7. The necessary subjects in the schools for the fashion designers in relation to the current job were fashion information, merchandising planning, pattern making, cutting, fashion marketing, knowledges of clothing material in sequence. Subject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further development include pattern making(21.6%), fashion marketing(14.7%), and designing with computer(7.8%).

  • PDF

A Study on the Costume of The Korean-Chinese Women in Yanbian, China - Focusing on 1990′s -

  • Zhang, Shun-Ai;Kim, Jin-Goo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4권1호
    • /
    • pp.25-33
    • /
    • 2001
  •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Chinese women's Costume in Yabian with factors such as reform opening-up, economic growth, change of social values, development of technology, more education opportunities and influence of mass media. It divides the 1990's into two halves. Photos, interview, observation and relevant literature were used for this study. Even though economy grew rapidly, they needed to purchase daily goods other than clothes. In a way that they preferred practicality, it showed somewhat it was still developing. The trend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was characterized : first, Synthetic or artificial fibers and ready-made suits were popular ; second, there still remained the men's style ; third, they wore Tanrikoo(彈力袴), Tisingkoo(體型袴), Jiaotakoo(脚袴) because of its properties of activeness and comfort ; fourth, shoulders looked ore prominent with pads as they were used in Chungsanfoo(中山服) ; fifth, clothes in grey and dark blue was in fashion ; sixth, they wore hand-made knit vests and sweaters and often mountain-climbing gears for its light and warm quality ; seventh, along with opening-up, various materials and colorful clothes were in style, which satisfied women's desire for beauty. They decorated Hanbok(韓服), using sleeves with colors, golden ornaments, flower patterns embroidery, materials of different color in collar and tie and dyes of sleeves and skirts.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when the opening-up was beginning, there were diverse styles and colors in fashion, yet not close to good quality. As the economy grew,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was characterized by good palate, individuality, favouritism on foreign goods, rapid change of fashion. For instance, fur coat and woolen fabric were favored. Economic growth led to abundance of cloth, dyes and decorative materials. In addition, people possessed more clothing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wear both Hanbok and wedding dress in wedding ceremony. People placed their standards on competency and financial ability rather than ideology. Worship disappeared and individuality arose. Therefore, apparel functioned not only as protection but as suits with aesthetic purpose. This resulted in introduction of bold style, imitation of western countries and extension of use of Hanbok. With the help of mass media, transportation, telecommunication, contact with Korean company and civilians,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rough Korea, were accepted. Change in structure of economic status caused excessive spending and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enabled people to accept foreign culture quickly. Values moved onto new, beautiful and better characteristics. it was possible to have suits ready-made due to improvement of mass production and cotten, wool, linen, silk became popular owing to technology. New technology, the bases of mass consumption, increased possession of clothing and accelerated change of fashion. In summary, women's Costume in Yanbian were affected by the factors in economy, politics, culture contact as well as change of society and technology.

  • PDF

버진 및 리사이클 PET 제품의 화학적·열적 특성 비교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test of 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virgin and recycled PET products)

  • 김경필;서경진;박수용;정일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3-39
    • /
    • 2021
  • 세계적으로 리사이클 원사 분야의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국내 기업들 또한 리사이클 원사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사업을 촉진중이다. 국내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원사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A사와 B사의 버진 PET와 리사이클 PET 시료 4종을 적외선 분광기 (FT-IR)를 통해 화학적 특성을 확인 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 (DSC)를 통해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두 업체의 버진 PET와 리사이클 PET를 비교한 결과, FT-IR에서 두 회사의 제품 모두 PET의 전형적인 스펙트럼을 보여줌과 동시에, 872 cm-1에서 스펙트럼의 차이를 보여주었고, DSC를 통해 리사이클 PET의 융점 및 결정화 온도가 버진 PET에 비해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리사이클 PET에 소량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PET 원사의 열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매개 변수임을 보여준다. 총 7회의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DSC 결과에서, 4개의 샘플 모두 사이클 횟수가 늘어날수록 낮은 융점 및 결정화 온도를 낮은 열유속 세기와 함께 보여주며, 용융 및 결정화 엔탈피의 결과 또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SPA 브랜드의 BI 색채 적용 현황과 사용자 선호도 조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 brand to BI Color and User Preference)

  • 박한나;백진경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5-57
    • /
    • 2018
  • 국내 의류 시장에서 SPA(Speciality Store Retailers of Private Label Apparel) 브랜드에 대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A 브랜드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BI 시스템 안에서 각각의 색채 시스템이 어떠한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지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파워와 판매도 순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국내에 매장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SPA 브랜드 중 국내매출순위 1~4위의 브랜드를 8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브랜드의 정보적 요인 중 BI(Brand Identity) 및 내부 사인시스템, 패키지 등의 색채특성과 환경적 요인 중 건물 외관 및 간판, 매장실내 디자인의 색채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브랜드의 선호도에 관하여 2,30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BI의 색채 적용 관련 조사 결과, 4개의 브랜드가 적색 계열의 로고를 사용하였으나, 브랜드마다 아이덴티티의 차별화를 적용시켜 톤이 다른 적색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개의 브랜드 경우에서는 흰색과 검은색의 흑백 계열이나 짙은 남청색과 같은 무채색과 1가지의 주조 색을 사용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살리는 BI 디자인을 적용시키고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로 브랜드 이미지 결정 요인 중 브랜드 로고 및 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SPA 브랜드에서 BI 색채의 비중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차별화와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BI 색채 선정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한국과 독일 직업 교육 분석을 통한 한국 섬유·의류 도제교육에 관한 시사점 제안 (Suggestion of Implications for Korean Textiles and Clothing Apprenticeship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and Germany)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64
    • /
    • 2021
  • 도제 교육은 2005년부터 공업 계열과 농업 계열 교과군에서 활발하게 진행이 이루어져 왔으며, 동시에 도제교육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독일의 도제교육 제도에 대한 연구도 공업계 및 농업계 교과군에서는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현재 도제교육은 정부 주도형 도제교육과 경기도 주도형 도제교육으로 나뉘어서 진행되고 있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국가와 기업, 학교가 협력을 이뤄온 독일과 비교하면 섬유·의상 관련 전공의 도제교육은 도입 시기이므로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다. 본 연구는 독일 도제교육 전반에 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섬유·의류 교과군의 도제교육 개선 방향을 도출했다. 이에 독일과 한국의 도제교육에 관한 문헌을 비교 탐색하고, 문헌으로 나타나지 않은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에 거주 중인 독일 국적 교수님 두 명과 면담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독일은 직업 교육에 대한 오랜 전통과 전국민적 인식이 도제 교육을 정착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으며, 직업계고등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제 교육은 업체 발굴, 업체별 직무 분석 등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일련의 절차가 모두 특성화고등학교에 전적으로 일임하여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제 교육에 대한 공신력과 견고함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문헌과 면담 자료에만 국한되고 실제 독일의 도제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향후, 섬유·의상 교과 분야의 도제교육이 기업체의 인식 변화와 다양한 제도 구축 및 연구를 통해서 섬유·의류 노동 시장의 안정성을 구축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관련 부서의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